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석(1330~?)은 고려 시대의 학자로서, 호는 운곡(耘谷)이라 불렸습니다. 그는 고려가 망해가는 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보며 안타까워하여 고향인 원주로 내려가 농사를 짓고 살았으며 시집 《운곡시사(耘谷詩史)》에 작품 1000여 수를 남겼습니다.
회고가(懷古歌) By 원천석(元天錫)
흥망이 유수(有)하니
만월(滿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태종 이방원이 왕으로 즉위한 후 예전의 스승인 운곡을 찾아왔지만, 충절을 지키려는 그는 만남을 꺼려 치악산으로 몸을 피했습니다. 태종은 빨래하는 노인에게 스승의 거처를 물었고, 노인은 운곡이 부탁한대로 반대편을 가르쳐줬으나 왕에게 거짓을 하여 죄책감에 웅덩이에 몸을 던져 목숨을 끊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웅덩이를 '노구소(老軀沼)'라 부르며, 태종이 스승을 기다렸다는 바위를 '태종대(太宗臺)'라고 합니다.
조선 정정은 이후에도 운곡에게 여러 번 벼슬을 내렸으나, 그는 결국 응하지 않았습니다. '회고가'는 사대부가 느끼는 망국의 슬픔을 잘 표현한 작품으로, 비유법 또한 훌륭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는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것은 모두 운수에 달렸으니 고려의 궁궐터인 만월대도 가을 풀에 덮였다. 오백 년 고려의 업적은 이제 목동의 피리 소리에만 담겨있으니, 지는 해와 같은 고려를 바라보는 한 선비는 서러워 눈물만 흘릴 뿐이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2023.07.27 - [명언과좋은글귀들] - 시조 감상: 묏버들 가려 꺾어 By 홍랑(洪娘)
시조 감상: 묏버들 가려 꺾어 By 홍랑(洪娘)
홍랑과 최경창의 사랑 이야기 - 조선 선조 때의 함경남도 홍원 출신의 관기였던 홍랑은 고죽 최경창과 만나 일생을 그에게 바친 순애보의 주인공입니다. 이들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알아보
ryooste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