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03 르네상스기의 프랑스 철학자 몽테뉴의 수상록 에세, 명언 알아보기 프랑스 수필가, 철학자인 몽테뉴 (Montaigne, Michel Eyquem de)의 생애 1533년 2월 28일에 태어나 1592년 9월 13일에 세상을 떠났다. 59세로 생을 마친 그는 수필의 비조(鼻祖)이다. 남 프랑스의 보르도 근교의 몽테뉴 성(城)에서 출생하여 조부 때 귀족이 된 페리고르 지방의 부유한 상인의 집에서 태어났다. 이탈리아의 새 문화와 접촉이 잦았던 부친에게서 자유로운 교육을 받는 한편 6세까지 아버지 피에르가 초빙한 독일의 학자 홀스타누스로부터 직접 라틴어 교육을 받았다. 보르도 및 툴루즈의 학교에서 법률 및 기타 학과를 배웠고, 뒤에 보르도 시(市) 평의원이 되었다. 덕망이 있는 샤세뉴 가(家)의 딸 프랑소와즈와 결혼, 그 해 부친을 잃고 가산을 상속받았으며 스봉의《자연신학》(.. 철학 2023. 4. 15. 파스칼의 생애와 팡세: 인간은 자연 가운데서 가장 연약한 갈대이다 블레즈 파스칼(Blaise Fascal)이 태어나고 활동한 시대는 그리스도교가 한참 권위를 떨치던 중세 문명이 조락(渭落)하고, 신에 대한 맹종에서 벗어나 인간 자신의 고유한 가치와 존엄성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근세와 중세의 과도기이다. 파스칼의 어린 시절 천재성을 보이다 그래서 파스칼은 점차 싹트기 시작한 갖가지 사상적 대립에서 부단히 영향을 받으면서 한편으로는 근세 질서의 일역을 담당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는 1623년 6월 19일 프랑스의 중부 지방 크레르몽에서 징세관(徵稅官)의 아들로 태어났다. 귀족 가문은 아니었으나 부친 에티엔 파스칼은 교양 있고 특히 수학과 물리학에 소양이 깊은 그 지방의 유지였다. 모친 앙트와네트는 상인 집안의 딸로 다정다감한 여성이었으나 파스칼이 세 살 되던 해에 세상.. 철학 2023. 4. 14.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알렉산더 프리드먼, 조르주 르메트르, 조지 가모브 양성자(proton) 원자핵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양전하를 가지는 입자이다. 양성자는 원자의 중심에 위치한 핵 내부에서 전자(electron)와 함께 원자를 구성한다. 양성자는 전자와 함께 원자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자핵 내부의 양성자와 중성자(neutron)의 상호작용이 원자핵 안정성과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양성자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은 방사선의 발생과 활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성자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입자끼리 충돌하여 핵 융합을 일으키는 핵융합 반응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양성자들이 서로 중력을 이겨내고 전자기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서로 다가가 핵을 합체시키는 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는 핵융.. 상식 2023. 4. 14.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과 고백론 Confession 요약(2) 2023.04.13 - [철학] -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과 고백론 Confession 요약(1)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과 고백론 Confession 요약(1)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은 한때 〈참회록〉이라고 일컬어졌다. 〈참회〉라면 죄를 연상(聯想)시키는데 이는 방탕자가 마음을 고쳐 신의 충실한 머슴이 되었다는 ryooster.tistory.com 아우구스티누스의에게 있어서〈신학한다〉란〈고백하는〉것이다. 신학이란 신에 관해서 알수 있었던 것을 쓰고 때에 따라서는 모르는 것까지도 안 것처럼 써갈기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생각과는 정반대이다. 그에게 있어서〈신학한다〉란 신의 말씀에 대해서 생각하는 일이다. 그러나 신의 빛을 받지 않는다면 신의 말씀에 관해.. 철학 2023. 4. 14.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과 고백론 Confession 요약(1)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은 한때 〈참회록〉이라고 일컬어졌다. 〈참회〉라면 죄를 연상(聯想)시키는데 이는 방탕자가 마음을 고쳐 신의 충실한 머슴이 되었다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연상케 한다. 