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어느정도 현학적, 즉 아느척을 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인듯 하다. 道聽塗說 (도청도설) 은 자기가 스스로 학습해서 알게된 것이 아닌 길거리에서 주워들은 말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아는척할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괜히 어설프게 아는척하다 곤란에 빠지지 않도록 도청도설의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예문지 藝文志 『논어 論語』 양화편 陽貨篇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
道 길 도 聽 들을 청 塗 칠할 도 說 말씀 설
길거리에서 들은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말한다는 의미로 남에게 들은 내용으로 아는체 하거나 깊은 생각없이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청도설 道聽塗說 유래
도(道)에서 듣고 도(塗)에서 설(說)하는 것은 덕(德)을 버리는 것이다(道聽而塗說德之棄人)
앞의 도(道)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간직해서 자기 수양(修養)의 길잡이로 하지않고 후의 길에서 바로 다른 사람에게 말해 버리는(塗說) 것은 스스로 그 덕을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선언(善言)은 전부 마음에 잘 간직해서 자기 것으로 하지 않으면 덕을 쌓을 수는 없다(논어, 양화편)
몸을 닦고(수신 修身) 집안을 정제(整齊)하고(제가 齊家) 나라를 다스리고 (치국 治國) 천하를 평정해서(평천하 平天下) 천도(天道)를 지상(地上)에 펴는 것을 이상으로 한 공자는 그러기 위해서 사람들이 엄하게 자기를 규률하고 인덕(仁德)을 쌓아 실천해 갈 것을 가르쳤다.
그리하여 덕을 쌓기 위해서는 끊임 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어』에서 타이르고 있다.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漢書)』의「예문지(藝文志)」에는
「무릇 소설이란 것의 시초는 군주가 일반 서민의 풍속을 알기 위해 하급 관리에게 명해서 고하게 한 것이 시작이다. 즉 세상 이야기나 거리의 소문은 도청도설(道聽塗說)하는 자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라고 씌어 있다.
소설이란 말은 이런 의미로서 원래는『패관(稗官—下級官吏)소설』이라고 했으나 후에 그저 소설(小說)이라 부르게 되었다.
또『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에는 소인의 학문은 귀에로 들어와 바로 입으로 빠지며 조금도 마음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다. 입과 귀 사이는 약 4치, 이 정도의 거리를 지나게 될 뿐으로서 어찌 9척 장신을 훌륭한 것으로 만들 수가 있겠는가.
옛날 학문을 하는 사람은 자기를 연마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지금 사람은 배운 것을 곧 남에게 알려 자기 것으로 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군자의 학문은 자기 자신을 아름답게 하는데 반해, 소인들의 학문은 인간을 못쓰게 만들어 버린다.
그래서 묻지도 않은 말을 입밖에 내고 만다.이것을 듣기 싫다하고, 일(一)을 묻는데 이(二)를 말하는 것을 수다라고 한다.
어느 것도 좋지 않다. 진정한 군자란 묻지 않으면 대답하지 않고 물으면 묻는것만을 대답한다 라고 하여 다언(多言)을 훈계하고 있다.
어느 세상이거나 오른 쪽에서 들은 말을 왼 쪽으로 전하는 수다장이와 정보통이 많다. 더구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동안에 점점 날개가 달리게 된다. 「이런 인간들은 세상에 도움이 되지않는다」라고 공자, 순자는 말하고 있다. 또 자기에게 학문이 있다는 것을 선전하는 자, 소위현학적(街學的) 행위도 삼가야 한다고 했다.
2023.07.27 - [중국고전배우기] - 범려의 도주의돈지부(陶朱猗頓之富) 뜻과 유래 부우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