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유래 : 중매쟁이 월하노인 月下老人 또는 줄여 월하로(月下老), 월하빙인 月下氷人 또는 줄여 빙인(氷人) 모두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로 그 유래는 '진서차고전' 또는 중국 당(唐)나라 때, 이복언(李復言)이 편찬한 전기 소설 '속유괴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유래 : 중매쟁이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한자 月 달 월 下 아래 하 老 늙을 로(노) 人 사람 인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을 뜻한다.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진서 차고전 晋書藝術傳 또는 속유괴록 당(唐)나라 때 위고(韋固)라는 청년이 있었는데 아직 싱글이라 몸도 가볍게 이곳 저곳으로 여행을 하다가 송성(宋城)이란 곳에 왔을 때의 일이다. 푸르게 흐르는 듯한 월광..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4. 월로 또는 월하노인: 인물 소개 월로 또는 월하노인 月下老人 인물 소개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중국 전설상의 노인으로 중국 당나라 시절 위고(韋固)란 젊은이가 달밤에 어떤 노인을 만나 자신의 아내될 사람이 어떤 할머니가 안고 있던 젖먹이란 예언을 들었다는 데서 유래하며 월하노인(月下老人 )으로 부르기도 한다 月 달 월 下 아래 하 老 늙을 로(노) 人 사람 인 인물 소개 2023. 9. 14. 일본(오사카 후쿠오카 도쿄 삿포로 교토 오키나와) 땅크기와 위도경도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여행지 중 하나인 일본의 지리적 특징인 땅크기와 유명 여행지인 오사카, 후쿠오카, 도쿄, 삿포로, 교토, 오키나와의 위도경도와 각 도시의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오사카 후쿠오카 도쿄 삿포로 교토 오키나와) 땅크기와 위도경도 일본의 땅크기는 약 377,975제곱킬로미터(약 145,937제곱마일)이며 일본의 위도는 일본 남쪽의 약 20.5° N에서 북쪽의 약 45.5° N에 걸쳐 있습니다. 오사카 특징(땅크기 위도경도 도시 소개) 오사카 땅크기와 위도경도 오사카 땅크기: 오사카의 땅크기는 약 225.21제곱킬로미터(약 87제곱마일)입니다. 오사카 위도 경도: 위도는 약 34.6937° N이며, 경도는 135.5022° E입니다. 오사카: 간사이의 활기.. 상식 2023. 9. 13. 별을 관측하는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웹사이트 목록 별을 관측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웹사이트에 대해 소개 드립니다. 아래 웹사이트들는 초보자부터 숙련된 천문학자까지 천문학에 대한 다양한 관심사와 전문 지식에 대한 갈증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별 관측 팁, 실시간 하늘 또는 우주에서 촬영한 멋진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별을 관측하는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웹사이트 목록 1. 스카이사파리 (https://skysafariastronomy.com/) 스카이사파리는 밤하늘을 탐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기 천문관 앱이자 데스크톱 소프트웨어입니다. 별, 행성, 별자리, 깊은 하늘의 천체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스텔라리움 (https://stellarium.org/) 스텔라리움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오픈 소스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입니다... 상식 2023. 9. 13. 바라트 Bharat와 인도 India의 기원과 뜻 그리고 역사적 의미 인도는 바라트 Bharat 인디아 India 이 두 가지 국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인도'는 국제적인 맥락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바라트'는 인도 내에서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인 맥락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바라트 Bharat'와 '인도 India' 모두 같은 국가인 인도 공화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이름이나 기원, 역사적 사용, 문화적 의미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두 이름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여정을 시작하여 두 이름의 뚜렷한 특징과 이 놀라운 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두 이름의 역할에 대해 조명해 보겠습니다. 바라트 Bharat와 인도 India의 기원과 뜻 그리고 역사적 의미 바라트.. 상식 2023. 9. 12. 