중국고전배우기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알아보기

지적허영 2023. 7. 29.
반응형

이백의 마이동풍 馬耳東風은 사람들이 의견이나 비평, 충고를 전혀 듣지 않는다는 뜻이 있으며 투계(鬪鷄)의 기술에만 능한 사람들이 출세하고 있었던 당시 세태를 비판하면서 한탄스러운 마음을 전달하고 있는 왕거일이란 친구의 시에 대한 회신입니다.

 

 

마이동풍의 뜻과 유래를 통해 우리 스스로는 다른 의견도 듣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이백 李白「답왕거 答王去」 한야독작유회 一寒夜獨酌有懷」

馬耳東風 (마이동풍) 뜻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남의 의견이나 비평을 전혀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牛耳讀經(우이독경) 뜻

牛 소 우 耳 귀 이 讀 읽을 독 經 지날 경
소귀에 경 읽기 또는 쇠귀에 경 읽기라고 흔히 말하며 멍청한 사람에게는 아무리 알려주어도 못 알아듣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馬耳東風 (마이동풍) 유래 

사람의 의견이나 비평이나 충고 등을 전혀 상대하지 않는 것을 형용하는 성어로 원래 「마이동풍(馬耳東風)」이란 이백(李白)의 「왕거일(王去一)의 한야(寒夜)에 독작(獨酌) 하고 회포에 잠긴다에 답하다」라는 시(詩)로부터 유래합니다.

 

시제(詩題)가 말하듯 이 시는 거일이란 친구가 「한야(寒夜)에 독작(獨酌)해서 회포가 있다」라는 시를 보내온데 대해 이백(李白)이 대답한 것으로 장단구(長短句)를 섞은 아주 긴 시(長詩)다.

 

왕거일은 자기의 불우(不遇)를 이백에게 호소한 듯 하다. 이백은 거기에 대해 달이 휘영청 밝고 추운 밤에 독작(獨酌)을 하고 있는 왕거일의 쓸쓸함을 생각하면서 이 시를 지은 것이다.

 

그리하여 이백은 술을 마셔 만고(萬古)의 쓸쓸함을 씻어버릴 것을 권하고 또 그대처럼 고결하고 더구나 뛰어난 인물은 지금 세상에서는 쓰이지 못함이 당연하다 위로하는 한편 다시 강개(慷慨, 의롭지 못한 것을 보고 한탄(恨歎)함)하는 말투로 자기의 당세관(當世觀)을 엮어간다.

 

 

지금 세상은 투계(鬪鷄)의 기술에 뛰어난 인간만이 천자의 귀여움을 얻어 큰 길을 뽐내고 걷고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적(蠻賊)의 침입을 막아 눈꼽만한 공을 세운 인간이 최고의 충신이라는 듯 거드름을 피우고 있는 세상이다.

 

자네나 나는 그런 인간들의 흉내 낼 수 없다. 우리는 북창(北窓)에 기대어 시를 읊거나 부(賦)를 짓는다. 그러나 어떤 걸작이 나오고 그것이 만방(萬方)에 미치는 걸작이라도 지금 세상에서는 그런 것이 한 잔의 물만한 가치도 없다.

 

아니 그 뿐 아니고 세인(世人)은 그것을 듣고 다 고개를 흔들며 동풍(東風)이 마이(馬耳)를 스치는 정도로 밖에 생각지 않는다. 우리들의 말, 우리들의 걸작(傑作)에는 고개를 흔들어 귀를 기울이려고 하지 않는다.

 

그것은 동풍이 말의 귀를 스치는 것과 같다고 이백은 비분하고 있는 것이다.

 

원래 중국은 무(武) 보다 문(文)을 중시하는 나라다. 문(文)의 힘이 한 나라를 기울게도 하고 한 나라를 흥하게도 한다. 그런 자랑스러움과 자신이 전통적으로 시부(詩賦)를 짓는 자의 가슴 속에 있었다.

 

더구나 이백 같은 스스로를 자부하는 바가 컸었던 시인에게는 그것이 강했다. 그러나 지금 세상은 시인의 말에 마이동풍이다. 그리하여 계속해서 노래한다. 

 

어목(魚目)이 또한 나를 비웃고 명월(明月)과 같아지기를 청한다. 생선 눈깔과도 같은 어리석은 자들이 명월이나 주옥과 같은 우리들을 비웃고 명월의 주옥과 같은 귀한 지위를 대신 차지 하려고 바라고 있다.

 

옥석혼효(玉石混淆)하고 현우전도(賢愚轉倒)되어 있는 것이 지금의 세상이다 라고 이백은 말하고 있다. 그리고 물론 우리들 시인에게는 경상(卿相)의 자리는 없다.

 

청년 시절부터 우리는 산야에 고답(高踏)하는 것이 원이 아니었던가? 하고 왕십이를 격려하며 힘을 북돋고 시를 끝맺는다.

馬耳東風 (마이동풍) 영어 표현

preaching to deaf ears

2023.07.28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마루摩壘" 뜻과 유래 알아보기

 

고사성어 "마루摩壘" 뜻과 유래 알아보기

진(晋)과 초(楚)의 필(邲)의 싸움 과정 중 유래한 표현이 마루(摩壘)로 적의 성루를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용맹하게 공격해 가는 것을 의미했으나 의미가 호각(互角)의 역량(力量)으로 육박하는 것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