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의 뜻은 오하아몽(오나라 때 여몽)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오랫동안 만나 보지 못한 동안에 놀랄만큼 큰 발전을 한 사람을 의미하여 반대로 「오하아몽」은 옛 그대로 조금도 발전이 없는 인물을 의미한다.
두 성어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몽(여몽)이 삼국시대 오나라 장군 이름이라는 유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오하아몽(吳下阿蒙)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뜻과 한자
吳 성씨 오 下 아래 하 阿 언덕 아 蒙 어두울 몽
여기서 아몽의 아는 여몽이란 오 라나 장군의 애칭이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삼국지 三國誌』 강표전 江表傳
위(魏)·오(吳)·촉한(蜀漢)이 정립(鼎立)해서 싸우고 있던 삼국시대의 어느 날 오나라 왕 손권은 신하들에게 말했다.
학문이란 자기 스스로가 개척해 나가야 한다. 저 여몽(呂蒙)은 처음에 아무런 학문도 없었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학문을 권했다.
한 번 학문을 시작하자 여몽은 끊임 없이 계속을 했다. 그러는 동안 노숙(魯肅)이 여몽(呂蒙)하고 의논을 해 보았다. 그런데 노숙이 당해 낼 수 없이 만큼 박식이었다.
노숙은 기뻐하고 여몽(呂蒙)의 등을 쓰다듬으며 말했다고 한다.
그대가 무략(武略)에 뛰어나 있는 것은 잘 알고 있으나 이렇게 학식도 넓어져 이젠 오(吳)에 있을 때의 여몽(呂蒙)하고는 아주 딴판이로구나(非復吳下阿蒙) .
그러자 여몽이 대답했다.
대저 사(士)란 헤어져 3일이 지나면 다음에 만날 때 눈을 부비고 보아야 한다. 나날이 진보되는 것이다(士別三日 卽更利目相待)
아몽(阿蒙)의 아(阿)는 애칭이다. 젊어서부터 그를 알고 있던 노숙(魯肅)은 여몽(呂蒙)을 이렇게 불렀던 것이다.
이것을 출전(出典)으로 하여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의 뜻이 학문이 진보되었을 때 또는 면목을 일신했을 경우를 나타내는데 쓰이게 된 것이다.
반대로 「오하아몽(吳下阿蒙)」이라고만 하면 옛 그대로 있어 조금도 진보되지 않는 자나 학문이 없는 보잘것 없는 인물을 말한다.
어쨌든 여몽(呂蒙)의 발전은 손권(孫權)에게는 아주 큰 수 확이었다. 손권이 형 손책의 뒤를 이어 조조와 유비하고 대립했을 때 그를 잘 보좌한 것은 주유(周瑜)였다.
주유(周瑜)는 만이나 되는 조조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하여 오(吳)의 힘을 강화시켰으나 뜻을 다 이루지 못하고 죽었다.
그가 최후까지 걱정하고 있었던 것은 유비의 세력이 호남성에서 확립되어 오(吳)의 서진을 막게 되는 점이었다. 그는 유비를 칠 것을 헌책하고자 벼르고 있는 동안 그만 병사하고 만다.
노숙(魯肅)이 뒤를 이어 손권을 도왔는데 그의 방법은 주유하고 달랐다. 유비를 도리어 강화시켜 동맹해서 강대한 위의 조조와 대결하려고 했다. 그래서 이 기회를 잡아 유비는 촉(蜀)을 탈취(奪取)하여 삼국 정립의 형세가 되었다.
유비의 장(將)으로 용맹을 떨치던 관우는 형주를 지키고 있었다. 유비와 오와의 약속에서는 촉으로 들어가면 형주(荊州)는 오(吳)에게 돌려주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모르는 척 했다.
이 때 노숙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손권을 보좌한 것이 여몽(呂蒙)이다. 그는 손권에게 권하여 은근히 조조와 연락했으며 관우가 중원으로 출격하고 있는 틈을 타 그 근거지를 습격했다.
그 계략은 공(功)을 나타내어 오(吳)는 관우의 여러 성을 차례로 함락시키고 그리하여 마침내는 용장 관우도 잡혀 한풍(寒風) 속에서 목이 떨어지고 말았다.
오(吳)의 지반(地盤)은 이 여몽의 책(策)에 의해 거의 굳혀졌다고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