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유커뜻 싼커뜻 "유커(游客 / yóukè / 유객)"은 중국어에서 관광객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중국인 관광객, 특히 대규모로 몰려다니는 중국인 그룹 관광객을 가리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이외의 다른 중화권 국가나 지역(예: 대만,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에서 온 관광객은 유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싼커(散客)"는 그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개별적으로 여행하는 관광객을 지칭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 명 정도의 개별 관광객을 의미합니다. 유커뜻, 싼커뜻과 유래 유커, 요우커 유래 한국 언론에서는 "유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할 때 "요우커"와 "유커"가 혼용되었습니다. 이 혼용은 경향 신문에서 "요우커"를 사용하고, 매일 신문에서는 두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 결과였습니다. 경향신문과 매.. 상식 2023. 9. 2. 태국(방콕, 치앙마이, 푸켓, 파타야, 크라비, 코사무이) 땅크기, 위도경도 오늘은 동남아 베스트 여행국 중 하나인 태국의 지리적 특징인 땅크기와 유명 도시인 방콕, 치앙마이, 푸켓, 파타야, 크라비, 코사무이의 위도경도와 각 도시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국(방콕, 치앙마이, 푸켓, 파타야, 크라비, 코사무이) 땅크기, 위도경도 태국 땅크기과 위도 경도 태국 땅크기: 약 513,120제곱킬로미터(약 198,120제곱마일). 태국 위도 경도: 태국은 남위 약 5.7° N부터 북위 약 20.5° N까지 다양한 위도에 걸쳐 있습니다. 방콕 땅크기와 위도 경도 방콕 땅크기: 방콕의 땅크기는 약 1,568.7제곱킬로미터(약 605.7제곱마일)입니다. 방콕 위도 및 경도: 위도 약 13.7563° N, 경도 약 100.5018° E. 치앙마이 땅크기와 위도 경도 치앙마이 땅.. 상식 2023. 9. 1. 베트남(하노이, 다낭, 나트랑, 달랏, 호치민, 푸꾸옥) 땅크기, 위도경도, 오늘은 동남아 베스트 여행국 중 하나인 베트남의 지리적 특징인 땅크기와 유명 도시인 하노이, 다낭, 나트랑, 달랏, 호치민, 푸꾸옥의 위도경도와 각 도시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트남(하노이, 다낭, 나트랑, 달랏, 호치민, 푸꾸옥) 땅크기, 위도경도, 도시특징 베트남 하노이, 다낭, 나트랑, 달랏, 호치민, 푸꾸옥 땅크기, 위도경도 다음은 베트남의 총 면적과 하노이, 다낭, 나트랑, 달랏, 호치민, 푸꾸옥의 면적과 각 도시의 위도 및 경도 좌표입니다 땅크기 위도 경도 베트남 약 331,212제곱킬로미터 (약 127,882제곱마일) 14.0583° N to 23.3924° N 102.1445° E to 109.4633° E 하노이 Hanoi 약 3,328.9제곱킬로미터 (약 1,285.4제.. 상식 2023. 9. 1.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리무중(五里霧中)에서 무(霧)가 안개를 뜻하는 사항을 이해하면 말 그대로 5리에 걸친 안개 속이란 뜻으로 일이나 상황을 알 수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유래는 후한서이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한자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이)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안개가 5리에 걸쳐 있다는 뜻으로 일의 방향을 잡기 어려울 때 사용한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유래와 출처 출처.출저: 『후한서 後漢書』 장해전 張覇傳 환관(宦官)과 외척이 정치를 손아귀에 넣고 있던 후한(後漢) 화제(和帝) 때 장패(張覇)라는 성도 출신의 학자가 있었다. 화제(和帝)가 병으로 죽은 후 이어서 즉위한 100일도 안된 황제 상제..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 인물 소개: 백이·숙제(伯夷叔齊) 인물 소개: 백이·숙제(伯夷叔齊) 중국 주(周)나라에서 유명한 형제성으로 여겨지는 인물입니다. 주나라의 왕인 무왕이 은나라의 왕인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멸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일이라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양식을 거절하고 서우양산에서 굶어 죽었습니다. 백(伯)과 숙(叔)은 형제 순서를 나타냅니다. 원래는 은(殷)나라의 고죽국(孤竹國)에서 왕자로 태어났으 아버지의 사망 후 누가 후계자가 될지에 대해 서로 양보하다 결국 모두 나라를 떠나면서 중간에 있는 아들이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복하여 주왕조를 세우려 할 때, 두 형제는 무왕의 행동이 인의(仁義)에 어긋난다고 여겨서 주나라의 양식을 거부하고 서우양산[수양산 首陽山]으로 들어가서 굶어 죽.. 