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지지는 한비자의 설림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아무리 똑똑한척 해도 그 지혜가 늙은 말이나 개미만도 못한 때가 있는 법이라는 의미로 관중과 습붕도 노마나 개미를 스승으로 삼기를 꺼리지 않으나 어리석은 사람들은 성인의 지를 스승으로 삼지 않는다.
노마지지 老馬之智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비자 韓非子』설림 說林
노마지지 뜻
늙은 말의 지혜(智慧ㆍ知慧)」라는 뜻으로
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과 특기가 있다는 의미
저 마다 한 가지 재주는 있다는 의미
老 늙을 로(노) 馬 말 마 之 갈 지 智 슬기 지
출처: 네이버 한자사전
노마지지 유래
관중(管仲)은 춘추시대의 오패(五覇)의 한명인 제환공(齊桓公)을 도운 명재상으로 그 관중의 병이 무거워졌을 때 자기의 후임을 추천하라는 요청을 환공으로부터 받고 소위「관포지교」를 맺은 포숙아(飽叔牙)보다 습붕(隰朋)이 적임이라고 추천을 했다.
환공이 이 관중, 습붕들을 이끌고 소국인 고죽(孤竹)을 토벌하고자 군사를 일으켰을 때의 일이다. 공격을 시작했을 때는 봄이었으나 싸움이 끝나고 귀로에 오를 때는 계절도 어느덧 겨울이 되어 있었다.
살을 에이는 찬바람과 악천후 밑의 행군은 왕로와는 전혀 달라 고생이 대단했다. 산을 넘고 골짜기를 넘어 고생고생하면서 군을 진군시키고 있을 때 환공의 군대는 돌아가는 길을 잃은 적이 있었다.
지독한 추위 속에 덜덜 떨면서도 대장(隊長)들은 저쪽이 아닌가? 아냐, 이쪽 못(澤)을 건너야 하지 않나? 하며 확신도 없이 쩔쩔 매고 있을 때 관중이 딱잘라 이렇게 말했다.
「이런 때는 늙은 말이 본능적 감각으로 길을 찾아낸다」 그래서 짐말(荷馬) 중에서 한 마리의 노마(老馬)를 골라 수레에서 풀어 주었더니 말은 잠시 두리번거리며 길을 찾는듯 싶자 잠시후 어느 방향으로 걷기 시작했다.
그것을 따라 길 없는 길을 가는 동안에 노마는 마침내 길을 찾아 병사들은 무사히 행군을 계속할 수가 있었다고 한다. 또 험한 산속 길을 진군했을 때 전군은 휴대하고 있던 물은 다 마셔버렸는데 가도 가도 샘은 커녕 냇가도 나타나지 않았다.
군사들은 목마름에 허덕여 더 이상 한 걸음도 전진할 수가 없게 되었다. 하나 이때 습붕(隰朋)이 이렇게 말했다.
「개미란 것은 겨울에는 산의 남쪽에 집을 짓고 여름에는 산의 북쪽에 집을 짓는 법인데 한치의 개미집이 있으면 그 아래 8척이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다.」
그래서 개미집을 찾아 그 지하를 파보니 콸콸 물이 용솟음쳐 나왔다고 한다.
한비자(韓非子)의 「설림(說林)」에서는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지금 시대의 사람들은 명민한 머리도 갖고 있지 않으면서 뽐내고 있다-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관중의 성(聖)과 습붕(隰朋)의 지(智)로 써도 그 모르는 곳에 이르면 그 지혜가 노마(老馬)나 개미도 스승으로 삼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 지금 사람은 그 어리석은 마음(愚心)으로도 성인(聖人)의 지(智)를 스승으로 삼는 것을 모른다. 이 역시 잘못이 아닌가」
노마(老馬)의 지(智)란 뭐든지 안다고 제아무리 잘난체 해도 그 지혜가 노마나 개미만도 못한 때가 있는 법이다. 즉 아무리 하찮은 인간이라도 사람은 각각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2023.07.22 - [중국고전배우기] - 낙양지가귀 洛陽紙價貴 고사성어 뜻과 유래 배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