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고민 중인데 그 중 통신비 절약이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뜰폰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 후 통신비를 절약하고 있으며 저도 최근에야 알뜰폰으로 변경하여 많은 통신비를 절약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알뜰폰 가입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아래 내용을 꼭 확인보세요!
1. 알뜰폰 가입을 위한 기본지식
1.1 알뜰폰이란
알뜰폰은 기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통신망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전화 사업을 말합니다.
1.2 알뜰폰 도입 배경
2011년 도입된 제도로 크게 아래 2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 이동통신 3사의 독점 방지
- 가계 비용 부담 경감: 결국 통신비 절약이란 말 입니다.
이러한 정부 정책으로 인해 이동통신 3사는 알뜰폰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의무적으로 통신망을 제공해야 합니다.
1.3 알뜰폰 장점: 통신비 절감
알뜰폰의 주요 장점은 통신망 구축에 따른 비용이 없다는 점으로 인해 통신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저도 이전에는 LG U+의 10GB 요금제를 사용 했었는데 월 통신비가 5.5만 원 수준이었으나 이번에 데이터 걱정없는 유심 7GB로 변경하게 되면서 매우 많은 통신비를 절약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월 평균 한 3만원 수준 통신비 절약)
또한 알뜰폰은 약정기간이 없어 언제든지 위약금 없이 해지와 번호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도 좋은 장점 중 하나입니다.
2. 잘못알고 있는 알뜰폰 단점
알뜰폰이 출시된 지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고객 수를 계속 늘리며 현재 약 1,4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용 중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알뜰폰에 대해 오해를 해서 가입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 저도 그 중 한명 이었습니다.
그럼 알뜬폰 가입을 주저하게 만드는 몇가지 잘못된 단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1 금융 앱 활용 및 본인인증 불편하지 않습니다
사실 제가 주저한 이유 중 가장 첫 번째는 지금 핸드폰에 수 많은 금융앱이 설치되어 있고 매일 매일 통신사 본인인증을 많이 사용하는데 알뜰폰으로 변경 후 무언가 불편하지 않을까 하는 오해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막상 헬로모바일로 변경 후 직접 사용해보니 큰 차이도 없고 불편함도 못 느끼고 있습니다.
2.2 번호를 바꿀 필요 없습니다
알뜰폰은 기존 번호 그대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기존 통신사의 유심을 갈아끼우기만 하면 약정 없이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기존 통신사의 유심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알뜰폰 사업자의 유심을 추가 구입해야 합니다. 이를 택배 배송이나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일부 알뜰폰 사업자는 프로모션으로 무료로 유심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2.3 최신 스마트폰도 이용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신사에서 핸드폰을 바꾸면 약정 기간 동안 요금과 단말기 할부금을 함께 납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알뜰폰은 통신사 없이 따로 핸드폰을 구입한 뒤 요금제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알뜰폰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전자제품 매장이나 온라인 마켓에서 공기계를 구입하는 것이 매우 쉬워졌습니다. 따라서 알뜰폰은 구형 핸드폰을 사용해야 한다는 오해를 버려야 합니다. 원하는 최신형 스마트폰을 구입한 뒤 알뜰폰에 가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4 통신 잘 터집니다
알뜰폰은 기존 이동통신 3사의 통신망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통화 품질은 대형 이동통신사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알뜰폰 사업자의 규모에 따라 고객센터 연결이 어려울 수 있으나 실제 고객센터 연락할 일을 거의 없습니다.
2.5 노인들을 위한 요금제 아닙니다
부모님들은 통신비에 매우 민감해서 5~6만원 통신비를 지출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죠. 그래서 이전부터 자녀들이 부모님 핸드폰 가입 시 자연스럽게 알뜰폰으로 가입시켜 드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알뜰폰은 어느정도 나이가 있는 노인들이나사용한다는 인식이 강해졌습니다.
이러한 인식이 있다보니 친구들이나 직장 동료들이 너 무슨 통신사 사용해?라고 물을 때 난 알뜰폰이야!라고 대답하기 좀창피해하는 경향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SNS, 유튜브 등을 통해 젊은 세대들에게도 인기가 높아지면서 알뜰폰이 재테크를 잘하는 똑똑한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자리매김 하는 중 입니다.
3. 알뜰폰 가입방법: 알뜰폰 허브
현재 알뜰폰 시장은 다양한 사업자가 존재하며, 대기업 계열사부터 우체국, KB은행, 토스, 신협 등에서도 알뜰폰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통신비 절감을 위해 알뜰폰에 가입을 고려한다면 먼저 현재 사용 중인 통신사의 약정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약정기간이 많이 남아 있다면 위약금을 지불해야 하므로, 통신 요금을 절감한다고 해도 큰 이득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정이 이미 끝났다면 마음 편하게 알뜰폰에 가입할 수 있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에게 맞는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기 위해 알뜰폰 허브를 방문해보는 것 입니다.
알뜰폰 허브 홈페이지 방문하기
알뜰폰 허브에서는 통화, 문자, 데이터 통신의 평균 사용량에 따라 알맞은 요금제를 추천해주는데 여러 요금제 중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고 가입 신청을 하신 뒤, 해당 요금제의 유심을 스마트폰에 갈아끼우면 알뜰폰이 개통됩니다.
이렇게 알뜰폰이 개통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통신사 요금제는 자동으로 해지되니 따로 해지 신청 등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