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彈劾)의 뜻은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 파면이 곤란하거나 검찰 기관에 의한 소추가 사실상 어려운 대통령·법관 등 고위공무원을 국회에서 소추하여 파면하거나 처벌하는 행위 혹은 제도로 선출직 공무원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탄핵뜻 彈劾 impeachment 유래와 기원 사례
탄핵뜻 영어 한자
- 탄핵뜻: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 파면이 곤란하거나 검찰 기관에 의한 소추가 어려운 대통령 등 고위공무원을 국회에서 소추하여 파면하거나 처벌하는 행위 혹은 제도로 선출직 공무원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는 중요한 수단
- 한자: 彈 탄알 탄 劾 꾸짖을 핵으로 여기서 彈자는 ‘탄알’이나 ‘탄핵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로 탄알이 상대에게 타격을 준다는 의미에서 ‘탄핵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 영어: impeachment, impeach
탄핵 彈劾 impeachment 유래와 기원
탄핵은 특정 범죄나 위법 행위를 저지른 공무원을 공직에서 해임하기 위해 일부 국가, 특히 미국에서 사용되는 정치적 절차입니다. 탄핵의 기원은 영국 의회의 전통과 공무원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는 개념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영국, 탄핵의 기원
탄핵의 개념은 의회가 군주의 측근을 포함한 공무원의 권력 남용이나 기타 위법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권한을 가졌던 중세 영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탄핵 impeachment"이라는 단어 자체는 "방해하다" 또는 "고발하다"라는 뜻의 고대 프랑스어 "empeechier"에서 유래했습니다.
미국의 탄핵 제도
미국 헌법을 제정한 사람들은 탄핵에 관한 조항을 미국 헌법에 포함시킬 때 영국의 탄핵 관행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미국 헌법 제2조 4항은 "대통령, 부통령, 그리고 미국의 모든 공무원은 반역, 뇌물수수, 또는 기타 중범죄 및 경범죄에 대한 탄핵 및 유죄 판결에 의해 그 직위에서 해임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탄핵의 가장 유명한 사례들
앤드류 존슨 탄핵 (1868)
미국 제17대 대통령인 앤드류 존슨은 탄핵을 당한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그는 전쟁부 장관인 에드윈 스탠튼을 해임함으로써 공직 임기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하원에서 탄핵당했습니다. 존슨은 상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아 가까스로 대통령직 해임을 피했습니다.
리처드 닉슨 탄핵 (1974)
미국 제37대 대통령인 리처드 닉슨은 탄핵되지는 않았지만, 탄핵이 임박하자 대통령직에서 사임했습니다. 워터게이트 스캔들은 행정부 내 불법 활동 및 은폐와 관련된 사건으로 하원에서 탄핵 절차로 이어졌습니다. 닉슨은 탄핵되기 전에 사임했고, 제럴드 포드 부통령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빌 클린턴 탄핵 (1998)
미국의 42대 대통령인 빌 클린턴은 백악관 인턴이었던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혼외정사와 관련된 위증 및 사법 방해 혐의로 하원에서 탄핵을 당했습니다. 그러나 상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아 남은 임기 동안 대통령직을 유지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탄핵 (2019, 2021)
미국 제45대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는 하원에서 두 차례 탄핵을 당했습니다. 첫 번째 탄핵은 우크라이나와의 거래와 관련된 권력 남용 및 의회 방해 혐의로 2019년에 발생했습니다. 상원은 그를 무죄로 판결했습니다. 두 번째 탄핵은 지지자들의 미 의사당 습격에 따른 내란 선동 혐의로 2021년에 일어났습니다. 그는 상원에서 다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2004년 3월 12일)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이 정한 중립의무 및 헌법 위반을 사유로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되었습니다. 이후 2004년 5월 14일 헌법재판소에서 기각이 결정되어 대통령직으로 다시 복귀하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2016년 12월 9일~2017년 3월 10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등의 헌법과 법률 위반 혐의를 사유로 대통령 탄핵 소추안 국회 가결되었습니다. 이후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에서 인용을 결정하면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습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