능소화 한자 영어 뜻과 꽃말 특징(독성, 개화시기, 명소) 능소화는 화려하고 화려한 트럼펫 모양의 꽃으로 높이 평가받는 꽃으로 다양한 꽃말을 가지고 있으며 한자로는 凌霄花이며 영어로는 Chinese Trumpet Vine(Creeper)로 불립니다. 크게 독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진 능소화의 특징과 명소를 확인해 보세요. 능소화 한자 영어 뜻과 꽃말 특징(독성, 개화시기, 명소) 능소화 꽃말 능소화는 다른 식물이나 꽃처럼 널리 알려진 상징적 의미가 없으나 다양한 문화 및 원예적 맥락에서 그 특성에 따라 특정 상징적 연관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1. 생동감과 활력 능소화의 크고 화려한 트럼펫 모양의 꽃은 활력과 에너지를 상징할 수 있습니다. 꽃의 생동감 넘치는 모습은 열정과 생동감을 암시합니다. 2. 매력과 매혹 능소화의 화려한 꽃은 매력과 매력과 연관될 수 있습니.. 상식 2023. 9. 11. 근로자 휴양콘도 사업 100% 활용하기 근로자 휴양콘도 사업은 근로복지공단에서 근로자와 그 가족들의 여가 충족을 위해 휴양시설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많은 근로자 분들이 해당 사업을 알지 못해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기회에 꼭 신청해보세요. 근로자 휴양콘도 사업 100% 활용하기 근로자 휴양콘도 신청 자격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본인이 신청 자격에 해당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 없습니다. 우선 아래 질문에 답변을 해보세요. 당신은 근로자 이신가요? 당신은 특수형태 근로자 이신가요? 위 두가지 질문 중 하나라도 네 라고 답변하실 수 있으면 신청 가능한 유 자격자 입니다. 즉 근로자 휴양콘도는 모든 근로자 및 특수형태 근로자가 365일 언제든지 신청 할 수 있습니다. 평일에는 고용·산재가입 사업장 근로자, .. 상식 2023. 9. 10. 월단 月旦 뜻과 유래, 조조를 평한 허소(許劭) 월단 月旦은 매달 초 하룻날이란 뜻으로 월단평(月旦評)의 줄임이다. 허소(許劭)란 인물이 자기 동내 사람들에 대해 인물을 골라서는 비평하면서 유명해졌고 조조도 허소로부터 난세에 알맞는 간웅(姦雄)이 될 인물이라는 평을 듣게 된다. 월단 月旦 뜻과 유래, 조조를 평한 허소(許劭) 월단 月旦 뜻과 한자 月 달 월 旦 아침 단 評 평할 평 매달 첫날의 평(評)」이라는 뜻으로 인물에 대한 비평(批評)을 이르는 말로 보통 월단으로 줄여서 말하기도 한다. 월단 月旦 출처와 유래 출처.출전: 십팔사략 十八史略 후한(後漢, 35~220)시대도 전한(前漢) 시대와 마친가지로 황후의 일족(외척)과 환관(宦官)세력에 골치를 앓고 있었다. 제10대인 환제(桓帝)때 그 환관들이 결속하여 기개와 절조가 있는 선비 백여명을 죽인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0. 원철골수 怨徹骨髓 뜻 유래 출처 한자 배우기 원철골수 怨徹骨髓는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오왕 부차(吳王夫差)가 월왕 구천(越王句踐)에게 아버지를 살해당한 원한은 앞으로 10년 동안을 낮도 씻지 않고 목욕을 하지 않아도 골수에 사모쳐 잊지 않겠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한다. 원철골수 怨徹骨髓 뜻과 한자 怨 원망할 원 徹 통할 철 骨 뼈 골 髓 뼛골 수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원한이 매우 깊어 절대 잊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철골수 怨徹骨髓 출처와 유래 출처.출전: 『한서 漢書』 오왕비열전 吳王濞列傳 주(周)나라의 천하가 어지러워져 세상은 춘추시대가 되었을 때 진(秦)의 목공(繆公)은 명신(名臣)인 백리혜(百里傒)와 건숙(蹇叔)등의 의견을 받아들여 차근 차근 힘을 키워 춘추오패(春秋五覇) 중 하나가 되었다. 진(秦) 목공은 진(晋..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0.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뜻 유래 출처 한자 알아보기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는 원수(멀리있는 물)는 근화(가까운데 난 불)를 구하지 못한다란 뜻으로 먼 것은 화급(火急)할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유로 그 유래는 『한비자(韓非子)』의「설림(說林)·상」에서 찾을 수 있다.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뜻 유래 출처 한자 알아보기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뜻과 한자 遠 멀 원 水 물 수 不 아닐 부 救 구원할 구 近 가까울 근 火 불 화 멀리 있는 물은 가까운 불을 구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한비자 韓非子 노(魯)나라 목공(穆公)이 그 공자(公子)들에게 진(晋)과 형(荊)을 섬기도록 했다. 그 무렵 노(魯)나라는 인접국인 제(齊)의 위협을 받고 있었으므로 진(晋)과 형(荊) 같은 강국과 친교를 맺었다가 위험을 당..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0.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