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리불언하자성혜1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배우기: 이광장군에 대한 설명 도리불언 하자성혜는 복숭아와 자두가 스스로 우리는 맛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찾는 것처럼 뛰어난 인재는 스스로 인재라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모인다는 의미로 사기를 쓴 사마천이 이광 장군의 위대함을 묘사하면서 쓴 고사성어입니다. 자세한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桃李不言下自成蹊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이장군열전 李將軍列傳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뜻 桃 복숭아 도 李 오얏 리(이) 不 아닐 부 言 말씀 언 下 아래 하 自 스스로 자 成 이룰 성 蹊 좁은 길 혜 복숭아와 자두는 꽃이 아름답고 열매가 맛있어서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것처럼 덕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덕이 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들이 따르는 것을 비유한 성어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이전 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