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오하아몽(吳下阿蒙)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의 뜻은 오하아몽(오나라 때 여몽)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오랫동안 만나 보지 못한 동안에 놀랄만큼 큰 발전을 한 사람을 의미하여 반대로 「오하아몽」은 옛 그대로 조금도 발전이 없는 인물을 의미한다. 두 성어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몽(여몽)이 삼국시대 오나라 장군 이름이라는 유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오하아몽(吳下阿蒙)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뜻과 한자 吳 성씨 오 下 아래 하 阿 언덕 아 蒙 어두울 몽 여기서 아몽의 아는 여몽이란 오 라나 장군의 애칭이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삼국지 三國誌』 강표전 江表傳 위(魏)·오(吳)·촉한(蜀漢)이 정립(鼎立)해서 싸우고 있던 삼국시대..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인물 소개: 노숙(魯肅) 노숙은 삼국시대 오 나라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경(子敬)이며, 출신은 서주(徐州)의 임회군(臨淮郡) 동성현(東城縣, 현재의 안후이성 딩위안[安徽省 定遠])입니다.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 중 '오서(吳書) 노숙전(魯肅傳)'에 따르면, 노숙은 태어나자마자 아버지를 여의고 할머니와 함께 살았습니다. 그의 가정은 부유하며, 그는 자연스럽게 동정심이 크고 가난한 이들을 돕고 다른 사람들과 친밀하게 지내려고 노력하여 고향 사람들의 호감을 얻었습니다. 중국드라마 삼국지에서 보면 노숙(魯肅)이란 인물은 생각이 깊고 마음이 진심인 사람으로 표현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3. 9. 3. 인물 소개: 여몽(呂蒙) 여몽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 출신으로, 노숙의 뒤를 이어 오나라에서 대도독의 지위로 올랐습니다. 인물 소개: 여몽(呂蒙) 여몽은 명장 관우의 목을 벤 것으로 유명하며 고사성어 괄목상대(刮目相對)와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괄목상대(刮目相對)는 눈을 비비고 다시 보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학식이나 재주가 놀라운 변화와 성장을 이야기합니다. 여몽은 처음에는 군사적 업적을 이루었지만 학문적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손권의 조언에 따라 학문을 공부하기 시작하고, 전장에서도 책을 놓지 않고 독서하였습니다. 어느 날, 학문에 뛰어난 노숙이 여몽을 찾아가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여몽이 예전과는 다르게 매우 박식해진 것을 알아보고 놀랐습니다. 여몽은 이런 변화에 대해 "선.. 카테고리 없음 2023. 9. 3. 뉴질랜드 유학이 답일까? 뉴질랜드 이민, 뉴질랜드 취업, 또는 유학 후 이민을 고려하고 있다면, 뉴질랜드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뉴질랜드의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의 교육체계가 한국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뉴질랜드 유학이 답일까? 뉴질랜드 이민 유학 선택 이유 사람마다 다양한 이유로 뉴질랜드를 선택하고 뉴질랜드 유학을 고려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뉴질랜드를 선택하는 이유를 요약해보면 대부분 아래 이유로 요약 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자연과 온화한 기후 그리고 여유로운 삶으로 유명한 나라입니다. 인종차별이 거의 없는 이민 국가로 안전하고 치안이 잘 되어 있는 나라입니다. 높은 교육 환경으로 유명한데 학급당 학생 수가 적어 선생님과 학생 간 가까운 유대감 형성이 가능합니다.. 상식 2023. 9. 2. 烏(오)자가 들어가는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 뜻과 유래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의 공통점은 까마귀 오(烏)자가 들어가는 고사성어로 각자 뜻과 유래가 모두 다르다. 烏(오)자가 들어가는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 뜻과 유래 오유 烏有 뜻과 한자 烏 까마귀 오 有 있을 유 어찌 있으랴. 사물(事物)이 아무 것도 없이 됨. 오유 烏有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마상여 司馬相如 속 문장 까마귀 오(烏)자는 새 조(鳥)자에서 머리 쪽 한 획이 없는 글자로 까마귀는 조금 떨어져 보면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오(烏)」자가 붙는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혹명나방 유충 특징과 피해 그리고 방제 방법(ft. 