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우는 고사성어인 경국지색은 중국 한나라 한무제 때 이연년이 부른 노래에 나오는 표현으로 나라를 위태롭게할 정도로 미인을 의미합니다.
자세한 의미와 유래를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傾國 (경국)=傾國之色(경국지색)
▶出典▲ 漢武帝때 歌手 李延年이 부른 노래에서
한무제(漢武帝)를 모시고 있는 가수(歌手) 중에 이연년(李延年)이란 자가 있었다.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고, 노래와 춤도 유명하며 신곡(新曲)을 짓거나 편곡을 할 때마다 사람들을 감동시켰으므로 무제의 총애를 한몸에 받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황제 앞에서 춤을 추며 노래 했다.
북방(北方)에 가인(佳人)있어
절세(絶世)로 단 한사람 뿐
일고(一顧)하면 성을 기울게 하고(傾城)
재고(再顧)하면 나라를 기울게 했다(傾國)
어찌 경성 경국을 모르겠느냐만
가인(佳人)은 두 번 다시 얻기 어려우리
무제는 노래를 듣고 나서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아아 이 세상에 그런 여인이 있겠는가?」「연년(延年)에게는 누이동생이 있거든요. 무제의 누이인 평양공주(平陽公主)가 귀엣말로 속삭였다. 무제는 곧 연년의 누이동생을 불러 들였다. 그녀는 더없이 예뻤고 춤도 능숙했다. 무제는곧 그녀에게 사로 잡히고 말았다.
이것은『한서(漢書)』에 기록되어 있다. 무제의 만년의 총애를 한몸에 모았다가 젊은 나이에 이 세상을 떠나, 무제로 하여금 추모의 정을 금치 못하게 했던 이 부인전(李夫人傳)의 일부다.
「경국(傾國)이란 문귀(文句)를 쓴 예는 지극히 많아 이백(李白)의「악부청평조(樂府淸平調)에 「명화경국양상환(名花傾國兩相歡)」 (명화인 모란과 경국의 미인과는 다 같이 사랑할 만한것이다)라는 것이 있고, 백거이(白居易)의 「장한가(長恨歌)」의 첫 귀절은「한왕(漢王) 색을 중히 여겨 경국(傾國)을 생각한다」라고 했다.
「경국(傾國)의 본디 뜻은「나라를 위태롭게한다」인데,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고조(高祖)가 항우에게 부모 처자를 사로잡히게 해서 난처해 있는 것을 후공(侯公)이 그 변설로 되찾아 왔을 때, 고조의 말로서 「이는 천하의 변사다. 있는 곳에 나라를 기울게 한다」(그가 있는 곳은 그 변설로 나라를 기울게도 할수 있다)라고 했다.
따라서 이연년(李延年)의 노래도「경국(傾國)」자체에 미인이란 뜻을 지니게 한 것은 아니지만 이백(李白)·백거이(白居易)의 시에서는 완전히 미인의 뜻으로 쓰이고 있 다. 또한「경성(傾城)」도 일고(一顧)하면 성을 기울게 하고」에서 나온 것이다.
2023.07.02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견일반지전표(見一斑知全豹)
2023.07.02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見我舌(견아설): 춘추전국시대 장위 소진의 합종연횡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