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배우기

전전반측 輾轉反側 뜻과 유래: 잠 못들고 뒤척이는 당신을 위한 설명

지적허영 2023. 10. 22.
반응형

밤새도록 잠을 못자고 몸을 이리저리 뒤척거리는 경험을 누구나 하였을텐데 그 상태를 설명하는 고사성어로는 「전전반측(輾轉反側 )」이 가장 사람들의 입에 올리는 말이다. 전전반측의 뜻과 유래는 시경의 관관저구(關關雎鳩)란 시에서 찾을 수 있다.

전전반측 輾轉反側
전전반측 輾轉反側

오늘은 「전전반측(輾轉反側 )」의 뜻과 유래(출처) 그리고 관관저구(關關雎鳩) 시의 해석까지 알아보자. 

전전반측 輾轉反側 뜻과 유래: 잠 못들고 뒤척이는 당신을 위한 설명

김동연의 전전반측(輾轉反側), 정치인 호감도 이재명 대표와 동률」은 최근 기사 제목으로 전전반측이한 고사성어를 사용하여 김동연 경지도지사의 최근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전전반측 輾轉反側 한자 해석

  • 輾 돌아누울 전
  • 轉 구를 전
  • 反 돌이킬 반
  • 側 곁 측

 

전전반측 輾轉反側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시경 詩經

 

전전반측(輾轉反側 )」이란 고사성어는 기원전 6세기경인 공자가 살아 있을 때 『시경(詩經)』의 「국풍(國風)」편 첫 머리를 장식하는「관관저구(關關雎鳩)」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매우 오래된 것임을 알수 있다. 시경의 관관저구(關關雎鳩)는 고대 성인(聖人)으로서 매우 이름이 높은 주문왕(周文王)과 그의 아내인 태사(太姒)를 찬양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문왕은 기원 전 약 1,100년에 활동한 사람으로 이러한 전설은 후인이 제멋대로 지어낸 것일 수도 있으나, 『시경(詩經)』의  3백여편의 시 중에서도 비교적 옛 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으므로 「전전반측」이란 고사성어는 적어도 3천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관관저구(關關雎鳩) 속 전전반측 해석

관관저구의 시(詩)는 먼저 강의 모래톱에서 울고 있는 제구라는 물새를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것은 관관(關關)하는 좋은 소리로 울고 있으며 그 아름답고 조용한 자세는 요조(窮窕)숙녀를 생각나게 한다. 좋은 배우자로서 남자가 찾는 요조숙녀는 저 물새와 같이 그윽하고 아름답다고 한다. 그리고 시는 다음과 같이 계속된다.

 

참치행채(參差荇菜) 올망졸망 마름풀 따려고
좌우유지(左右流之) 이리저리 찾는다
요조숙녀(幼窕淑女) 아리따운 아가씨
오매구지(寤寐求之) 자나 깨나 그리며
구지부득(求之不得) 구해도 얻을 수 없어
오매사복(寤寐思服) 자나 깨나 그 생각뿐
유재유재(悠哉悠哉) 끝없는 이 마음
전전반측(輾轉反側) 잠못이뤄 뒤치락거리네

 

참치(參差)라고 장단(長短)이 자지런하지 못한 마름풀의 행채(荇菜)가 좌우로 흐르고 있다는 것은 마름풀 따는 모양을 노래한 것으로, 「마름풀따기」에서 「아가씨를 딴다」 즉 「아가씨를 찾아 손에 넣자」고 하는 마음으로 연결되며 「오매에 이를 구한다」의 구(句)를 끌어내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이 구를 앞의「관관저구」의 구와 함께 요조숙녀의 아름다움이나 요조숙녀를 구하는 마음을 끌어일으키기 위한 비유(「시경」에서는 이런 시작법을 흥(興)이라고 한다)라고 해석하지 않고, 눈앞의 실경(實景)인 아가씨가 강가에서 물풀을 뜯고 있고 강속 모래톱에서는 물새가 아름답게 울고 있다는 그런 풍경으로서 순박하게 노래하고 있다라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그렇다면 시 전체가 강가에서 수초따는 아가씨의 사모(思慕)의 정을 노래한 시라고 할 수 있는 민요풍인 느낌이 강해진다. 어느쪽 해석이 좋은지는 결정하기 어렵다. 『시경(詩經)』은 세부적인 자구(字句)의 해석뿐 아니라, 시의 주지(主旨) 그 자체에 여러 가지 이설(異說)이 있어 해석하기 어렵다.

 

어쨌든 관관저구는 여성을 사모하는 연가(戀歌)라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오매(寤寐)」란 자나깨나의 뜻이다. 「유(悠)하고나」란 사모의 정이 끝없는 모양이다. 아름다운 아가씨는 얻을 수 없다. 얻을 수 없으면 더욱 생각은 간절해서 「전전반측(掘轉反側)」하게 된다.

 

시의 말미는 만약 아가씨를 얻을 수 있다면 금슬(琴瑟)과 종고(鍾鼓)를 울리며 사랑해주고기쁘게 해주겠다고 노래하며 맺고 있다. 전전반측한 고대 남자의 연정은 3천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우리가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현대인의 전전반측 輾轉反側한 삶과 인생

현대인도 곧잘 전전반측하는데, 현대인의 경우는 꼭 남녀간의 연정 때문만은 아니다. 우리들은 잠 못들고 이리저리 뒤척이게 하는 것은 회사생활의 고민부터 미래의 불확실에 대한 고민 그리고 건강염려증에 대한 불안 등 수 없이 많다. 그래서 현대에서는 전전반측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 생각이 없는 듯 보여지기까지 한다.

 

광고 관련 안내: 이 글에는 구글 에드센스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혹시 글을 읽는 중간 중간 나타나는 광고는 방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나에게 왜 이 광고들이 나타나는지 궁금하시면 에드센스 원리를 확인해보세요!

 

2023.10.22 - [중국고전배우기] - 요조숙녀(窈窕淑女)와 여인상: 고사성어의 뜻, 의미와 유래

 

요조숙녀(窈窕淑女)와 여인상: 고사성어의 뜻, 의미와 유래

오늘은 고요하고 맑은 마음을 가진 여성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인 '요조숙녀(窈窕淑女)'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글은 요조숙녀의 뜻, 유래, 그리고 일상에서의 활용 예시를 살펴보면서

ryooster.tistory.com

 

반응형

댓글

💲 흥미로운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