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공부하기 3편

지적허영 2023. 4. 8.
반응형

모든 지각(知覺)은 정신을 자극한다. 의식에 들어오는 힘과 생생함[직접성]의 정도에 따라 강한 것은 인상(印象) impression, 약한 것은 (인상을 재현(再現)하는 심상(心想)[표상(表象)]인) 관념(觀念) idea이다. 지각은 항상 (지각과 일대일 대응하며 분리할 수 없는) 단순한 인상과 (결합한 인상들을 재현하며 분리할 수 있는) 복잡한 관념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중적이다. 경험을 통한 (직접적 지각인) 인상이 관념에 선행하며, (관념이 대상을 정확하게 재현한 것일 경우) 관념들 사이의 관계⋅모순⋅일치는 (외부) 대상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이것이 모든 지식의 기초이자, 내가 확립한 제1원리이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 오성(悟性)

 

흄은 모든 지각을 감각작용 feeling인 ‘인상’과 사고작용 thinking인 ‘관념’으로 구분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거나[인상] 생각할 때마다[관념] 언제나 함께 있고 싶다는 생각[욕망 또는 정념]은, 나의 심리적 상태 [관념]인 동시에 부정할 수 없는 하나의 사실[인상]이다. 그래서 지각은 항상 이중적이라고 말한다. 인상과 관념을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가장 근본적인 지각은 신체의 감각기관을 통해 발생하는 인상이므로, 흄에게 있어서 관념[의식]의 기초는 신체가 된다. 흄은 지각을 단순한 것과 복합적인 것으로 구별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인상은 거의 복합적이다. 눈은 대상의 색깔뿐만 아니라 크기나 모양 등도 함께[복합적으로] 지각하기 때문이다.

 

정념(情念) 정념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쾌락[좋아함 또는 긍지(矜持)]과 고통[싫어함 또는 소심(小心)] 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특정한 종류의 정서[감정]를 산출하는 데는 선악(善惡)이 제시되기만 하면 된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2권. 정념(情念)

 

인간 정신의 주요 원천 또는 작동 원리는, 쾌락과 고통이다. (이때의 ‘정신’은 ‘정념’을 의미 합니다) 그리고 쾌락과 고통의 감각이 사라지면, 우리는 대체로 정념을 느낄 수 없거나 행동 할 수 없고 욕구할 수도 없다. (벤담보다 정확히 50년 앞서서, 공리주의의 대전제(大前提)를 정확하게 표현한 셈입니다) 그리고 쾌락과 고통이 확실하거나 불확실하게 됨에 따라, 정신작 용은 욕구⋅혐오⋅비탄⋅기쁨⋅희망⋅두려움 등으로 다양화된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3권. 도덕(道德)

 

정념(情念)과 (정념에 일정한 가치판단과 욕구가 덧붙여진) 정서(情緖)는 모두 쾌락과 고통에 근거한다. 우리가 금지된 것을 욕구하고 금지된 행위를 했을 때 쾌락을 느끼는 것은, 그런 행동이 불법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프랑스 인류학자 르네 지라르 René Girard(1923~2015)의 (모방) 욕망의 삼각형 이론에서도 그리고 오스트리아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1856~1939)의 무의식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흄은 이것을 (격렬한 간접 정념인) 정서의 원인으로 파악한다

 

관념들은, 상상력에 의해 (단순관념들로) 분리되거나 (복합관념들로) 결합될 수 있다. 상상력이 사용하는 세 가지 연합(聯合)의 원리는 유사성(類似性)[유사(類似)관계] resemblance ⋅(시간이나 장소의) 인접성(隣接性)[시공(時空)관계] contiguity (in time and place)⋅인과성 (因果性)[인과(因果)관계] causation이다. 관념들은 유사성⋅인접성⋅인과성 세 가지 모두를 통해 연합하지만, 인상은 오로지 ‘유사성’을 통해서만 연합한다. (사실과는 무관하게 개념들 의 관계만을 고려하면서 확실한 지식 즉 진리를 탐구하는 ‘논증의 영역’인 이성이나 상상력과 는 달리, 인상이나 관념은 불확실한 신념 belief인 ‘사실의 영역’에 속하는 요소들입니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 오성(悟性)

