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줄거리 요약
The Decameron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by the Italian author Giovanni Boccaccio, first published in 1353. The book is structured as a frame narrative, with ten characters who have fled from Florence to a villa in the countryside to escape the Black Death. Over the course of ten days, each character tells a story per day, resulting in one hundred tales in total.
데카메론은 1353년에 처음 출간된 이탈리아 작가 조반니 보카치오의 단편 소설집입니다. 이 책은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에서 시골의 별장으로 도망친 10명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한 프레임 내러티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흘 동안 각 등장인물이 하루에 한 가지씩 이야기를 들려주며, 총 100개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The frame narrative begins with a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in Florence during the Black Death epidemic of 1348. The ten characters, seven women and three men, decide to leave the city and retreat to a villa in the countryside outside of Florence. They pass the time by telling each other stories, which range from humorous to tragic, romantic to bawdy, and are often told to provide a moral lesson.
프레임 내러티브는 1348년 흑사병이 유행하던 피렌체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됩니다. 7명의 여성과 3명의 남성으로 구성된 10명의 등장인물은 도시를 떠나 피렌체 외곽의 시골 별장으로 피신하기로 결정합니다. 이들은 유머러스한 이야기부터 비극적인 이야기, 로맨틱한 이야기, 야한 이야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서로에게 들려주며 시간을 보내는데, 종종 교훈을 주는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The first day's stories all deal with the theme of love, with the exception of the first story, which is a humorous tale about a priest who uses his wit to outsmart a dishonest merchant. Other stories include a tale of a young man who falls in love with a woman he sees in a dream, and a story about a man who disguises himself as a woman to seduce a priest.
첫날의 이야기는 모두 사랑을 주제로 하는데, 첫 번째 이야기는 재치를 발휘해 부정직한 상인을 속이는 신부(priest)에 대한 유머러스한 이야기입니다. 다른 이야기에는 꿈에서 본 여자와 사랑에 빠진 청년의 이야기와 신부(priest)를 유혹하기 위해 여자로 변장하는 남자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On the second day, the theme is about cleverness and wit, with stories about clever servants and tricksters. One of the most famous stories from this day is about a man named Federigo who loses everything for the love of a woman, and ultimately sacrifices his most prized possession, a falcon, to feed her when she comes to visit him.
둘째 날에는 영리함과 재치를 주제로 영리한 하인과 사기꾼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이 날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는 페데리고라는 남자가 한 여자의 사랑을 위해 모든 것을 잃고 결국 가장 소중한 소유물인 매를 희생하여 그녀가 자신을 찾아왔을 때 그녀에게 먹이를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The third day's stories all deal with the theme of trickery and deception. One of the most famous tales from this day is about a young woman named Ghismonda, who takes revenge on her lover by tricking him into drinking poison.
셋째 날의 이야기는 모두 속임수와 기만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날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는 기스몬다라는 젊은 여성이 연인을 속여 독약을 마시게 하여 복수를 하는 이야기입니다.
The fourth day's stories are all about the cunning and resourcefulness of women, and include a tale of a young woman who outwits a wealthy merchant by pretending to be deaf and dumb.
넷째 날의 이야기는 모두 여성의 교활함과 수완에 관한 것으로, 귀머거리와 벙어리인 척하여 부유한 상인을 속인 젊은 여성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fifth day's stories are all about the power of love to overcome obstacles, and include a story about a woman who manages to reunite with her lover after being falsely accused of adultery.
다섯째 날의 이야기는 장애물을 극복하는 사랑의 힘에 관한 것으로, 간통죄로 누명을 쓴 후 연인과 재회하는 여인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sixth day's stories all deal with the theme of poverty and the struggles of the lower classes. One of the most famous stories from this day is about a young man named Andreuccio, who travels to Naples to buy a horse and ends up being robbed by a group of thieves.
여섯째 날의 이야기는 모두 가난과 하층민의 투쟁을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날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는 안드레우치오라는 청년이 말을 사기 위해 나폴리로 갔다가 도둑들에게 강도를 당하는 이야기입니다.
The seventh day's stories all deal with the theme of fortune, both good and bad, and include a story about a man who is condemned to death but manages to escape through a clever deception.
일곱 번째 날의 이야기는 모두 행운과 관련된 주제로,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교묘한 속임수로 탈출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eighth day's stories are all about the power of love to inspire acts of heroism and bravery. One of the most famous stories from this day is about a woman named Griselda, who endures a series of trials and tribulations to prove her love for her husband.
여덟 번째 날의 이야기는 영웅적인 행동과 용기를 불러일으키는 사랑의 힘에 관한 것입니다. 이 날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는 남편에 대한 사랑을 증명하기 위해 일련의 시련과 고난을 견뎌낸 그리젤다라는 여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The ninth day's stories all deal with the theme of trickery and deceit, and include a tale about a woman who pretends to be a ghost to frighten her husband into confessing to his infidelities.
아홉 번째 날의 이야기는 모두 속임수와 기만을 주제로 다루며, 귀신인 척하여 남편의 외도를 자백하도록 겁을 주는 여인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tenth and final day's stories are all about the power of storytelling itself, and include a tale about a woman who tells a story so powerful that it convinces a king to change his ways.
