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KOSPI) 탄생과 역사
코스피(KOSPI)는 한국 종합주가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한국의 대표 주식 시장 지수로 1983년 4월 1일에 기준값 100으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한국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가 한국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벤치마크 지수로 설정한 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1991년: 코스피의 하위 지수인 코스피 200이 출범했습니다. 코스피 200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200개 종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995년: 순수 시가총액 가중 지수에서 유동성 조정 시가총액 가중 지수로 전환하는 등 코스피 산출 방식이 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고 집중 보유종목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2000년: 한국 주식시장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2000년 1월 4일 코스피의 기준값이 1,000으로 재설정되었습니다.
2007년: 경기 호조와 기업 실적 호조에 힘입어 2007년 7월 24일 코스피가 처음으로 2,000포인트를 돌파했습니다.
2008년: 전 세계 다른 많은 주식시장과 마찬가지로 코스피도 2008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큰 변동성과 급격한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2008년 10월에는 지수가 약 900포인트까지 떨어졌습니다.
2011년: 한국거래소에 코스피 200 옵션이 도입되어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거래 및 헤지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2013년: 금융위기에서 회복되고 경제 상황이 개선되면서 2013년 7월 2일 코스피 지수가 2,000포인트를 재 돌파했습니다.
2020년: 코스피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회복력을 보여주며 초기 발병으로 인한 시장 침체에서 눈에 띄는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1년 2월에는 3,200포인트가 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 후 2023년 6월 현재 2,625포인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세계 주요 국 주식시장 지수
미국 대표 주식시장 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1896년에 설립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널리 알려진 주가지수 중 하나로, 30개의 대형 상장기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P 500:
1957년에 도입된 지수로,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00개 대기업의 실적을 나타내며 미국 주식 시장 전반의 벤치마크로 간주됩니다.
일본 대표 주식시장 지수
닛케이 225:
1950년에 시작된 도쿄증권거래소의 주요 주가지수로, 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225개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영국 대표 주식시장 지수
파이낸셜 타임스 증권거래소 100 지수(FTSE 100):
1984년에 설립되어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의 실적을 추적합니다.
독일 대표 주식시장 지수
DAX 30:
1988년에 도입된 이 지수는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30대 기업의 실적을 나타냅니다.
프랑스 대표 주식시장 지수
CAC 40:
1987년 출시된 이 지수는 유로넥스트 파리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40대 기업의 실적을 추적합니다.
중국 대표 주식시장 지수
상하이증권거래소 종합지수(SSE 종합):
1990년에 시작되었으며,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A주 및 B주 포함)의 성과를 반영합니다.
인도 대표 주식시장 지수
봄베이증권거래소 센섹스(BSE SENSEX):
1986년에 설립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로 봄베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재무적으로 건전한 30개 기업의 실적을 나타냅니다.
캐나다 대표 주식시장 지수
S&P/TSX 종합지수:
1977년에 도입된 이 지수는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기업의 실적을 추적하며 다양한 섹터를 포괄합니다.
호주 대표 주식시장 지수
S&P/ASX 200:
2000년에 출시된 지수로, 호주증권거래소(ASX)에 상장된 상위 200개 기업의 실적을 나타냅니다.
세계 최초 주식 시장: 브뤼셀 증권거래소
세계 최초의 공인 주식 시장은 벨기에에서 설립되었습니다. 브뤼셀 증권거래소라고도 알려진 브뤼셀 증권거래소는 현재도 운영 중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증권 거래소로 꼽힙니다.
브뤼셀 증권거래소는 프랑스가 벨기에를 점령하던 1801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상인과 투자자가 모여 주로 농산물을 비롯한 상품을 사고 팔 수 있는 실제 시장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권으로 사업을 확장하여 주식과 채권 거래의 허브로 자리 잡았습니다.
브뤼셀 증권거래소의 설립은 전 세계 현대 주식 시장의 발전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브뤼셀 증권거래소는 공식화된 거래, 표준화된 계약, 규제된 거래와 같은 개념을 도입했으며, 이는 이후 증권거래소의 기능에 토대가 되었습니다. 이후 전 세계 여러 나라에 증권 거래소가 생겨나면서 증권 매매를 촉진하고 기업이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