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명경지수는 글자 그대로 밝은 거울과 정지한 물로 그와같이 마음의 상태가 깨끗하고 흔들리지 않는 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관련 유래는 장자 덕충부편 및 응제왕편 등에 소개되고 있다.
명경지수 明鏡止水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덕충부편 德充符篇
명경지수 明鏡止水 뜻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과 같이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가리키는 말.
명경지수 明鏡止水 유래
맑게 때 하나 끼지 않은 거울과 조용히 멈춰 움직이지 않는 물을 맑고 동요 없는 심경에 비유하는데 쓰는 말로 선가(禪家)의 상투어이기도하나 중국 고전에서는 『장자(莊子)』에서 그 뜻을 시사(示唆)하는 듯한 이야기가 두 셋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것을 소개하겠다.
하나는「덕충부편(德充符篇)」에 있는 이야기다. 노(魯)나라에 올자(元者=刑으로 다리를 잘린 자)인 왕태(王駘)라는 인물이 있었다. 학덕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상당히 평판이 좋아 그 문하에 모이는 자는 공자의 문제(門弟)와 필적할 정도로 많았다.
공자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상계(常季)는 그것을 보고 내심(內心) 재미가 없어 공자에게 저 다리 하나 밖에 없는 병신은 보기에 그리 뛰어난 점도 없는듯 한데 도대체 어떤 인물입니까 하고 물었다.
그러자 공자는 왕태는이미 성인의 역에 도달한 훌륭한 인물이라는 것을 설명해 주고 「그 분은 이미 천지 자연의 실상(實相)을 다 터득하여 외물(外物)에 끌려 마음을 동요시키는 일이 없고, 만물의 변화를 자연 그대로 받아들여 도(道)의 본원을 지키고 있는 분이며 이목(耳目)에 비치는 미추(美醜)에는 통 마음을 쓰지 않고 오로지 마음을 지미지락(至美至樂)의 덕에 기울이되 만물을 다 같은 것으로 본다. 득실(得失)은 문제가 아니므로 그까짓 다리 하나쯤은 마치 흙덩이라도 버린 것과 같이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하고 가르쳤다.
상계(常季)는 비로소 왕태가 수양의 극치에 달한 인물이란 것을 그런대로 인정했으나 그와 같은 인물이 어째서 또 많은 사람들에게 사모되고 있는가를 질문했다.
그에 대해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것은 결국 그 분의 그 무엇에도 움직이지 않는 마음의 고요함 때문이다. 대저 사람이 자기 모습을 물에 비추어 보려고 할 때에는 흐르는 물이 아니고 조용히 정지되고 있는 물을 거울로삼을 것이다. 그와 같이 그저 언제나 변함이 없는 부동심을 지니고 있는 사람만이 타인에게도마음의 안정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마음의 고요함이 지수(止水)의 평정함에 비교해서 이야기되고 있다。
또 같은 편(篇)의 다른 곳에서는 올자(元者)인 신도가(申徒嘉)라는 인물이 자기의 선생인 백혼무인(伯昏無人)의 현덕을 칭송하며 「거울이 맑으면 먼지가 끼지 않으나 먼지가 끼면 맑지 못하다. 그와 같이 인간도 오랫동안 현자하고 함께 지내면 마음이 깨끗해져 과오가 없어진다」 라는 말을 하고 있다.
여기서는 명경(明鏡)이 현자(賢者)의 밝고 맑은 마음에 비유되어 있다.
또 하나 장자(莊子)는 「응제왕편(應帝王篇)」에서「지인(至人)」즉 지덕(至德)의 성인 모습을말하며 「지인(至人)」의 마음 가짐은 저 환하게 맑은 거울에나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명경(明鏡)은 사물의 오고감에 내맡긴채 자진의 뜻을 나타내지않는다. 미인이 오면 미인을 비추고 추부(醜婦)가 오면 추부를 비쳐 어떤 것이라도 응접을 하나 그 자취를 남기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얼마든지 물건을 비추면서도 본래의 맑음을 상하게 하는 법이 없다. 그와 같이 지인(至人)의 마음 가짐도 사물에 대해 차별도 없고 집착도 없으므로 자유자재(自由自在)일 수가 있다」고 했다.
2023.07.30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맥수지탄 麥秀之嘆 뜻과 유래 알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