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배우기

고사성어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알아보기

지적허영 2023. 8. 2.
반응형

회사에서 한창 잘 나가던 사람이 뒤로 밀려나면 더 이상 그 사람을 찾는 이들은 줄어든다. 이런 때 사용할 수 있는 성어가 문전작라이다. 문전작라는 문앞에 설치란 새그물이란 뜻으로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정당시전찬 鄭當時傳賛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

門 : 문 문, 前 : 앞 전, 雀 : 참새 작 羅 : (일을)벌일 라

문 밖에 새그물을 칠 만큼 찾아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힘과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말한다.

그 반대말은 문전성시(門前成市) 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유래

『사기(史記)』의 「급·정열전(汲·鄭列傳)」에는 다 함께 한무제(漢武帝) 시절 벼슬하여 구경(九卿)의 지위까지 오른 일이 있는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의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그들을 나란히 기록한 사마천(司馬遷)에게는 뚜렷한 의도가 있었다. 이 두 사람은 협객(俠客)으로서 객(客)을 사랑했다.

 

특히 정당시(鄭當時)는 언제나 문하(門下)에 있는 사람들을 훈계할때 「손님이 왔을 때는 그 귀천을 묻지 말고 문간에서 기다리게 해서는 안된다. 빈주(賓主)의 예로써 공손하게 접대를 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자기가 높은 지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에게는 극히 겸손했다고 한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관위(官位)에는 부침 (浮沈)이 있었다. 급암(汲黯)은 모든 일에 꾸밈 이 없이 간(諫)하는 신하로 그 때문에 무제(武帝)에게서 소원되어 면관(免官)이 되기도 하고 회양군의 한낱 태수(太守)가 되기도 했다.

 

정당시(鄭當時)도 추천한 자의 죄에 연좌(連座)되어 서민(庶民)이 되고 최후에는 여남군(汝南郡)의 태수(太守)로 끝이 났다.

 

이 두 사람 다 중도에서 파면당해 관직을 그만두자 집이 가난하므로 문객은 곧 이산(離散)되어 버렸다고 한다.

 

사마천(司馬遷)은 이 두 사람의 전기(傳記)를 말하고 최후에 이렇게 덧붙이고 있다.

 

도대체 급(汲)·정(鄭) 같은 현인(賢人)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賓客)이 10배가 되나 세력이 없으면 곧 떠나버린다. 보통 사람 같으면 말할 필요도 없다.

 

하구(下邦)의 적공(翟公)의 경우도 이러했다. 처음 적공이 정위(廷尉)가 되자 빈객은 문안에 넘쳐 흐를 정도로 번창했다.

한데 적공이 직위에서 파면되자 빈객은 하나도 찾아오지 않았다. 문전은 한산해서 참새가 모여들고 문전에 새 그물을 칠 정도였다.

 

이윽고 적공이 다시 정위가 되자 빈객들은 또 모여들었다. 적공(翟公)은 문에 크게 써붙였다.

일사일생(一死一生) 즉 교정(交情)을 알고
일빈일부(一貧一富) 즉 교태(交態)를 알고
일귀일천(一貴一賤) 교정(交情)이 나타난다.

이 어찌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작라(雀羅)란 참새를 잡는 새그물이다. 문전작라를 설치한다 함은 가난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찾아오지 않아 몰락된 집 문전(門前)에는 참새가 찾아든다. 그것은 새그물을 치고 잡을 정도다라는 뜻으로 한산한 모습이다.

 

이 모습만을 취해서 가난하다든가 사람이 찾아들지 않는다는 뉘앙스를 일단 젖혀 놓고 그저 적적한 모습을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 지금은 「문전 작라 (門前雀羅)를 친다」고 말한다.

 

어쨌든 사마천의 개탄은 사람의 심정을 울리는 점이 있었던 모양이다. 『漢書』의 편자 역시 정당시전찬(鄭當時傳贊)에 이 이야기를 수록했다.

 

2023.08.01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고사성어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문전성시는 집앞에 시장처럼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한서의 정숭전에서 찾을 수 있다. 후한 애제의 충신 정숭이 애제에게 신의 문전에는 아첨하러 오는 객이 저자같이 모여들어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