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전전반측 輾轉反側 뜻과 유래: 잠 못들고 뒤척이는 당신을 위한 설명 밤새도록 잠을 못자고 몸을 이리저리 뒤척거리는 경험을 누구나 하였을텐데 그 상태를 설명하는 고사성어로는 「전전반측(輾轉反側 )」이 가장 사람들의 입에 올리는 말이다. 전전반측의 뜻과 유래는 시경의 관관저구(關關雎鳩)란 시에서 찾을 수 있다. 오늘은 「전전반측(輾轉反側 )」의 뜻과 유래(출처) 그리고 관관저구(關關雎鳩) 시의 해석까지 알아보자. 전전반측 輾轉反側 뜻과 유래: 잠 못들고 뒤척이는 당신을 위한 설명 「김동연의 전전반측(輾轉反側), 정치인 호감도 이재명 대표와 동률」은 최근 기사 제목으로 전전반측이한 고사성어를 사용하여 김동연 경지도지사의 최근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전전반측 輾轉反側 한자 해석 輾 돌아누울 전 轉 구를 전 反 돌이킬 반 側 곁 측 전전반측 輾轉反側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시경..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22. 요조숙녀(窈窕淑女)와 여인상: 고사성어의 뜻, 의미와 유래 오늘은 고요하고 맑은 마음을 가진 여성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인 '요조숙녀(窈窕淑女)'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글은 요조숙녀의 뜻, 유래, 그리고 일상에서의 활용 예시를 살펴보면서 이 고사성어의 깊은 의미를 이해하고 아름다움을 느끼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요조숙녀(窈窕淑女)와 여인상: 고사성어의 뜻, 의미와 유래 요조숙녀(窈窕淑女)의 한자 풀이 요조숙녀(窈窕淑女)의 한자 풀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특급한자 2개와 중학용 한자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 窈(특급한자): 고요할 요 조 窕(특급한자): 예쁠 조, 깊숙할 조 숙 淑(중학한자): 맑을 숙 녀 女(중학한자): 계집 녀 요조숙녀(窈窕淑女) 뜻 요조숙녀(窈窕淑女)는 한자로 '고요'를 의미하는 '요 窈 ', '으늑'하고 '편안한'을 뜻하는 '조 窕..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22. 자포자기 自暴自棄에는 스스로를 학대한다는 뜻이 있다. 유래는? 자포자기의 뜻과 유래가 궁금해서 오셨나요? 자포자기의 뜻은 단순히 될대로 되라는 뜻 보다 깊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중에 실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성어인 자포자기란 단어를 들으면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지적허영을 한번 뽑내보세요. 자포자기에 대한 자세한 뜻과 유래는 아래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포자기 自暴自棄에는 스스로를 학대한다는 뜻이 있다. 유래는? 자포자기 自暴自棄 뜻과 한자 自 스스로 자 暴 사나울 폭 棄 버릴 기 자포: 스스로를 학대하다, 자기: 스스로를 버리다 자포자기: 스스로를 사납게 학대하고 스스로를 버리다라는 뜻 자포자기 自暴自棄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맹자 이루상편 『孟子离婁上篇』 오늘날 일상 생활에서 「자포자기」라고 하면 될대로 되라는 뜻으로 사용되나 원래는 『孟子』의 이루..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10. 칠보지재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유래: 머스크가 트윗한 한시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는 일론머스크가 21년 SNS에 올려 화재가 된 한시로 콩을 삶고자 콩까지를 태운다는 뜻으로 조조의 아들 중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던 조식이 그의 형 조비의 말도 안되는 왕명(칠보지재)을 받고 만든 시이다. 칠보지재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유래: 머스크가 트윗한 한시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한자 煮 삶을 자 豆 콩 두 燃 탈 연 其 그 기 콩을 삶기위해 콩까지를 태운다는 뜻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유래와 출처 출전.출처: 『世說新語』 曹子建 「칠보시 七步詩」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영웅 중 한 명인 조조(曹操)는 문학을 즐겼고 선비(士)를 초빙하여 소위 건안문학(建安文學)의 융성을 가져왔으며 그의 아들 조식(曹植)은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능이 백년에 한번 나올정도로 뛰어났으며 무기(武..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유래: 적인걸(狄仁傑)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의 뜻은 자기 집 약장(약롱) 속의 물건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언제든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한 말로 당나라 측천무후 시대 적인걸(狄仁傑)이란 명재상(名宰相)의 말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유래: 적인걸(狄仁傑)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한자 自 스스로 자 家 집 가 藥 약 약 籠 대바구니 롱(농) 中 가운데 중 物 물건 물 자기 집에 있는 약농(약 바구니)에 들어 있는 물건이란 뜻으로 언제든지 마음먹으면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出典合十八史略』 당(唐)의 제3대 고종(高宗)의 황후를 무후(武后)라고 한다. 14세때 뽑혀 태종(太宗)의 후궁으로 들어 갔으나 26세때 태종이 죽자 여승..