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즉제인은 남보다 먼저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항우와 관련이 있다. 진나라가 멸망하는 시기에 항우의 작은아버지인 항량은 당시 강동(江東)의 회계군 군수였던 은통(殷通)의 목을 먼저 쳐서 선즉제인을 실천했다.
선즉제인 先則制人 뜻과 유래 배우기
출처.출전 『사기 史記』 항우본기 項羽本紀
선즉제인 先則制人 뜻과 한자
先 먼저 선 則 법칙 칙 制 절제할 제 人 사람 인
선즉제인은 남보다 먼저 일을 도모하면 능히 남을 누를 수 있다는 뜻이다.
선즉제인 先則制人 유래
진(秦)의 二세 원년(元年 B C 209) 7월 안휘성 대택향(大澤鄕)에서 진(秦)의 폭정에 반항하여 봉기한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농민군은 하남성에서 구6국(舊六國)의 귀족 - 위(魏)의 구관료(舊官僚)였던 장이(張耳)와 진여(陳余) 기타의 세력을 합쳐 파죽지세로 진(秦)의 수도 함양(咸陽)을 향해 진격하고 있었다.
강동(江東)의 회계군 군수였던 은통(殷通)도이에 호응하고자 군도(郡都)인 오중(吳中)에서 유력자인 항량(項梁)을 불러 의논했다.
항량은 진군(秦軍)에게 패사한 초(楚)의 명장 항연(項燕)의 아들이었으나 사람을 죽이고 조카 항우와 함께 오중으로 피신해와 있었는데 타고난 재주인 병법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부역 등에서 중인을 구사하여 장사인 항우와 함께 오중에서 외경(畏敬)되고 있는 실력자였다.
은통은 항량을 불러 이렇게 의논을 했다.
「이제 강서지방은 다 반기를 들었는데 그 형세를 보면 이미 하늘이 진(秦)을 멸망시킬 시운(時運)이 되었다고 본다. 선즉제인(先則制人)이고 후즉제어인(後則制於人)이 된다는 말이있다. 그래서 그대와 환초(桓楚) 두 사람에게 거병(擧兵)의 지휘를 위임하고 싶네」
은통은 시류(時流)의 버스를 놓치지 않고자 초(楚)의 귀족이고 병법에도 능통한 실력자인 항량을 이용하려고 했으나 소위 엿장수맘대로는 되지 않았다.
환초(桓楚)가 도망가 행방불명이었던 것이다. 항량은 그것을 이용했다.
「환초는 지금 도망중이라 어디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조카 항우만이 알고 있읍니다」 그렇게 말하고 항량은 방에서 나가 항우와 귓속말을 하고나서 다시 방으로 들어와 앉았다.
「항우를 불러 환초를 소환하도록 명령을 내려주십시요」
「그렇게 하지」
「그럼」하고 항량은 항우를 불러들였다. 잠시 후 항량은 항우에게 눈짓을 했다. 「해치워!」
항우는 휙 칼을 뽑아 은통의 목을 잘랐다.
「선수를 치면 곧 남을 제압하고 후수가 되면 남에게 제압을 당한다」를 실제로 행한 것은 은통이 아니고 항량과 항우였다.
항량이 스스로 회계군수가 되어 군서(郡署)를 점령했고 8천의 정병을 고스란히 손에 넣어 재치있게 거병(擧兵)했다.
이것은 『사기 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실려 있는 기록이나 『한서 漢書』의 「항적전(項籍傳)」에는 「선발(先發)하면 남을 제압(制壓)하고 후발(後發)하면 남에게 제압(制壓)당한다」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은통(殷通)의 말이 아니고 항량(項梁)의 말로서 기록되고 있다. 또『隋書』의 「이밀전(李密傳)」에도 「선발하면 남을 제압한다. 이 기(機)를 잃어서는 안된다」는 말이 보인다. 또 늦으면 곧 남에게 제압당하게 된다」는 흔히「늦으면 남에게 제압된다」로 쓰이고 있다.
뉴스 속 선즉제인 先則制人 활용 예시
부안군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선즉제인(先則制人·먼저 도모하면 능히 이룰 수 있다)’의 마음으로 미래 100년 먹거리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수소산업 플랫폼 구축사업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전라일보
2023.08.15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선종외시 先從隗始 뜻과 유래 배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