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소비

당신이 등록한 헬스장 소득공제 안 될 수도 있습니다… 1분 만에 확인하세요!

지적허영 2025. 7. 6.
반응형

헬스장 소득공제 2025년 완벽 가이드: 땀 흘린 만큼 13월의 월급으로!

2025년 새해 다짐으로 시작한 운동, 잘 유지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이 건강을 위해 흘리는 땀방울이 연말정산 때 '13월의 월급'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는 사람만 챙겨가는 '헬스장 소득공제'의 모든 것을 파헤쳐 드립니다.

헬스장 소득공제
헬스장 소득공제

1. 운동이 돈이 되는 시대: '헬스장 소득공제'란?

'헬스장 소득공제'는 정부가 국민의 건강 증진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정식 명칭은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의 확대입니다. 기존에는 도서 구입, 공연 관람 등에만 적용되던 혜택이 이제는 체력단련장(헬스장), 수영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까지 포함하게 된 것입니다.

 

단, 여기서 가장 많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헬스장 이용료 '전액'을 세금에서 빼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한 금액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포함된 금액에 대해 연말정산 시 정해진 공제율을 적용해 세금을 줄여주는 방식이죠. '100% 공제'라는 말을 이용료 전액 환급으로 오해하시면 안 됩니다!

2. 나는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 (자격 조건 & 한도)

가장 궁금한 부분이겠죠? '그래서 내가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아래의 간단한 조건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핵심 내용
자격 조건
  •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
  • 신용카드 등 사용액이 총 급여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공제율 및 한도
  • 헬스장 이용료 등 문화비 사용분에 대해 30% 공제율 적용
  • 문화비, 전통시장, 대중교통 사용분을 합쳐 최대 300만 원까지 추가 공제

2025년 직장인 김대리의 예시

에를 들어 연봉 5,000만 원인 김대리가 1년간 헬스장 이용료로 120만 원을 썼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미 카드 사용액이 연봉의 25%(1,250만 원)를 넘었다면, 이 120만 원은 30%의 공제율을 적용받아 36만 원이 소득공제 금액이 됩니다. 실제 절세 효과는 개인의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달라지지만, 분명 작지 않은 혜택이죠.

3. 가장 중요한 함정: PT, 필라테스 레슨비는 어떡하죠?

많은 분들이 헬스장에서 PT나 필라테스 강습을 함께 받습니다. 여기서 꼭 알아야 할 함정이 있는데 원칙적으로 '강습료'는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 공제 O: 인정되는 항목

순수한 **시설 이용료**가 대상입니다. 헬스장, 수영장, 필라테스 스튜디오 등의 월간 또는 연간 회원권처럼 장소를 이용하는 데 대한 비용입니다.

❌ 공제 X: 제외되는 항목

트레이너에게 받는 **1:1 PT 비용, 그룹 필라테스 강습료, 수영 강습료 등** 인적 용역에 해당하는 '교육비'는 원칙적으로 제외됩니다. 만약 시설 이용료와 강습료가 명확히 구분되어 결제된다면 시설 이용료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4. 1분 투자로 1년이 편해지는 방법: 내 헬스장, 지금 바로 조회하세요!

마지막으로 중요한 정보인 이 모든 혜택의 전제 조건!

 

바로 내가 다니는 헬스장이 **정부에 정식으로 등록된 소득공제 제공 시설**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등록되지 않은 곳에서 아무리 많이 결제해도 연말정산 때는 '0원'으로 잡힙니다. 여러분들도 헬스장 등록 전에, 혹은 지금 다니는 중이라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여기서 확인하세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홈페이지

소득공제 제공 시설 조회 바로가기

조회 방법 (1분 컷)

  1. 위에 있는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합니다.
  2. 분류에서 '체력단련장'을 선택합니다.
  3. 내가 사는 지역(시/군/구)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4. 검색 결과 목록에 내가 다니거나, 다닐 예정인 헬스장이 나오는지 확인하면 끝!
"건강에 대한 투자는 최고의 이자를 지불한다."

건강을 위한 투자가 금전적 혜택으로 돌아오는 일, 생각만 해도 즐겁지 않나요? 1년 동안 열심히 운동한 나 자신에게 주는 선물이라 생각하고, 잊지 말고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시드 머니 없다고 투자를 못해? 돈 없는 사회초년생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투자 설명서

"100만 원으로 투자는 사치일까?" 돈 없는 사회초년생을 위한 현실적인 투자 설명서목차1. "어차피 시드머니도 없는데..." 당신이 투자를 미루는 진짜 이유2. 가장 위험한 착각: '소액 투자 무용론'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