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입석시 立石矢 뜻과 유래: 이광(李廣)의 활쏘기 입석시 立石矢는 한나자 명장인 이광(李廣)과 관련된 성어로 활쏘기의 명수인 이광이 화살을 쏘았는데 돌에 박혀버렸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사기 이장군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입석시 立石矢 뜻과 유래: 이광(李廣)의 무용담 입석시 立石矢 뜻과 한자 立 설 립, 石 돌 석, 矢 화살 시 화살이 서 있는 돌을 꿰뚫다는 뜻이다. 입석시 立石矢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기 이장군전 『史記 李將軍傳 』 많은 명장(名將) 중에도 정말로 뛰어난 명장이 있으니 바로 한(漢) 나라의 이광(李廣)과 그의 손자 이능(李陵)같은 사람이 그와 같은 명장 중에 명장에 속한다. 이광(李廣)의 집안은 선조 대대로 무인의 혈통을 자랑하고 천하에 용맹을 떨친 장군을 계속 배출한 집안으로 호지(胡地)에 가까운 농서(隴西) 출신으로 바로 북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일호천 一壺天 뜻과 유래 배우기 일호천 一壺天의 뜻은 하나의 호리병 속의 하늘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작은 세상(소천지)을 의미하는 말로 호중천(壺中天)이라고도 한다. 또한 좁은 장소에 틀어박혀 혼자서 남모르게 즐기고 있는 사람을 가리켜 「호중 천지를 즐긴다」 또는 「호중거(壺中居)라네」하고 말한다. 일호천 一壺天 뜻과 유래 배우기 일호천 一壺天 뜻과 한자 一 한 일 壺 병 호 天 하늘 천 한 개의 호리병 속 하늘이란 뜻이다. 일호천 一壺天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방술전 方術傳 여남(汝南)이 지역에 비장방(費長房)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시장(市場)의 감독이었다. 비장방이 관리하던 시장에는 약을 파는 노인이 있었는데 그 노인의 가게 앞에는 늘 항아리 하나가 걸려져 있었다. 장사가 끝나면 노인은 언제나 그 항아리 ..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유래(ft 고사성어)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은 한 명의 장수가 공(업적)을 이루면 만 명의 일반 백성의 뼈가 마른다는 의미로 일상 속 직장생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 명의 임원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그 밑의 많은 직원들을 독려하여 성공을 만들어야만 가능하니 말이다.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유래(ft 고사성어)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한자 一 한 일 將 장수 장 功 공 공 成 이룰 성 萬 일 만 만 骨 뼈 골 枯 마를 고 한 장수의 공명(업적)은 수많은 병졸(부하직원)의 희생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조송(曹松)의 시(詩)에서 대당(大唐)이라고 하여 그 찬란한 문화를 한창 피고있는 모란에 비유했던 당의 시대(唐代)도 마침내 하락의 길..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8. 고사성어 배우기: 肝膽相照 (간담상조) - 한유 간이고 쓸개고 다 빼준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간담상조 肝膽相照의 뜻은 간과 쓸개를 서로 보여준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속을 털어 놓고 격의없이 지낸다는 의미로 그 유래는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인 한유(韓愈)의 말에서 찾을 수 있다. 고사성어 간담상조 肝膽相照 뜻과 유래 간담상조 肝膽相照 뜻과 한자 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칠 조 간과 쓸개를 서로 보여줄 정도로 서로 친밀한 상태라는 뜻이다. 간담상조 肝膽相照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한유(韓愈)의 말 중당(中唐)의 문인 한유(韓愈)는 그 엄한 리얼리스트의 눈을 우정(友情)의 세계로도 돌렸던 것 같다. 맹교(孟郊)나 가도(賈島)와 같은 좋은 친구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그는 경박한 교제를 미워했기에 거짓 우정의 본질을 깊이 꿰뚫어보고 그 믿지 못..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8. 전전긍긍 戰戰兢兢 고사성어 뜻과 유래 전전긍긍 戰戰兢兢에서 『전전(戰戰)』은 겁을 먹고 벌벌 떠는 모양이고 『긍긍(兢兢)』은 몸을 삼가는 모습으로 전전긍긍의 뜻은 위기감에 어찌할지 모르는 심정을 의미하며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그 유명한 『시경(詩經)』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전전긍긍 戰戰兢兢 고사성어 뜻과 유래 전전긍긍 戰戰兢兢 뜻과 한자 풀이 戰 싸움 전 兢 떨릴 긍 몹시 두려워 벌벌 떨며 조심한다는 뜻 전전긍긍 戰戰兢兢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시경 소아편 『詩經 小雅의 小旻』 「전전긍긍」이란 말은 서주(西周) 말엽(末葉)에 모신(謀臣)이 군주 측근에 있어 고법(古法)을 무시한 정치를 하고 있는 것을 한탄한 것으로 소민이란 시(詩)의 최후의 일절이다.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지 못하며 강을 맨발로 건너지 못할줄을 군신은 가까움을 보고 그것쯤..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5. 이전 1 2 3 4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