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군자(梁上君子)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이나 진식(陳寔)과 도둑과 관련된 유래에서 자기 집안 내 도둑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그 의미로 변형되었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뜻(한자해석)과 유래 그리고 예시
양상군자(梁上君子) 뜻과 한자 해석
梁 들보 량(양) 上 윗 상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으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을 미화해서 부른 고사성어다.
양상군자(梁上君子) 유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진식전 陳寔傳
후한말(後漢末) 진식(陳寔)이란 사람이 태구현(太丘縣)의 장(長)이 되어 있었는데 그는 거만하지도 않고 남의 괴로움을 잘 알아주고 일을 하는데 공정했으므로 지역이 잘 다스려지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해 농사가 흉작이 되어 백성들이 괴로움을 겪고 있을 때 진식(陳寔)이 책을 읽고 있자니 한 사나이가 그 방으로 숨어 들어와 살짝 들보 위에 엎드렸다.
도둑이었지만 진식(陳寔)은 모른 체하며 꼴을 보고 있었다. 잠시 후 그는 아들과 손자를 자신의 방에 불러 들여 정색을 하고 훈계를 했다.
「무릇 사람은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불행한 사람이라 해도 다 본성이 그런 것은 아니다. 행실이 습관이 되고 습관이 본성이 되어 나쁜 짓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금 들보 위에 있는 군자도 그렇다」
갑자기 소리가 났다. 진식(陳寔)의 말에 감동되어 도둑이 뛰어내린 것이었다.
그는 방바닥에 머리를 조아리고 죄를 받기를 자청했다.
진식은 물끄러미 보고 말했다.
「자네의 얼굴이나 모습을 보나 나쁜 사람 같지는 않네. 아마도 가난에 못이겨 한 짓이겠지」 그리고 나서 비단 두 필을 주어 돌려 보냈다.
그 일이 있은 후부터는 그의 관할 구역에는 도둑의 그림자가 끊어졌다고 한다.
「양상군자(梁上君子)」라고 해서 도둑을 가리키는 말은 여기서 생겼다. 또 이후 바뀌어 쥐를 가르킬 때도 「양상군자(梁上君子)」라는 말을 쓰게 되었다.
그로부터 군자(君子)라고 하는 비유도 다소 비꼬는 느낌을 주어 오히려 그것이 맘에 들었는지 후세에 곧잘 쓰이게 되었다.진식은 비꼬는 말로 쓴 것이 아니었는지도 모르는데 그는 이 세상의 괴로움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었다.
젊어서부터 현(縣)의 관리가 되어 잡역(雜役)으로 일을 하면서도 언제나 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공부했다. 그것을 인정받아 태학(太學)에서 배울 것이 허락된 사람이다.
한때 살인 혐의를 받아 잡힌 적도 있다. 물론 죄가 없어 석방은 되었으나 그가 나중에 순찰관(巡察官)이 되었을 때 자기를 잡아갔던 자를 찾아 오히려 그를 채용했다고 한다.
그 무렵은 궁중의 환관(宦官)이 득세를 해서 유교(儒敎)를 받드는 관료와 심하게 다투어 이것을 탄압했다. 소위 「당고(黨鋼)의 금(禁)」이 있을 때였다.
진식(陳寔)도 그 탄압 때 잡혔다. 소식을 듣고 다른 사람들은 도망쳤으나 그는 「나까지 도망치면 백성들은 누구를 믿고 살겠는가」라고 기꺼이 포박되었다고 한다.
후에 당고가 풀렸을 때 대사마(大司馬)인 하진(何進)등이 중앙에 나와 높은 자리에 앉기를 권했으나 그는 끝까지 거절했다. 84세로 그가 죽었을 때 온 나라 안에서 그를 제사지내는 자가 3만이 넘었다고 한다.
양상군자(梁上君子) 예시
-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감사원장직을 내던진 사람은 해방 이후 처음이다. 양상군자(梁上君子)가 따로 없다." 출처: 강병원 의원 페북 글 중
- 문재인 전 대표는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는 ‘양상군자(梁上君子)’라는 표현도 썼다. 극언도 이런 극언이 없다. 출처 : 경북도민일보(http://www.hidom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