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불반분은 '한번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헤어지 부부가 다시 결합할 수 없다거나 이미 끝난 일을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 유래는 주나라 문왕 시절에 제 나라 제후로 봉해진 태공망 여상의 이야기이다.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습유기 拾遺記』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뜻
覆 다시 복 水 물 수 不 아닐 부 返 돌이킬 반 盆 동이 분
한번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유래
주(周)의 서백(西伯 - 文王)이 어느 날 사냥을 나가려고 점을 쳤는데 「얻는 것은 용(龍)도 아니고 이(麗)도 아니고 곰(熊)도 아니고 불곰(羆)도 아니고 호랑이(虎)도 아니고 표범(貔)도 아니고 얻는 것은 패왕(覇王)의 보좌(輔佐)일 것이다」로 나왔다.
그래서 사냥을 나가 말을 달려 산야를 누볐으나 짐승은 한 마리도 없고 어느덧 위수(渭水) 근처에 도착했다. 그 강가에서 보잘 것 없는 모습을 한 노인이 멀거니 물에 줄을 드리우고 낚시를 하고 있었다.
말을 붙여보니 그 대답이 훌륭해서 대 인물임을 바로 알아보았다. 서백은 이야말로 점에 나온 인물이라 깨닫고 「내 아버지(太公)는 언젠가 성인이 나타나 주(周)를 흥하게 해 줄 것이라고 고대하고 있었는데 당신이야 말로 그 사람입니다. 부디 나를 위해 사부(師父)가 되셔서 이끌어 주십시요」하고 그 노인을 수레에 태워 왕궁으로 안내했다.
이렇게 해서 이 노인, 여상(呂尙)은 서백의 스승이 되어 주의 번영을 가져왔는데 태공이 기다리고 바라던 인물이라고 해서 태공망(太公望)이라 불렀다.
그 태공망, 여상(呂尙)이 젊어 면학중(勉學中)에 있을 때 마씨(馬氏)의 딸과 결혼했다. 그러나 여상은 매일 집에 들어박혀 독서삼매(讀書三昧)에 빠져 도통 일을 하려는 기색이 없었다.
원래 풍부하지 못한 집이라 여상이 일을 하지 않으면 살림이 되지 않는 형편이었으나 여상은 살림 같은 것은 도통 모른체 하루 종일 책상하고 씨름만 했다.
한푼 벌이도 되지 않는 책만 읽으며 전혀 돈벌이를 못하는 남편에게 정이 떨어진 처 마씨(馬氏)는 마침내 「난 도저히 이 집에서 살아갈 수가 없으니 오늘로써 친정으로 가겠읍니다」 하고 자진해서 이혼장을 써서 내던지더니 뒤도 돌아보지 않고 친정으로 가버렸다.
여상은 그래도 계속 가난을 견디면서 학식을 쌓아 마침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백(西伯)을 만나 제후로써 제(齊)나라에 봉해졌다.
그런데 이제는 훌륭하게 공(功)이 이루어지고 이름이 유명해진 여상(呂尙)에게 어느 날 갑자기 마씨(馬氏)가 나타나 이런 소리를 했다.
「그전의 당신은 끼니도 잇지 못하는 가난뱅이었으므로 잠시 곁에서 떠나 있었읍니다만 지금은 이렇게 출세를 하셨으니 저도 역시 당신의 처로 곁에서 모시게 해주십시요」
여상은 말없이 그릇에 하나 가득 물을 떠다가 그것을 뜰 흙바닥에 쏟아 놓고 마씨에게 그 물을 다시 그릇에다 주워 담으라고 했다. 마씨는 이상하게 생각하며 물을 주워 담으려고 했으나 물은 이미 흙이 빨아들여 마씨가 주워올린 것은 약간의 젖은 흙뿐이었다.
그러자 여상은 천천히 말했다. 「한번 엎질러진 물은 다시는 주워 담을 수가 없는 법(覆水不返盆) 한번 헤어진 자는 다시 어울릴 수가 없는 법이야 」
즉 한 번 헤어진 처는 다시 또 합쳐질 수는 없다는 뜻이나 「국가의 일 역시 어찌 용이하겠는가. 복수는 거두어지지 않는다. 마땅히 이를 심사(深思)해야 한다」(後漢書) 라든가 「비(雨)는 하늘로 올라가지 않고 복수는 다시 거두기 어렵다」등과 함께 일단 끝난 일은 되돌릴 수가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속 등장 인물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
서백(西伯 - 文王)
2023.08.06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보원이덕 報怨以德 뜻과 유래 배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