열 번째와 마지막 날의 이야기는 모두 스토리텔링 자체의 힘에 관한 것으로, 왕을 설득할 정도로 강력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한 여인의 이야기를 포함합니다.
The Decameron is considered one of the great works of Italian literature, and is known for its vivid portrayal of life in medieval Italy, as well as its rich, often bawdy, language. The book has had a lasting influence on Western literature, with authors such as Chaucer, Shakespeare, and Cervantes drawing inspiration from Boccaccio's work.
데카메론은 이탈리아 문학의 대작 중 하나로 꼽히는 작품으로, 중세 이탈리아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풍부하고 때로는 야한 언어로 유명합니다. 초서,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등의 작가가 보카치오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집필하는 등 서양 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어요.
보카치오 소개
Giovanni Boccaccio (1313-1375) was an Italian writer and poet best known for his masterpiece, The Decameron. Boccaccio was born in Florence, Italy, and grew up in a well-educated family. His father was a wealthy merchant, and Boccaccio received a classical education in literature, philosophy, and rhetoric.
조반니 보카치오(1313-1375)는 걸작 데카메론으로 가장 잘 알려진 이탈리아의 작가이자 시인입니다. 보카치오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교육을 잘 받은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부유한 상인이었고 보카치오는 문학, 철학, 수사학에 대한 고전 교육을 받았습니다.
After his father's death, Boccaccio tried his hand at several different careers, including merchant, banker, and diplomat, but he found his true calling as a writer. He wrote poetry, historical works, and prose fiction, and he became known as one of the leading writers of his time.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보카치오는 상인, 은행가, 외교관 등 여러 가지 직업을 시도했지만 작가로서의 진정한 소명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시, 역사 작품, 산문 소설을 썼으며 당대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으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Boccaccio's most famous work, The Decameron, was written in the aftermath of the Black Death, a devastating epidemic that swept through Europe in the mid-14th century. The book is a collection of 100 tales told by a group of young people who have fled to the countryside to escape the plague. The stories are notable for their wit, humor, and bawdy language, as well as their insight into human nature and medieval Italian society.
보카치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데카메론은 14세기 중반 유럽을 휩쓴 치명적인 전염병인 흑사병의 여파로 집필되었습니다. 이 책은 흑사병을 피해 시골로 도망친 한 무리의 젊은이들이 들려주는 100가지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입니다. 이 이야기는 재치, 유머, 익살스러운 언어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 중세 이탈리아 사회에 대한 통찰력으로 유명합니다.
In addition to his literary career, Boccaccio was also a scholar and a humanist. He was an early proponent of the vernacular language, and he worked to promote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philosophy.
보카치오는 문학가로서의 경력 외에도 학자이자 인본주의자였습니다. 그는 일찍이 모국어 사용을 지지했으며 고전 문학과 철학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Boccaccio died in 1375 in Certaldo, Italy, but his legacy has lived on through his writing. The Decameron has been translated into numerous languages and has influenced countless writers over the centuries, including Chaucer, Shakespeare, and Cervantes.
보카치오는 1375년 이탈리아 체르탈도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유산은 그의 글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데카메론은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초서,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등 수세기에 걸쳐 수많은 작가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보카치오에 나오는 유명한 글귀/문구
"It is sweet to die for one's country." (Day 4, Story 5)
"조국을 위해 죽는다는 것은 달콤한 일입니다." (4일차, 이야기 5)
"Fortune, whose caprices none can foretell, delights to make sport of human affairs." (Day 1, Introduction)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변덕스러운 운명은 인간사를 조롱하기를 좋아한다." (1일차, 소개)
"The tears of the world are a constant quantity. For each one who begins to weep, somewhere else another stops." (Day 3, Story 10)
"세상의 눈물의 양은 한정되어 있다. 한 사람이 울기 시작하면 어딘가에서 다른 사람이 멈춘다." (3일차, 10번째 이야기)
"Love, when not accompanied by obedience, is a bird with wings, but no feet." (Day 6, Story 9)
"순종이 동반되지 않는 사랑은 날개는 있지만 발이 없는 새와 같습니다." (6일째, 이야기 9)
"Who is there that does not know that a love once formed is not so easily got rid of?" (Day 3, Story 1)
"한번 형성된 사랑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3일째, 이야기 1)
"Let us then be up and doing, putting our shoulders to the wheel, taking care to husband our resources, so that we may be able to endure the worst, should it come." (Day 1, Introduction)
"그렇다면 우리는 일어나서 일하고, 어깨를 운전대에 올려놓고, 우리의 자원을 잘 관리하여 최악의 상황이 닥쳐도 견딜 수 있도록 합시다." (1일차, 소개) **husband(절약하다)
"The wise man does at once what the fool does finally." (Day 4, Story 2)
"현명한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 마침내 해내는 일을 단번에 해낸다." (4일차, 이야기 2)
"Truth oftentimes lies at the bottom of a well." (Day 4, Story 5)
"진실은 종종 우물 밑바닥에 있다." (4일차, 이야기 5)
"God's help is best invoked with a pure heart and a clean conscience." (Day 6, Story 1)
"하느님의 도움은 순수한 마음과 깨끗한 양심으로 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6일차, 이야기 1)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Day 1, Introduction)
"어려움에 처한 친구가 진짜 친구입니다." (1일차, 소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