역사 2023. 9. 1. 인물 소개: 순제(順帝) 순제(順帝)의 성은 유(劉)이고 이름은 보(保)이며 시호는 효순황제(孝順皇帝)이었습니다. 인물 소개: 순제(順帝) 115년에 중국 후한의 제6대 왕인 안제(安帝)의 외 아들 태어난 그의 어머니는 궁인 이씨(李氏)였으나 안제의 황후였던 염씨(閻氏)는 순제의 생모인 궁인 이씨를 척살했습니다. 순제(順帝)는 120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124년에 외척인 염씨 일가와 안제의 유모인 왕성(王聖) 등의 참언으로 폐위되어 제음왕(濟陰王)으로 봉해지게 됩니다. 125년 안제가 남쪽 지방을 순행하다가 죽는일이 발생하자 황후 염씨는 안제의 외 아들인 순제를 제쳐두고 제북혜왕(濟北惠王) 유수(劉壽)의 아들인 유의(劉懿)를 왕으로 세웠습니다. 그러나 유의가 왕위에 오른 지 몇 달 만에 죽자 태후 염씨는 또 다시 종실의 .. 역사 2023. 9. 1. 인물 소개: 안제(安帝) 안제(安帝)의 이름은 유(劉)이며, 호는 호(祜)이었고, 시호는 효안황제(孝安皇帝)였습니다. 인물 소개: 안제(安帝) 안제는 중국 후한(後漢) 제3대 왕인 장제(章帝)의 손자로, 아버지는 장제의 서자인 청하왕(清河王) 유경(劉慶)이었고, 어머니는 좌소아(左小娥)였습니다. 106년에 제4대 왕인 화제(和帝)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상제(殤帝) 유융(劉隆)이 100일이 채 되지 않은 어린 나이로 왕위를 계승했으나 상제는 왕위에 오른 지 8개월 만에 사망하였습니다. 이에 화제의 황후인 화희황후(和熹皇后) 등씨(鄧氏)는 당시 13세였던 안제(安帝)를 왕으로 즉위시키고, 자신은 태후로 섭정하였습니다. 안제는 115년(안제 9)에 안사황후(安思皇后) 염씨(閻氏)와 결혼하였으며, 이어서 궁인 이씨(李氏)에서 아들인 .. 역사 2023. 9. 1. 인물 소개: 상제(殤帝) 중국 후한의 제5대 황제. 생후 100일이 갓 지났을 때 황위에 올라 실권을 외척이 장악했다. 인물 소개: 상제(殤帝) 상제(殤帝)의 이름은 유융(劉隆)이었습니다. 후한(後漢) 4대 황제인 화제(和帝) 유조(劉肇)의 둘째 아들이었습니다. 화제는 여러 아들을 가졌지만 대부분은 어린 시절에 죽습니다. 화제(和帝)는 아들들에 대 외척 등의 암살을 의심하여 외부 민가에위탁하여 안전하게 자라길 바랐습니다. 화제(和帝)가 사망하자 태후(太后) 등(鄧)씨는 유승(劉勝)의 건강을 이유로 막 백일이 지난 유융을 황제로 즉위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권력은 등(鄧)태후를 비롯한 외척들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융은 즉위한 지 한 해 후에 병으로 사망하여, 요절한 황제로서 효상황제(孝殤皇帝)라는 시호가 주어졌습니다. 이로써.. 역사 2023. 9. 1. 인물 소개: 장패(張覇) 인물 소개: 장패(張覇) 장패(張覇)는 후한 촉군(蜀郡) 출신이며 성도(成都) 출신이었습니다. 자는 백요(伯饒)이며, 사시(私諡)는 헌문(憲文)이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효도하고 양보하는 태도로 유명하여 고을 사람들이 그를 장증자(張曾子)라고 불렀다고합니다. 오경(五經)을 잘 알아 효렴(孝廉)으로 선발되었습니다. 화제(和帝) 영원(永元) 연도에는 회계태수(會稽太守)로 재직했으며, 번조(樊鯈)에게 『공양엄씨춘추장구(公羊嚴氏春秋章句)』를 배웠습니다. 이후 이 책을 정리하여 춘추장씨학(春秋張氏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그의 가르침을 받은 학생들은 수천 명에 이르렀습니다. 태수로서 3년간 군내 안정을 도왔고, 병으로 인해 사직하게 되었습니다. 나중에는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나 그는 70살에 병으로 .. 역사 2023. 9. 1.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유래(ft. 한자해석, 출처)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는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자는 뜻으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용꼬리보다 뱀 대가리가 되자는 말과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그 유래는 사기에 나오는 소진(蘇秦)편에서 볼 수 있다.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유래(ft. 한자해석, 출처)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한자 寧 편안할 녕(영) 爲 할 위 鷄 닭 계 口 입 구 勿 말 물 牛 소 우 後 뒤 후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유래와 출처 출처: 『사기 史記』 소진전 蘇秦傳 주연왕(周燕王) 35년(B.C 334년)에 소진(蘇秦)이 연문후(燕文侯)를 설득 후 다음해에는 초위왕(楚威王)을 설득해서 소위 말하는 합종(合從)에 성공했다. 1년이란 기간동안 독특한 변설로 사자분신(獅子奮迅..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1.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