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WA는 실물 자산의 약자로, 채권, 주식, 부동산, 탄소배출권 등 실제 세상에 존재하며 내재적 가치가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RWA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토큰화할 수 있으며, 이는 분산 원장에 저장, 전송, 거래할 수 있는 자산의 디지털 표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WA란 무엇이며 체인링크, 수이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이번 글에서는 체인링크, 수이, 에이다 등 세 가지 암호화폐가 각자의 기술을 사용해 RWA 토큰화의 과제와 기회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최근 성과와 기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RWA를 토큰화하면 유동성, 투명성, 효율성, 접근성을 높이는 등 자산 소유자, 투자자, 개발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으나 RWA를 토큰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토큰을 실제 자산에 연결하는 데이터와 거래의 정확성, 보안, 규정 준수 보장 등 몇 가지 과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여기서 블록체인 오라클, 레이어 1 플랫폼, 스마트 컨트랙트가 중요한데 오라클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자체 실행 계약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외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레이어 1 플랫폼은 스마트 컨트랙트와 토큰화를 지원하는 기본 블록체인입니다.
체인링크: RWA 데이터를 위한 업계 표준
오라클 네트워크 체인링크는 스마트 콘트랙트를 시장 가격, 날씨 데이터, 스포츠 경기 점수, RWA 데이터 등 모든 외부 데이터 소스에 연결하는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입니다. 체인링크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는 오프체인 데이터에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액세스하고 사전 정의된 조건에 따라 온체인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을 토큰화하는 스마트 콘트랙트는 체인링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출처에서 부동산의 감정가, 점유율, 유지보수 비용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토큰의 가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체인링크는 다음과 같이 RWA 토큰화에 관여하는 많은 프로젝트와 플랫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송장, 로열티, 대출과 같은 실제 자산으로 자산 지원 토큰을 생성할 수 있는 프로토콜인 Centrifuge는 체인링크를 사용하여 토큰화된 자산에 대한 담보 가치 평가, 자산 출처, 결제 정산을 제공합니다.
LCX는 토큰화된 증권과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는 규제된 거래소이자 플랫폼으로 LCX는 체인링크를 사용하여 시장 데이터, 가격 피드, 보안 토큰 및 DeFi 제품에 대한 규정 준수 확인을 제공합니다.
넥소는 암호화폐 자산을 담보로 대출과 이자 계정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디지털 자산 대출서비스로 넥소는 체인링크를 사용하여 대출 및 차입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가치 평가, 청산, 이자 지급을 제공합니다.
체인링크는 1,000개가 넘는 통합과 파트너십을 통해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널리 채택된 오라클 네트워크입니다. 체인링크의 기본 토큰인 LINK는 오라클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노드 운영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LINK는 24년 2월 6일 기준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개 암호화폐 중 하나이며, 현재 가격은 18.66달러 수준으로 LINK는 오라클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와 체인링크의 네트워크 및 기능 확장에 힘입어 지난 1년 동안 300% 이상 상승했습니다.
체인링크가 데이터 스트림,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검증 가능한 무작위성 등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함에 따라 LINK는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이(SUI): 레이어1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
Sui는 디지털 자산 소유권을 빠르고, 비공개적이며, 안전하고,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레이어 1 블록체인 및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수이는 메타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Diem(구 Libra)의 전직 엔지니어와 연구원들이 설립한 웹 3.0 인프라 스타트업인 미스텐 랩스에서 개발했습니다.
Sui는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인 Move와 확장 가능하고 탈중앙화된 안전한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토큰화된 실제 자산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RWA와 관련이 있습니다.
Sui는 게임, 커뮤니티, 상거래를 포함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RWA 토큰화를 활용할 수 있으며 Sui의 네이티브 토큰인 SUI는 네트워크 수수료, 검증자의 지분,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됩니다.
SUI는 출시 이후 가격과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시가총액이 10억 달러 이상에 이르렀으며 SU 네트워크가 생태계를 확장하고 다른 프로젝트 및 플랫폼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함에 따라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1) 체인링크(LINK)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chainlink/.
(2) Chainlink: 업계 표준 웹3.0 서비스 플랫폼. https://chain.link/.
(3) Chainlink: 그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가 https://www.investopedia.com/chainlink-link-definition-5217559.
(4) 수이 | 웹2.0의 편리함으로 웹3.0의 이점 제공. https://sui.io/.
(5) '유통량 논란' 겪고 있는 수이(SUI)란? 향후 전망은? https://www.btcc.com/ko-KR/academy/crypto-basics/about-sui.
(6) 수이 소개 - 블록체인의 약속을 이행하는 수이. https://sui.io/intro-to-sui.
(7) 가상화폐 수이(SUI)는 무엇인가...3가지 특징과 현재에 대해 설명 https://www.coindeskjapan.com/learn/sui/.
(9) Sui 구성 요소 | Sui 문서. https://docs.sui.io/concepts/components.
(9) 실물자산토큰 RWA 관련 코인 종류, 의미, 자산규모 정보 https://m.blog.naver.com/lastgod2/223226639279.
(10) RWA(실물자산) 이해. https://academy.gopax.co.kr/rwa-real-world-assets-silmuljasan-tokeunhwa-iha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