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약무인(傍若無人)의 본래 뜻은 주위 사람을 신경쓰지 않는 당당함을 뜻 했으나 지금은 주로 부정적인 안하무인 뜻으로 뉴스속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방약무인의 유래는 진시황제의 암살과 관련된 자객전에서 찾을 수 있다.
방약무인 傍若無人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자객전 刺客傳
방약무인 傍若無人 뜻
傍 곁 방 若 같을 약 無 없을 무 人 사람 인
주위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
방약무인 傍若無人 유래
전국시대(戰國時代)도 거의 진(秦)의 통일로 돌아가 시황제의 권위가 군성(群星)을 눌렀을 때의 일이다. 위(衛)나라 사람으로 형가(荊柯)라는 자가 있었다.
그의 조상은 제(齊)나라 사람이었으나 그는 위(衛)로 옮겨살며 거기서 경경(慶卿)이라 불리었다. 책을 읽는 것과 검(劍)을 쓰는 것을 즐겨했다. 국사(國事)에도 마음을 쓰고 있었으므로 위(衛)의 원군(元君)에게 정치에 대한 의견을 말했으나 쓰여지지가 않았고 그 후로는 제국을 표박(漂泊)하며 돌아다닌 듯하다. 사람 됨됨이 침착하여 각지에서 현인·호걸과 사귀었다. 그 유력(遊歷)하는 동안의 이야기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전해진다.
산서(山西)의 북부를 지날 때 개섭(蓋聶)이라는 자와 검(劍)에 대해 논했다. 개섭이 화를 내고 노려보자 형가는 곧 일어나 떠나버렸다. 어떤 사람이 개섭에게 형가하고 다시 한번 논하면 어떠냐고 하자, 「아냐 시험삼아 여관에 가보라, 벌써 떠나고 없을테니까」 라는 대답.
사람을 시켜 가 보니 과연 떠나버린 뒤였다. 이 말을 들은 개섭은 「물론 그렇겠지. 방금 내가 노려보아서 위협을 주었으니까」 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 형가가 한단(邯鄲)에 갔을 때다. 노구천(魯句踐)이란 자와 쌍륙(雙六) 놀이를 하여 승부를 다투었다. 구천이 화를 내며 소리치자 형가는 말없이 도망쳐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연(燕)나라로 갔다. 거기서 사귄 것이 개백장과 축(筑)의 명수인 고점리(高漸離)였다. 축(筑)은 거문고 비슷한 악기로서 대(竹)로 현(絃)을 퉁겨서 소리를 낸다. 이 두 사람과 형가는 날마다 큰 길거리로 나가 술을 마셨다. 취기가 돌면 고점리는 축을 튕기고 형가는 여기에 맞추어 노래하며 함께 즐겼다.
감상(感傷)이 극도에 달하면 함께 울었다.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 같았다(傍若無人)
「방약무인(傍若無人)」이란 말은 『史記』의「자객전(刺客傳)」에 나오는 것이 처음이다. 곁에 아무도 없는 것같이 남의 눈치도 생각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이다.
그 때의 사람들은 대개가 형가의 이 행동을그렇게 생각하고 있었겠지만 「방약무인(傍若無人)」하면 제 고집만을 주장하는 무례함을 가르키는 수가 비교적 많다.
열심이 골몰을 해서「방약무인」한 것과 그저 품성에 따라 그런 것과 사람에 따라 각각다르다. 형가는 나중에 연나라 태자 단(丹)의 부탁을 받고 진왕(秦王)을 쓰러뜨리기 위해 죽음을 다짐한 길을 떠난다.
배웅하는 사람들 틈에 고점리도 있었는데 그들은 마침내 역수(易水)가에서 작별하게 되었다. 이때 고점리는 축을 퉁기고 형가는 이에 화(和)해서 저 [풍소소(風蕭蕭)…」의 노래를 불렸다.
이 두 사람, 형가는 끝내 성사(成事)를 시키지 못한채 죽고 고점리는 후에 장님이 되면서도 친구의 원수를 갚으려고 진왕(秦王)을 노리다가 역시 실패하여 형가의 뒤를 따라가게 된다.
그리하여 앞서 말한 노구천(魯句踐)은 형가에 대한 자기의 불명(不明)을 부끄럽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역수(易水)에서 이별 할 때 두 사람은 그와 같은 일을 알 턱이 없었다.
한 사람은 축을 퉁기고 한 사람은 노래하며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듯 했었으리라.
방약무인 傍若無人 관련 인물
- 진시황제 秦始皇帝
- 형가 荊柯
- 고점리 高漸離
- 연나라 태자 단 (丹)
뉴스 속 방약무인 傍若無人 활용 사례
- 안호영 의원도 “검사로서 평생 특권 속에서 살아왔던 윤 후보 그간 삶의 모습이 구둣발에 그대로 나타난다”며 “안하무인, 오만방자, 방약무인, 오불관언. 앞으로 국민들도 이렇게 대할 텐데”라고 적었다.
- 그는 또 “특사를 다녀왔으면 국회에 찾아와 보고하거나 말 못할 사정이 있다면 원내대표를 찾아와 사정이라도 설명하는 성의와 노력 보이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일 것”이라며 “문재인 정권의 권력이 얼마나 도도하길래 대통령 비서실장이라는 자가 국민과 야당을 우습게 아는 오만방자, 방약무인으로 일관하는지 ‘메뚜기도 한철’이란 사실을 분명히 전한다”고 말했다
2023.08.04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반식재상 伴食宰相 뜻과 유래 배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