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우엘베크의 '세로토닌'에 담긴 사회의 빈틈을 통과하는 여정

지적허영 2023. 12. 27.
반응형

미셸 우엘베크의 "세로토닌"은 자신의 삶과 사랑에 환멸을 느낀 중년의 농업 기술자 플로랑 클로드 라브루스트(Florent-Claude Labrouste)의 삶을 탐구하는 소설입니다. 소설 "세로토닌"은 현대인의 소외감, 사회적 단절, 진정한 관계와 목적의식이 결여된 세상에서 인간의 조건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호엘베크의 세로토닌
호엘베크의 세로토닌

 

 

우엘베크의 '세로토닌'에 담긴 사회의 빈틈을 통과하는 여정

미셸 우엘베크의 "세로토닌" 줄거리 요약

자신의 인간관계와 경력에 불만을 품고 있는 주인공 플로랑 클로드 라브루스트는 직장과 여자친구를 떠나기로 결심하고 오랜 친구와 다양한 여성들을 만나는 여정을 시작하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소설 전반에 걸쳐 라브루스트는 공허함과 고립감을 느끼게 만드는 사회적, 개인적 문제와 씨름하게 됩니다.

 

소설 "세로토닌"은 외로움, 사회적 타락, 현대성이라는 주제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진정한 인간적 경험보다 물질주의와 피상적 관계를 우선시하는 듯한 세상에서 정체성과 의미를 찾기 위한 투쟁을 다루며 현대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고 있습니다.

 

소설 "세로토닌"은 크게 5개의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1부: 플로랑 클로드 라브루스트 소개

소설 세로토닌은 40대 중반의 농업 엔지니어인 플로랑 클로드 라브루스트를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라브루스트는 자신의 삶과 인간관계, 경력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는데 그는 과거의 관계, 특히 전 여자친구 유즈(Yuzu)와의 실패한 사랑에 대해 이야기하며 자신의 고충을 이야기 시작합니다.

 

이 소설에서 라브루스트는 사회에 불만을 품고 있었으며 사회와 단절된 느낌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로 묘사됩니다.

 

2부: 라브루스트의 여정과 반성

라브루스트는 자신의 경력과 관계를 포기하고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오랜 친구와 지인들을 만나면서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봅니다. 여정 내내 그는 프랑스 농촌의 변화하는 풍경을 목격하면서 근대성이 농업과 사회에 미친 영향을 강조합니다.

 

3부: 사회적 비판과 개인적 환멸

라브루스트는 자신의 삶의 선택을 되돌아보면서 현대 사회, 특히 소비주의와 물질주의에 대한 집착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됩니다. 그가 인생에서의 진정한 관계와 목적의 부재에 시달리게되면서 그의 환멸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4부: 탐구 주제

소설 세로토닌은 외로움, 소외, 농촌 공동체의 쇠퇴, 세계화가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미치는 영향, 급변하는 세상에서의 의미 찾기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있으며 라브루스트의 여정은 이러한 주제와 사회적 비판을 탐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5부: 결론, 라브루스트의 결심

소설은 라브루스트가 자신의 정체성, 목적, 세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고민하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그는 자신의 환멸에 계속 맞서고, 진정성과 진정한 인간관계가 결여된 사회에서 성취감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미셸 우엘베크의 "세로토닌" 주요 인용문/명

 

아래 주목할 만한 인용문들은 소설 세로토닌에 퍼져 있는 환멸, 실존적 위기, 의미 찾기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주인공이 경험하는 소외와 단절을 강조하고 소설에 묘사된 광범위한 사회적 불안을 반영합니다.

 

나는 여성들은 당신이 다른 사람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만약 당신이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몇 년, 몇십 년 동안 당신을 참아줄 수는 있어도 결코 당신을 사랑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I realized that women were waiting for you to become a different person; and that, if you didn't, they could tolerate you for years, decades, even, but would never, ever love you.

 

 

문제는 서구 세계가 신 없이도 살아남을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The question is whether the western world can survive without a God.

 

 

전국에 컴퓨터 앞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 남자들이 얼마나 많은지 궁금했다.

I wondered how many men there were, all over the country, drinking alone in front of their computers.

 

 

행복은 사과처럼 먹느냐 먹지 않느냐 하는 단순한 문제입니다.

Happiness is a simple matter, it's simple like an apple: either you eat it, or you don't.

 

 

나는 항상 자연에 존재하는 아름다움과 무관심에서 위안을 얻었습니다.

I have always found consolation in nature, for its beauty and indifference.

 

 

나는 고립되고 완전히 쓸모없는 일상, 막다른 골목의 삶에 빠졌었다.

I'd fallen into a routine of isolation and total uselessness, a dead-end life.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