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4년 4개월 동안 무인도에서 생활했던 스코틀랜드의 선원 ‘알렉산더 셀커크’를 모델로 영국 작가 다니엘[대니얼] 디포 Daniel Defoe(1660~1731)가 쓴 소설이다.
바다로 나가는 일 말고는 어떤 일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숙명적인 본성으로 인해 부모의 만류를 뿌리치고 모험을 떠나는 로빈슨 크루 소는 첫 번째 항해에서는 배가 난파되었지만, 두 번째 노예들을 실어 나르는 항해에서는 성공하면서 거기에서 항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을 습득한다. 하지만 세 번째 항해에서는 해적선의 급습을 받아 해적선 선장의 노예가 된다.
그리고 2년 후 간신히 탈출에 성공해 브라질에 정착해 몇 년간 많은 돈을 모았지만, 문득 자신이 좋아하는 삶을 살겠다고 우기며 집을 뛰쳐나온 자신이 부모가 권한 흔한 중산층의 삶에 만족하면서 살고 있다는 자괴감에 빠진다.
모든 것을 뒤로하고 다시 떠난 항해에서 폭풍우로 배는 난파되고 혼자 살아남아 스스로 ‘절망의 섬’ Island of Despair이라고 부르게 되는 무인도에 표류하게 된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제 내가 슬퍼하는 일과 기뻐하는 일의 내용이 변했다. 섬에 처음 도착했을 때와 비교해 본다면 지난 2 년간 내 욕망 자체가 변했고, 감정이 분출되는 양상도 변했고, 즐거워하는 일 또한 완전히 새로워졌다.” “오직 내가 사용할 수 있는 것만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좋은 것들은 우리에게 효용있는 만큼만 좋은 것이지 그 이상은 아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만큼만 누릴 수 있지 그 이상은 아니다. (…) 서랍 가득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었더라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아무 쓸모가 없으니 내겐 어떤 효용 가치도 없었다. (…) 나는 내가 처한 상황의 부정적 측면보다 긍정적 측면을 더 많이 생각하는 법, 내게 결핍된 것보다 내가 누리고 있는 것을 더 많이 생 각하는 법을 배웠다. (…)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온갖 불만은, 내가 보기에는 가진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이 부족해서 생긴 것 같다. (…) 우리는 결코 우리가 처한 상황의 진정한 본질을 모르고 있다가, 그것이 그 반대 상황들에 의해 입증되고 나서야 비로소 깨닫는다. 우리는 우리가 향유(享有)하고 있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 모르고 있다가, 그것이 결핍되고 난 이후에야 비로소 깨닫는 것이다.” “눈앞에 뻔히 존재하는 위험에 대한 가상(假想)의 공포감이 실제 위험 자체보다 1000배는 더 무시무시한 법이다. 우리는 우리가 걱정하는 불운한 재난보다 불안감이라는 부담 자체가 훨씬 더 괴롭다는 것을 잘 안다.”
무인도 생활 6년째에 카누를 만들어 섬 주변을 탐색했고, 가끔 야만인들이 섬에 포로를 데리고 와서 잡아먹는 광경도 목격한다. 24년째 되는 해부터 섬을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은 가능하면 야만인 한 명을 손에 넣는 일이며, 가능하면 그 야만인은 다른 야만인들이 잡아먹기 위해 섬으로 데려온 포로여야 한다고 확신하게 된다. 그 야만인이 포로로 끌려온 길만 기억한다면, 그 길을 거꾸로 되짚어가면 된다.
그렇게 1년 반쯤 지났을 때 포로로 잡혀 왔다가 탈출한 흑인을 구해주고는 그날을 기념해 프라이데이 Friday라고 이름 짓고, 자신이 그의 ‘주인님’ Lord임을 각인시키고는 부하로 삼는다. 28년 만에 그리고 처음 영국을 떠나 산지 35년 만에 영국으로 무사히 귀환하면서 끝이 난다.
* 제임스 조이스: 위 작품의 제국주의적이고 식민지주의적인 성격을 가장 정확히 지적
2023.01.18 - [문학] - 피터 팬 Peter and Wendy(1911) by 제임스 배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