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좌씨전에 나오는 고사성어 남풍불경은 남쪽 지방의 풍악(음악)은 힘도없고 생기가 없다는 뜻으로 힘이나 권력 또는 세력이 힘이 없음을 뜻한다.
남풍불경 南風不競 뜻과 유래
출전: 춘추좌씨전
춘추시대(春秋時代)도 말엽에 가까운 주영왕 (周靈王) 10년, 노양공(魯襄公)18년의 일이 었다. 정(鄭)의 자공(子孔)은 심한 야심에 불타고 있었다. 방해가 되는 여러 대부(大夫)를 제거하고 국권을 장악하려고 꾀했던 것이다.
당시 제후는 진(晉)을 맹주로 삼고 대두해온 제(齊)에 대한 토벌군을 일으켜 착착 그 포위진을 압축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그 틈을 타 자공(子孔)은 진(晉)에 반기를 들고 남쪽의 명문인 초(楚)의 군대를 사주(使嗾)하여 야망을 달성 시키고자했다.
사신을 초(楚)의 영윤(令尹)인 자경(子庚)에게 보내 그 뜻을 알렸으나 자경은 들어주지 않았다.
*지방의 장관(令 하여금 영 尹 다스를 윤)
그런데 초강왕(楚康王)이 그 소리를 듣고 자경에게 사람을 보내어 「내가 사직(社稷)을 맡아서 지킨지 5, 아직 군대를 파견한 예가 없다. 국민들은 나를 가리켜 스스로 안일(安逸)에 젖어서 선군(先君)의 유업(遺業)을 잊었다고 생각할런지 모른다. 대부(大夫) 어떻게 다시 생각해 주기 바란다.」
국가의 이익을 가장 제일로 걱정하고 있는 자경(子庚)은 그 말을 듣고 깊이 탄식했으나 상대가 국왕이고 보니 사자에게 엎드려서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현재 여러 제후들은 진(晉)에게 쏠리고 있읍니다만 하여튼 어디 한 번 부딪쳐 보기는 하겠읍니다. 잘 된다면 우리 주상께서도 나서 주십시요. 잘 되지 않을 때에는 군대를 회군하시도록. 그렇게 하면 손해도 없고 우리 주상의 치욕이 되지도 않을 것입니다.」
자경(子庚)은 군대를 이끌고 정(鄭)으로 출격해 나갔다.
정백(鄭伯)의 일통(一統)은 제(齊)나라 토벌에 참가하고 있어 자공(子孔), 자전(子展), 자서(子西)가 나라를 지키고 있었다.
자전(子展), 자서(子西)의 두 아들은 자공(子孔)의 야심을 알고 있으므로 본성(本城)의 수비는 게을리 하지 않았다.
자경(子庚)의 군대는 각지를 전전해서 침략을 계속했으나 성하(城下)에는 겨우 이틀 동안 주둔했다가 철수해야할 형편이었다. 어치산(魚齒山) 기슭을 지날 때 큰비를 만나고 추운 겨울이라 인마는 꽁꽁 얼어 군대는 거의 전멸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진국(晉國)에서도 초군이 출동했다는 소문은 퍼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광(師曠=晋의 樂官)이 말하기를 「뭐 대단한 일은 없을 것이다. 나는 전부터 남방의 노래 북방의 노래를 연구했는데 남방의 음조는 미약해서 조금도 생기(生氣)가 없다(남풍불경사성다 南風不競死聲多) 군은 반드시 실패할 것이다」
동숙(董叔=曆數家)도 금년 운수 이달의 운 역시 서북방(西北方)에 유리하다. 남군은 때를 얻지 못하고 있다. 반드시 성공을 거두지 못할 것이다.」
숙향(叔向=政治家)도 「모든 것은 임금의 덕(德)에 의하는 것이다」 세 사람이 다 같은 예언을 한 셈이다.
이것은『左傳』의 양공(襄公) 18년 조항에 있는 이야기고 일반적으로 기세를 떨치지 못하는 일에 잘 쓰는 말이다.
2023.07.20 - [중국고전배우기] - 남상 濫觴 뜻과 유래 완전 정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