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배우기

고사성어 금성탕지 (金城湯池) 뜻과 유래 완전 정복

지적허영 2023. 7. 16.
반응형

금성탕지는 쇠로 만든어진 성과 그 둘레에 파 놓은 뜨거운 물로 가득 찬 연못이라는 뜻으로, 방어 시설이 잘되어 있는 성을 이르는 고사성어로 한서의 괴통전에 나오는 표현입니다.

 

금성탕지 (金城湯池)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한서 漢書』 괴통전 蒯通傳

 

전국의 난세를 통일해서 공전(空前)의 대제국이 된 진(秦)도 시황제(始皇帝)가 죽고 암우한 2세 황제가 즉위 하자 점차 토대가 흔들리기 시작하여 각지에 잠복하고 있던 전국 시대의 여섯 강국(六强國)의 종실(宗室), 유신(遺臣)들이 하나 둘씩 고개를 들고 진 타도를 위해 일어섰다.

 

그리하여 제각기 왕을 자처하고 군사를 일으켜 군현(郡縣=秦은 봉건제 封建制가 아니고 郡縣을 두는중앙집권제 中央集權制를 택했다)의 장을 죽이고, 성시(城市)를 점령하고 기세를 올려 진실(秦室)의 위령은 완전히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그 무렵 무신(武臣)이란 자가 조(趙)의 구영지(山西省)를 평정하고 무신군(武信君)이라 칭했다.

 

이것을 본 괴통(蒯通)이란 범양(范陽)의 논객이 현령(縣令)인 서공(徐公)에게 말했다.

 

「당신은 지금 극히 위험한 상태에 처해 있으므로 딱하기 짝이 없읍니다. 그러나 이 내말을 듣는다면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될 것입니다. 아주 경사스러운 일입니다」

 

서공은 놀라서 물었다. 「어째서 위험한가?」

 

「생각해 보십시요 당신이 현령이 된지 10여년간 진(秦)의 형벌이 지나치게 엄했던 관계로 아비를 살해당한 자, 다리를 깔린 자, 문신을당한 자 등 많이 있읍니다.

 

내심으로는 다 진 (秦)을 아니 직접적으로는 당신을 원망하고 있으나 누구도 감히 당신에게 위해를 가하려고는 하지 않았읍니다. 그것은 진(秦)이 무서웠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천하가 어지러워진의 위령(威令)은 시행되고 있지 않으므로 사람들은 이제야말로 당신을 죽여 원한을 풀고 이름을 날리려고 합니다. 정말 딱하기 그지 없는 일입니다」

 

「그럼、그대의 말을 들으면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

 

괴통은 앞으로 바싹 다가 앉아 이렇게 말했다. 저는 당신을 대신해서 무신군(武信君)과 만나 이렇게 말을 하겠읍니다.

 

『싸움에 승리를 얻어 땅을 빼앗고 공격해서 성을 함락시키는 것은 너무나도 희생이 크다. 내 계략을 써서 싸우지 않고 땅과 성을 손에 넣는 방법을 취하면 어떻겠는가 라고?』

 

무신군은 틀림없이 『그건 어떤 방법인가?』 하고 물을 것입니다.

 

 

그때 나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만약 당신이 범양(范陽)을 공격해서 현령이 힘이 다해 항복했을 경우, 현령을 푸대접 한다던 죽음을 겁내고 부귀를 탐내고 있는 여러 곳의 현령들은 모처럼 항복을 했는데 저런 꼴을 당한다면 손해다』라고 더욱 더 군비를 충실하게 해서 펄펄 끓는 열탕(熱)의 못()에 둘러 싸인 강철(金)의 성(城)…(금성탕지 金城湯池)과 같이 철벽의 수비를 굳혀 당신의 군대를 기다릴 것이다.

 

이래서는 일이 어려워진다. 나는 감히 충고한다. 부디 범양의 현령은 두텁게 맞아 각처로 사신을 보내시요. 각처의 현령은 그것을 보고『범양의 현령은 재빨리 항복을 했기 때문에 살해되기는 커녕 도리혀 저처럼 대접을 받고 있다. 그럼 어디 나도…』하고 생각하게 되어 다들 싸우지 않고 항복할 것입니다. 이것이 천리나 되는 저쪽까지 손쉽게 평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말하면 무신군도 별 수 없이 들어줄 것입니다」 서공(徐公 )은 기뻐했다. 곧 괴통(蒯通)을 무신군에게 보냈다. 무신군도 괴통의 말을 듣고 「그럴듯 하다」고 탄복하고 범양의 현령을 따뜻하게 맞아서 각 곳을 향해 사신을 보냈다.

 

범양의 백성들은 전화(戰火)를 면하자 크게 서공의 덕(德)이라 칭송하고, 싸우지 않고 무신군에게 항복한 자가 화북에서만도 30여성이나 되었다고 한다(『漢書』蒯通傳)

 

또한『사기 史記』에는「시황제도 관중(關中)의 땅을 금성천리(金城千里)의 땅이라 생각했다」는 말이 있다.

 

『한서 漢書』에는「석성십인(石城十仞) 탕지백보(湯池百步) 그리고『후한서 後漢書』에도 「금탕(金湯) 위험(危險)을 잃다」라는 말이 나온다.

금성탕지 (金城湯池)  실 사용 사례

금성탕지
금성탕지

인조반정 후 이이반과 김개시는 참수형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광해군은 얼마든지 인조반정을 막을 수 있었다. 그랬다면 자신에게 낙인처럼 각인된 군(君)이라는 주홍글씨에서 해방되었을 수도 있었다. 또한 국가를 금성탕지(金城湯池)의 반석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출처 : 뉴스포르테(http://www.newsfortes.com)

2023.07.16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권토중래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고사성어 권토중래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권토중래는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두목(杜牧)의 시 '오강정 쓰다'에 나오는 고사성어입니다. 오강은 항우가 패전 후 부형을 대할 면목이 없다고 스스로 목을 친 곳으로 두목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