 

뉴턴의 만유인력처럼, 흄은 단순지각들 사이에 작용하는 연합의 원리를 ‘부드러운[은근한] 힘’ gentle force이라고 부른다. 연합의 원리를 통해 우리 몸을 구성하는 분자들은 세포의 구성원이 되고, 세포들은 장기(臟器)의 구성원이 되며, 장기들은 개인의 구성원이 되고, 개인은 가족의 구성 요소가 되는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 요소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연합의 원리는 세계의 구성 원리이다. ‘유사성⋅인접성⋅인과성’은, 반복적 경험[습관]의 결과인 신념[믿음]의 원천인 동시에 오류와 선입견의 원천이기도 하다. 흄은 완전히 거짓이거나 완전히 참인 것만이 지식의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우리가 참이라고 믿을 수밖에 없는 사실에 관한 인식 내용을 신념[믿음]이라고 정의(定義)한 것이다. 물론 영원히 깨어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나는 내일 아침에도 잠에서 깨어날 것이다. 만일 이것을 사실로 믿지 않는다면, 내일의 일에 대해 어떤 준비나 결정도 할 수 없다. 이와 달리 논증의 영역에서 이성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실성의 대상이 되는 네 가지 연합의 원리는, ‘동일성[동일(同一)관계]⋅상반성(相反性)[반 대(反對)관계]⋅성질의 정도[질적(質的)관계]⋅양 또는 수의 비례[양적(量的)관계]’이다. 이 중 앞의 세 가 지는 ‘직관의 영역’이고 마지막은 ‘추론의 영역’에 속한다.

 

신념(信念)은 정념을 불러일으키는 데 있어서 거의 절대적인 역할을 하므로, 정념은 때가 되면 신념과 매우 흡사하게 된다. 신념은 우리의 의지에 종속되지 않는, 즉 우리가 마음대 로 할 수 없는 어떤 느낌이나 소감(所感)에 있다. 대상들은 어떤 연관도 갖지 않는다. 모든 연관성은, 상상력에 작용하는 습관과 반복 이외의 어떤 원리에서도 유래하지 않는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 오성(悟性)

 

우리의 정념을 증감(增減)시키고 쾌락을 고통으로 바꾸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습관과 반복이다. 신념은 현재의 인상과 관련된 생생한 관념일 뿐이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2권. 정념(情念)

 

논증의 영역에서 네 가지 연합의 원리를 사용해 얻은 추론을 사실의 영역에 적용하는 순간, 확실한 지식 [진리]이 신념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 흄의 주장이다. 사실의 문제에 관한 한, 인상을 (어쩔 수 없이 확실 한 지식이 아닌) ‘현실적인 지식’의 근거로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가 인식한 내용[인상]과 외부 대상 과의 일치 여부는 절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인상은 ‘진리’의 기준이 될 수는 없다. 이런 점 때문에 흄 은, 사실의 영역에서 우리는 기껏해야 신념의 단계에 머문다고 말한다. 사실의 영역과 관련된 문제들에서 (논증의 영역인) 이성은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일상생활에서 회의주의(懷疑主義)에 머물러 있을 수도 없기에, 신념이 어쩔 수 없는 대안이라고 흄은 말한다. 상상력이 만들어낸 복합관념은 참[진리] 일 수도 있고 거짓[허구]일 수도 있다. 복합관념에 대응하는 복합인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관념은 명 백한 거짓이다. 따라서 흄은, (우리가 어떤 모습이라도 떠올릴 수 있는) 인상과 관련된 관념만을 신념이라 고 말한다. 인상과 관련 없이 홀로 존재하는 관념은 허구일 뿐이다. (이 기준은 너무 불확실합니다. 사람 마다 상상력의 차이가 생각보다 꽤 크기 때문이죠)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사유할 수 있지만, 사유할 수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 대상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경험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면, 이성이 독단적으로 구성한 허구인 셈이다.

 

2023.04.08 - [분류 전체보기]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공부하기 2편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