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나라 최염 장군은 그의 사촌동생 최림(최임)이 젊을 때 명망이 없다고 업신 여겨졌지만 최염만은 최림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대기만성의 사람이라며 아껴주었으며 훗날 최림은 삼공(三公)으로 천자(天子)를 보필하는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고한다.
대기만성 大器晚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제41장
대기만성 뜻
大 클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큰 인물은 간단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원래 최고 가치가 있는 그릇은 모든 것의 최후에 완성되는 법이다라는 뜻도 있다 『노자 제41장)
대기만성 유래
「최대(最大)의 사각(四角)은 지나치게 커서 그 몽둥이가 보이지 않을 정도(大方은 구석(隅, 모퉁이 우)이 없어=그러므로 최대)인 것과 같이 최고의 가치가 있는 그릇은 모든 것의 최후에 완성된다(大器는 晩成한다=그러므로 최고의 가치가있다)
그리하여 가장 힘이 강한 소리는(물리적으로 말하면 진동수가 최대이기 때문에) 소리가 나지 않는 것 같이 생각된다(大音은 無音)
절대적인 불변(不變)의 참된「도(道)」는 너무나도 광대해서 그 정체를 포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참된「도(道)」인 것이다라고 노자(老子)는 설명했다(이 도(道)는 유교가 말하는 사람이 지켜행해야 하는 도(道)와는 다르다)」
따라서 원문의「만성(晩成)」은 거의 완성되는 일이 없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그것이 현대와 같이 오로지 인물에 대해 쓰여지는 뜻으로 변화된 것은 아마도 다음과 같은 예시 때문인 듯 하다.
삼국지에서는 조조가 위왕(魏王)이 되려는 것을 간하다가 결국은 옥에서 타살당했다고 다소 과장되어 기록된 최염(崔琰)이라는 사람, 정사(正史)『삼국지』에서도 그 목소리는 유연하고 모습은 한층 눈에 띄고 수염이 4척이나 된다는 인물인 최염(崔琰)은 사촌인 최림(崔林)이 처가집 친척들에게 바보 취급을 받고 있는 것을 보고 「이건 소위 대기만성(大器晩成)이란 것이다」라고 그의 장래를 기대 하였는데 나중에 최림은 정말 천자의 고문역이 되었다고 한다(『魏書』崔珍傳).
이와같이 남의 일에 대해서 이 성어(成語)가쓰이게 되자 대기만성이라고 기다리고 있는 동안에 죽어버려 그야말로 거의 완성되지 못하는 인물이 되어 버리는 위험성도 있다. 그것을 경계하는 뜻인데 『영웅은 젊었을 때 나온다」는 말도 있다.
대기만성 활용 사례
- 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넌 분명 대기만성할 거야.
-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자세는 대기만성한 사람들의 특징이지.
- 올해의 투수 상을 받은 선수는 오랜 시간 힘든 훈련을 견뎌낸 대기만성형 선수야.
- 실패했다고 포기하지 마. 지금 당장은 안되더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언젠가는 꼭 대기만성할 거야.
-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대기만성 [大器晩成] (초등 선생님이 뽑은 남다른 고사성어, 2013. 12. 23., 박수미, 강민경, 문구선, 조윤이, 김정숙, 윤유리)
2023.07.25 - [중국고전배우기] - 무술 당랑권과 당랑지부螳螂之斧 속 당랑의 뜻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