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양은 주나라 후반 도읍으로 낙양지가귀란 낙양거리의 종이 값을 올리게 한다는 뜻으로 책이 많이 팔리는 것. 즉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좌사(左思)의 삼도의 부가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낙양의 종이 값이 올라갔다는 것을 비유한 이야기다.
낙양지가귀 洛陽紙價貴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진서 晋書』 문원전 文苑傳
낙양지가귀 뜻
낙양(洛陽)의 종이가 귀(貴)해졌다.
洛 물 이름 락(낙) 陽 볕 양 紙 종이 지 價 값 가 貴 귀할 귀
낙양지가귀 유래
낙양(洛陽)하면 그때까지 협곡을 흐르고 있던 황하(黃河)가 산간(山間)에서 평야지대로 옮겨지려고 하는 곳, 남쪽 기슭에 있는 도시의 이름으로 남쪽에서 황하로 흘러드는 낙수(洛水)의 양(陽)에 해당하는 북쪽에 있으므로 낙양(洛陽)이라 불리웠다.
주대(周代) 후반 춘추시대초기(BC 770) 견융(犬戎)이란 이민족의 압력을 피해 산간부(山間部)에서 나온 평왕(平王)이 이 낙양을 도읍으로 삼은 것이 인연으로 이후 후한 서진(西晋)·후위(後魏)·수(隋) 등 이곳을 도읍으로 한 왕조는 적지 않다.
그래서 전한·당(唐)이 도읍지로 삼았던 서쪽의 장안(長安)에 견주어 중국에서는 배도(陪都=부수도)라고도 한다.
그래서 낙양지가귀란 성어(成語)는 그처럼 번화한 거리의 종이 값을 올리게 한다는 뜻이 된다.
3세기 삼국시대 다음인 서진(西晋)이라고 불리던 시절 좌사(左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얼굴이 못생긴데다 구변(口辯)도 없어 다른사람하고 상종을 않고 혼자서 쓸쓸하게 살고 있었다.
그러나 자기 고향인 제(齊)나라 지방에 대한 제도의 부(齊都之賦)라는 서사시(敍事詩)를 지어 자신이 생긴 후 이번에는 삼도의 부(三都之賦)를 지어보겠다고 결심했다.
삼도란 삼국시대의 세 개의 도읍 즉 위나라의 업(鄴), 오나라의 건업(建業), 촉나라의 성도(成都)다.
집안도 좋지 않고 가난하며 남에게서는 멍청이 취급을 받기 일수인 얼굴, 거기다 구변이 없는 그는 좀체로 뜻하는 지위에 나갈 수 없었으므로 득의(得意)로 하는 부(賦)의 형식으로 이 세 도읍의 활기찬 모습을 노래로 지어 세상의 귀족들을 깜짝 놀라게 해주고자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보면 이 서진(西晉) 시대도 원래는 위(魏)나라 조조의 신하였던 사마중달(司馬中達)의 자손이 세운 나라다. 지위나 세력은 천생으로 타고난 것은 아닐텐데 하고 그는 다른 시로 자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詠史 읊을 영).
그는 도읍지 낙양에 이사하여 살면서 구상을 짰다. 방에는 물론 뜰에까지 종이와 붓을 놓아 두고 언제나 떠오르는 글귀가 있으면 곧 써 두었다.
그렇게 하기를 1년 마침내「삼도의 부(三都之賦)」가 완성되었다.
집안도 좋고 재능도 남달리 뛰어난 것이 걱정이 된다고 남들에게 말을 듣고 있던 육기(陸機)는 자기가 노리고 있는 것과 똑같은 시를 좌사(左思)가 짓고 있다는 말을 듣고, 그처럼 종이를 허비해도 술독을 봉하는 휴지로 쓰이는 것이 고작일 테지 하며 비웃고 있었으나 좌사가 지은시를 읽고, 이건 안되겠다 싶어 그 후로는 시를 짓는 일을 그만 두어버렸다고 한다.
그런 작품이었으므로 그때의 유명한 시인이 서문을 쓰고 또 주를 달기에 이르렀으니 귀족이나 부자들은 서로 다투어「삼도의 부」를 복사했 다. 그 때는 아직 인쇄술이 없었으므로 종이를 사서 복사하였던 것이다.
붐은 붐을 불러 일으켜 마침내는 도읍지인 낙양의 종이값이 올라가고 말았다(『晉書』 문원전 文苑傳) 여기서 책이 잘되었다고 해서 많이 팔리는 것.즉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을「낙양의 지가가 높아진다」고 한다. 또 각자의 입장에서 혹은 작자를 칭찬해서 말하면 종이 값을 올리게 한다고하는 말이 된다.
2023.07.20 - [중국고전배우기] - 남풍불경 南風不競 고사성어 뜻과 유래 배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