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배우기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지적허영 2023. 8. 10.
반응형

붕정만리의 붕은 상상속 엄청나게 큰 새(Bird)로 이런 새가 만리나 날아갈 정의의 길이란 뜻이다. 즉 앞일이 매우 요원하거가나 또는 원대한 꿈을 비유적으로 말할때 사용된다. 그 유래는 장자의 소요유편에서 찾을 수 있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소요유편 逍遙遊篇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

鵬 붕새 붕 程 한도 정 萬 일 만 만 里 마을 리(이)

상상속 커다란 새인 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나 된다는 뜻으로 앞 일이 매우 여원하다는 의미 또는 원대한 꿈과 비전을 갖고 이를 실현해 나간다는 뜻이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유래

붕(鵬)이란 사전을 보면 상상상(想像上)의 엄청나게 큰 새 이름이라고 씌어 있다. 즉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공상 속 소산이다. 그 붕(鵬)에 관해 기록된 가장 대표적인 문장은 『장자(莊子)』의 개권(開卷) 제일장 「소요유편」(逍遙遊篇)에 있는 일절로 거기에는

 

「북해(北海) 끝에 곤(鯤)이란 이름의 고기가 있다. 곤의 크기는 몇 천리인지 모른다. 곤이 변해서 붕(鵬)이란 이름의 새가 된다. 붕의 등 허리도 몇 천리(千里)인지 모른다. 이 새가 한번 힘을 내서 날으면 그 날개는 하늘 전체를 뒤덮는 구름이 아닌가 생각되고 해면이 한꺼번에 뒤집힐 듯 한 대풍(大風)이 불면 그 바람을 타고 북해 끝에서 남해 끝까지 날으려고 한다. 제해(齊諧)라는 이 세상의 불가사의를 잘 아는 사람의 말에 의하면 붕이 남해로 날아 옮기자면 바닷물에 날개짓을 3천리, 회오리 바람을 타고 오르기 9만리、6개월 동안 계속 날은 다음 비로소 그 날개를 쉰다고 한다」라고 씌어 있다.

 

장자는 이 붕(鵬)을 빌어 세속의 상식을 초월한 무한히 큰 것, 그 아무 것에도 사로 잡히지 않는 정신의 자유 세계에 소요하는 위대한 자의 존재를 시사하려고 했으나 그래도 곤(鯤—사전에는 고기의알 (魚卵)이라고 쓰여 있다)이란 지미지소(至微至小)한 것을 큰 물고기의 이름으로 하고, 그 곤이 새로 변한 것이 붕(鵬)이라고 하니 아주 기발한 착상이다.

 

그것은 어쨌든 이상 『장자(莊子)』의 문장을 바탕으로 하여 여러 가지 숙어가 생겨났다.

 

우선『붕곤(鵬鯤)』 또는『곤붕(鯤鵬)』이라 하면 상상을 초월한 지대한 사물을 비유한 것이고 『붕배(鵬背)』『붕익(鵬翼)』하면 거대(巨大)한 것의 비유, 특히 붕익(鵬翼)은 거대한 항공기 등의 형용에 잘 쓰인다.

 

그것에 준(準)하면 『붕박(鵬博)』(鵬의 날개짓), 『붕비(鵬飛)』, 『붕거(鵬擧)』는 크게 분발해서 일을 하려고 하는 비유이고, 『붕도(鵬圖)』『붕정(鵬程)』은 범인으로서는 생각도 미치지 않는 원대한 사업계획을 비유하는 말이란 점도 절로 납득이 갈 것이다.

 

최후로 장자는 이 9만리를 날으는 대붕(大鵬) - 속박되는 일이 없는 위대한 존재자와의 대비(對比)로써 상식의 세계에 만족하고 얕은 지혜를 농(弄)하며 스스로 족하다 생각하는 비소(卑小)한 범속배의 천박함을 척안(斥鷃 - 작은물새)에 비유하여 이렇게 풍자한다.

 

「九만리를 날으는 대붕을 보고 척안은 도리어 그것을 비웃으며

『저것 봐라 저 붕이란 녀석은 도대체 어디로 갈려고 하는냐? 우리들은 힘껏 뛰어 올라도 기껏해야 5, 6칸으로 내려와서는 쑥이 무성한 위를 날을 뿐이지만 그래도 충분히 날으는 재미는 있거든. 그런데 녀석은 도대체 어디까지 날아갈 작정이지』하고 빈정댄다.

 

결국 왜소(矮小)한 것은 위대한 것의 마음이나 행동을 알 턱이 없다. 대와 소의 차이점이다. 

여기서『붕안(鵬腸)』이란 말도 쓰인다. 대소의 현격이 심한 것의 비유다.

뉴스 속 붕정만리 鵬程萬里 활용 사례

  • 김동일 보령시장 “붕정만리(鵬程萬里)로 시민의 꿈 실현”
  • 재계는 이 회장 복귀 후 삼성이 과감하고 신속한 투자결정 등으로 한국경제의 '붕정만리(鵬程萬里)'를 이끌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놓고 있다. '붕정만리'는 붕새가 거대한 바다를 횡단해 간다는 말처럼 원대한 꿈과 비전을 갖고 이를 실현해 나간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2023.08.10 - [중국고전배우기] -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뜻과 유래 배우기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뜻과 유래 배우기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잡을수 없다는 뜻의 성어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는 역사책 한서(漢書)를 완성시킨 반고, 반소의 형제인 반초의 무용담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