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플랜 The Great Books

시카고 플랜 고전 읽기 27편: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지적허영 2023. 3. 22.
반응형

걸리버 여행기 요약 

걸리버 여행기는 조너선 스위프트가 1726년에 쓴 풍자 소설로 여러 환상적(허구의) 나라를 방문하는 외과 의사이자 선장인 레무엘 걸리버의 여행 이야기이다.

 

제1부 작은 사람들의 나라 - 릴리퍼트(Lilliput) 기행

많은 이들에게 걸리버 여행의기 전체 내용인 것처럼 알려진 소인국 이야기이다. 걸리버는 난파되어 주민들의 키가 겨우 6인치밖에 되지 않는 릴리퍼트 섬의 해안으로 밀려온다. 이후 걸리버는 붙잡혀서 수도로 끌려가고, 그곳에서 구경거리가 된다. 걸리버는 릴리퍼트인들에게 그들의 이웃 섬인 블레푸스쿠(Blefuscu)와의 전쟁에서 도움을 주어 황제의 호의를 얻지만 이후 황제와 의견 충돌 후, 걸리버는 반역죄로 기소되어 도망치게 된다.

 

제2부 큰 사람들의 나라 - 브로브딩내그(Brobdingnag) 기행

이후 걸리버는 거인들이 사는 섬 브로브딩내그에 도착하게 되는데 한 농부가 걸리버를 붙잡은 후 여왕에게 보여준다 . 릴리퍼트와 달리 걸리버는 여기서 호기심의 대상이 되는 작은 존재이다. 걸리버는 여왕으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지만, 거인들의 정치적, 사회적 관습뿐만 아니라 신체적 결함에 혐오감을 느끼게 된다.

 

제3부 하늘을 나는의 나라들 - 라퓨타(Laputa), 발니바르비(Balnibarbi), 럭낵(Luggnagg), 글럽덥그립(Glubbdubdrib), 일본 등의 나라 기행

걸리버는 주민들이 과학과 수학에 열중하는 라퓨타라는 떠다니는 섬과 불멸의 스트룰드브룩스(Struldbrugs)를 만나는 럭낵을 포함한 여러 낯선 땅을 방문한다. 걸리버는 또한 유령의 나라를 방문하여 줄리어스 시저, 호머와 같은 역사적인 인물들과 대화를 나눈다.

 

제4부 말들과 인간 노예의 나라 - 후이넘(Houyhnhnms) 기행

걸리버는 두 개의 다른 인종이 살고 있는 섬에 상륙하게 되는데 그 섬에는 후이넘이라고 불리는 합리적이고 지적인 말(horse)들과 야후(Yahoos)라고 불리는 야만적이고 비이성적인 인간들이다. 걸리버는 처음에 야후족에 겁을 먹고 결함이 없는 유토피아적 사회를 가진 후이넘족을 존경하지만 후이넘족이 걸리버를 야후족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결국 섬에서 추방된다.

조너선 스위프트의 삶

스위프트는 책 전체를 통해 걸리버의 여행을 정치, 종교, 인간 관계를 포함한 영국 사회와 인간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풍자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조나단 스위프트는 1667년 11월 30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조너선 스위프트라는 같은 이름의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불과 몇 달 전에 죽었고, 그의 어머니 애비게일 에릭(Abigail Erick)가 그를 홀로 키웠다. 스위프트는 더블린에 있는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은 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게된다. 교육을 마친 후, 스위프트는 아일랜드로 돌아와 아일랜드 교회의 성직자가 되었는데 그는 이 시기에 많은 풍자적인 에세이와 시를 썼고, 종종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귀족들을 비판했다. 1710년, 스위프트는 나중에 옥스퍼드 백작(the Earl of Oxford)이 된 토리당 정치인 로버트 할리(Robert Harley)의 측근조언자가 되었다. 스위프트는 토리당 정부의 신문인 The Examiner의 편집자로 일했으며, 보수당의 이상을 홍보하고 그들의 반대자들을 공격하는 데 자신의 지위를 사용한다. 스위프트는 아일랜드의 가난한 사람들 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 아일랜드 어린이들이 부유한 사람들에게 음식으로 팔려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풍자적인 작품들을 계속 썼다. 그의 말년에 스위프트는 점점 더 고립되었고 많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로 고통받다가 1745년 10월 19일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더블린의 성 패트릭 대성당에 묻혔다.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명언/문구/글귀

  • "나는 모든 국가, 직업, 공동체를 증오해왔고, 내 모든 사랑은 각 개인을 향한 것이다." - 걸리버, 그의 비인도적인 성향에 대해. "I have ever hated all nations, professions, and communities, and all my love is towards individuals." - Gulliver, on his misanthropic tendencies.
  • "이 변호사들 사이의 격언은, 이전에 행해진 것은 무엇이든 법적으로 다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 걸리버, 법적 선례의 부조리에 대해. "It is a maxim among these lawyers, that whatever hath been done before may legally be done again." - Gulliver, on the absurdity of legal precedent.
  • "저는 당신의 원주민들 대부분이 자연이 지금까지 경험한 지구 표면 위를 기어다니는 해충 중 가장 해로운 작은 해충의 종족이라는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 걸리버, 릴리퍼티안에 대한 혐오감. "I cannot but conclude the bulk of your natives to be the most pernicious race of little odious vermin that nature ever suffered to crawl upon the surface of the earth." - Gulliver, on his disgust with the Lilliputians.
  • "작은 릴리퍼티안들은 걸리버의 시계가 그의 신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왜냐하면 그는 거의 상의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 릴리푸티안들, 걸리버의 이상한 습관에 대해. "The tiny Lilliputians surmise that Gulliver's watch may be his god, because it is that which, he admits, he seldom does anything without consulting." - the Lilliputians, on Gulliver's strange habits.
  • "우리는 우리를 증오하게 할 만큼 충분한 종교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가 서로를 사랑하게 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 - 걸리버, 종교적 편협함의 위선에 대해. "We have just enough religion to make us hate, but not enough to make us love one another." - Gulliver, on the hypocrisy of religious intolerance.
  • "이성적으로 판단한다고 해서 나쁜 의견을 고칠 수는 없다." - 합리적인 주장의 한계에 대하여. "Reasoning will never make a man correct an ill opinion, which by reasoning he never acquired." - Swift, on the limitations of rational argument.
  • "나는 야후인인 되는 내 자신을 미운하는 만큼 후이넘의 야후를 미워하지 않았다." - 걸리버, 인간 본성의 이중성에 대해. "I did not hate the Yahoo of Houyhnhnms half so much as I hated myself for being a Yahoo." - Gulliver, on the duality of human nature.
  • "거짓말은 날아가고, 진실은 그 뒤를 따라 절뚝거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속을 때가 되면, 이미 너무 늦는다." - 스위프트, 잘못된 정보의 만연에 대해. "Falsehood flies, and truth comes limping after it, so that when men come to be undeceived, it is too late." - Swift, on the prevalence of misinformation.
  • "이 위대한 도시를 거닐거나 시골을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은 거리, 도로, 오두막 문이 여성 거지들로 붐비는 것을 볼 때 우울한 대상이다. 그들은 모두 누더기를 입고 모든 승객에게 구호품을 달라고 조른다." - 스위프트, "겸손한 제안,"" 아일랜드의 빈곤과 절망에 대해. "It is a melancholy object to those who walk through this great town or travel in the country, when they see the streets, the roads, and cabin doors, crowded with beggars of the female sex, followed by three, four, or six children, all in rags and importuning every passenger for an alms." - Swift, in "A Modest Proposal," on the poverty and desperation of Ireland.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