공식 학명) 최근 혹명나방이 출현하여 긴급 방제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흔히 혹명나방으로 알려진 벼 혹명나방은 벼 해충으로 간주되는 나방의 일종으로 쌀이 주식인 우라나라와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벼 재배 농가에서 골칫거리 해충으로 유명합니다. 오늘은 혹명나방 유충의 특징과 피해 그리고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명나방 유충 특징과 피해 그리고 방제 방법(ft. 공식 학명) 혹명나방 유충 특징(모양 크기 등) 혹명나방 크기 혹명나방 성충의 날개 길이는 약 1 ~ 1.5 센티미터 (약 0.4 ~ 0.6 인치)로 다른 많은 종에 비해 비교적 작은 나방입니다. 혹명나방은 크기가 작고 비교적 눈에 잘 띄지 않아 현장에서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벼 재배 농가에서 골칫거리 해충이 될 수.. 상식 2023. 9. 2. 흉상 뜻(흉상뜻)과 세계 유명 흉상 TOP 10 최근 홍범도 흉상 철거가 사회 이슈입니다. 여기서 "흉상" 뜻을 알아보면 넓은 의미로는 회화와 부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조각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흉상이 어디까지 표현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복부보다 위를 가리키나며 명확한 한계가 없습니다. 흉상 뜻(흉상뜻)과 세계 유명 흉상 TOP 10 흉상 뜻(흉상뜻) "흉상"은 인체의 상반신만을 나타낸 미술 작품을 가리키는 용어로, 일반적으로는 조각을 지칭합니다. 그러나 더 넓은 의미에서는 회화나 부조도 흉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영어 및 한자로 흉상 뜻을 가진 단어 흉상 영어: bust (sculpture) 흉상 한자: 胸 가슴 흉 像 모양 상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흉상 TOP 10 세계적으로 유명한 흉상 조각품 10점을 소개 드리면 이 흉상들은 다.. 상식 2023. 9. 2.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월동주(吳越同舟)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적이지만 서로 협력한다는 뜻이지만 지금은 전투에 한하지 않고 사이가 좋지 않은 동지끼리 서로 도울 때 또는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그저 동석(同席)하고 있을 때도 쓰이며 그 유래는 손자병법이다.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한자 吳 성씨 오 越 넘을 월 同 한가지 동 舟 배 주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한 배를 타고 있다는 뜻으로 적이지만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오월동주 吳越同舟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손자병법 孫子兵法』 제10편 9지 「손자(孫子)」란 책이 있다. 중국의 유명한 병법서로 춘추 때 오국(吳國)에 있던 손무(孫武)가 쓴 것으로 되어있다. 손무는 오왕 합려(闔廬)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는 오십도를 도망가는 것이나 백보를 도망가는 것이나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맹자와 양혜왕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지식도 아예 모르는 것과 대충 아는것은 오십보백보이니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뜻과 유래를 익혀보자.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뜻과 한자 五 다섯 오 十 열 십 步 걸음 보 百 일백 백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유래와 출처 출처.출저: 『맹자 孟子』 양혜왕편 梁惠王篇 맹자(孟子)는 기원전 371년에 출생했다는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기원 전 5~3세기 동안 계속된 전국시대의 극성기인 4세기 중엽에 살았던 인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난맥(亂脈)한 세상에서 인도주의적인 공자의 가르침을 펴고 인의의 도(仁義之道)를 말하며 다니던 맹자가 당시 사람들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인물 소개: 양 혜왕(梁 惠王) 위 혜왕(魏 惠王) 문혜군(文惠君) 위혜왕(魏惠王, BC 400년 ~ BC 334년)은 중국 전국 시대 위나라의 제3대 군주로 혜성왕(惠成王)으로 불리기도 한다. 위 무후의 적자로 태어남 위 무후가 죽은 후 이복형 공자 중완(仲緩)과의 왕위 다툼에서 승리하여 그를 죽이고 즉위하였다. 위혜왕 재위기간: 기원전 370년 ~ 기원전 334년) 성은 희(姬). 씨는 위(魏). 휘는 앵(罃)이다. 맹자에서는 양 혜왕(梁 惠王)으로 기록되어 있고 장자에서는 문혜군(文惠君)으로 기록되어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3. 9. 2.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