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천금 一字千金은 글자 하나가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저자인 여불위가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완성도에 자신감을 보이면서 문장을 첨삭할 수 있는 자에게는 한자에 천금의 상금을 내걸었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비슷한 뜻의 고사성어로는 일각천금이 있다.
일자천금 一字千金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출처.출전: 『사기 여불위전』 呂記 呂不韋傳
때는 전국시대의 말엽으로 천하의 제패를 노리는 제후들은 일예일능(一藝一能)에 뛰어난 자들을 객(客)으로서 다투어 불러 모았는데 이것이 곧 식객이다.
그 중에서도 제(齊)나라의 맹상군은 수천명의 식객을, 초(楚)나라의 춘신군(春申君)은 삼천의 식객을,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은 수천의 식객을, 위(魏)나라의 신능군(信陵君)은 삼천의 식객수를 자랑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식객들은 오늘날의 거후기식객(寄食客)과는 달라 누구나 다 심상치 않은 재주와 고집을 지니고 있는 인간으로 제후들도 그들을 자기 곁에 잡아두기 위해 적지 않은 신경을 써야 했다.
예를 들어 가산(家産)을 탕진하면서 제후의 식객을 슬하에 모으고 「천하의 선비를 동나게」했다는 말까지 듣던 맹상군은 귀천의 구별 없이 전부 자기와 동등하게 대우하고 또 그들과 이야기를 할 때는 언제나 서기를 병풍 뒤에 숨겨 그들과 이야기하는 동안에 알려지는 그들 친척들의 주소를 적게한 다음 나중에 사람을 시켜 물건을 보내 주었다고 한다.
또 이런 이야기도 있다. 조(趙)의 평원군이 식객을 외교사절로써 초(楚)의 춘신군에게 보냈다. 평원군의 식객은 자기가 초(楚)에서 얼마나 우대를 받고 있는가를 자랑하고자 일부러 대모(玳瑁)로 비녀를 만들고, 패도(佩刀)에는 주옥으로 장식하고, 화려한 옷차림으로 춘신군의 식객에게 대면을 청했다.
그런데 나타난 상대를 한번 본 순간 그는 앗소리와 함께 얼굴이 홍당무가 되고 말았다. 그 까닭은 춘신군의 식객들은 하나같이 주옥으로 장식한 신을 신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 무렵 제후에게 질세라 하고 열을 올려가며 식객을 긁어모은 사나이가 있었는데 한낱 상인으로서 몸을 일으켜 이제는 강국 진(秦)의 상국(相國 - 국무총리)이 되어 나중에 시황제 되는 어린 왕인 정을 조종하여 위세를 떨치고 있는 여불위(呂不韋)다.
(여불위가 실은 시황제의 아버지다) 시황제의 아버지 장양왕이 첩복(妾腹)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조(趙)의 인질이 되어 궁핍한 생활을 하고 있을 때 「기화(奇貨) 놓칠세라」하고 눈독을 들여 막대한 투자를 하고 마침내 오늘의 영화를 획득한 인물이 여불위다.
신능군, 춘신군, 평원군, 맹상군이 부지런히 식객을 모아들여 그 수효를 자랑하고 있는 것을 듣고, 참고 있을 수가 없었다.「강대국인 우리 진국(秦國)이 이런 일에서 그놈들에게 뒤져서야 될말이냐」고 원래가 상인이라 돈을 물쓰듯 해서 식객을 모았으므로 각처에서 모여든 자의 수가 삼천에 달했다.
이쯤되면 그의 욕심은 끊이 없게 되는데 이 무렵 각국에서 현자들이 저서를 내었는데 특히 제초를 섬긴 바 있는 유학자 순경(荀卿) 등이 탁세(獨世)를 한탄하여 수만자(數萬言)로 된 책을 발간했다는 말을 듣자 「좋다. 나도 한번 해봐야지」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식객들에게 명하여 만든 것이 20여만자(語)로 된 대책이다. 「어떠냐 천지만물 고금의 모든 일은 전부 이것에 들어있다. 이런 큰사업을 내가 아니고 누가 하겠는가」하고 기고만장한 그는 이 대책을 자기가 편집한 것으로 삼아 『여씨춘추(呂氏春秋)』라 이름부쳤다.
게다가 이 『여씨춘추』를 도읍인 함양 성문 앞에 진출시키고 그 위에 천금(千金)을 매달아 놓고서 커다란 광고 판을 세운 후「능히 한자를 증손(曾損)하는 자가 있으면 천금을 주겠다」고 했다.
즉 이 책의 문장을 첨삭할 수 있는 자에게는 한자에 대해 천금의 상금을 내겠다는 것이다(『史記』呂不韋傳)
2023.10.03 - [중국고전배우기] - 일엽락 천하지추 一葉落 天下知秋 뜻과 유래: 양자역학의 울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