그러나 책을 읽어가면 도처에서 신을 찬미하는 구절과 부닥치게 된다. 참회록인가? 참미록인가? 〈참회〉보다는 차라리〈찬미〉에 더 가깝지만 〈찬미록(讚美錄)〉이라고 이름 붙이기에는 역시 참회의 성격이 강하고 특히 회심(回心)에 이르기까지의 그의 생애에 관해 쓴 앞 8권은 과거의 죄에 대한 참회가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경우도 물론 참회가 목적이 아니고 참회를 통해 찬미한다. 또는 찬미하기 위해 참회한다는 것이지만 그래도 단순한 찬미가 아니다. 따라서《참회록》도 아니지만 《찬미록》도 아니다. .. 철학 2023. 4. 13. 아름다운 배꽃 오늘 찍은 배꽃입니다. 배 과수원에 지금 가면 배꽃이 활짝 개화한 멋진 풍경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얼핏보면 벗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3. 4. 9.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공부하기 3편 모든 지각(知覺)은 정신을 자극한다. 의식에 들어오는 힘과 생생함[직접성]의 정도에 따라 강한 것은 인상(印象) impression, 약한 것은 (인상을 재현(再現)하는 심상(心想)[표상(表象)]인) 관념(觀念) idea이다. 지각은 항상 (지각과 일대일 대응하며 분리할 수 없는) 단순한 인상과 (결합한 인상들을 재현하며 분리할 수 있는) 복잡한 관념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중적이다. 경험을 통한 (직접적 지각인) 인상이 관념에 선행하며, (관념이 대상을 정확하게 재현한 것일 경우) 관념들 사이의 관계⋅모순⋅일치는 (외부) 대상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이것이 모든 지식의 기초이자, 내가 확립한 제1원리이다. -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 오성(悟性) 흄은 모든 지각을 감각작용 feelin.. 철학 2023. 4. 8.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공부하기 2편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서문(序文) 중 (단순한) 신뢰를 바탕으로 받아들여진 원리들, 부분들 간의 정합성(整合性) compatibility과 전체적인 명증성(明證性)이 결여된 원리들로부터 어설프게 유추된 결론들, 이런 것을 우리는 유명한 철학자들의 체계 곳곳에서 발견하게 된다. (어디에서든) 논란거리가 아닌 것이 없고, 학식 있는 사람들이 상반되는 의견을 갖지 않는 것이 없다. 가장 하잘것없는 문제에서도 우리는 논쟁을 피할 수 없고, 가장 중요한 문제에서도 우리는 전혀 확실한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인간에 관한 학문은 다른 학문을 위한 유일하고 견실(堅實)한 기초이므로, 우리가 인간학 자체에 제공하는 기초는 (가장 확실한) 경험과 관찰 위에 놓여야만 한다. 나는 외부 물체의 본질과 마찬가.. 철학 2023. 4. 8. 데이비드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공부하기 1편 오래전부터 ‘이성의 권력화’와 ‘계몽의 신화화’ 등을 근대성(近代性)이라고 단정한 후, 근대성을 탈피하기 위해 탈(脫)근대와 반(反)근대를 부르짖고 있다. 데이비드 흄의 철학은, 참된 계몽(啓蒙)을 위해서는 이성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데서 시작한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기에,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흄이 자연과학의 방법을 전적으로 신뢰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자연적 존재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며, 인간으로서는 그 방법의 한계를 알면서도 매달 릴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실체(實體)를 ‘정신’과 ‘물질’로 구별하고, 정신이 물질을 지배하는 것으로 보는 데카르트 이원론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인 상호관계의 작동 원리를 해결하지는 못했기 때.. 철학 2023. 4. 7.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읽어보기 아이네이스 개요 로마 시인 버질(Virgil)이 기원전 29년에서 19년 사이에 작곡한 서사시 아이네이스(Aeneid )는 서양 문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중 하나로 이탈리아에 로마 국가를 세울 운명을 갖고 태어난 트로이 전쟁 난민인 아이네이아스(Aeneas)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푸블리우스 베르길리우스 마로(Publius Virgilius Maro, 줄여서 버질)는 로마 사회가 대 변혁을 겪던 시기에 아이네이스를 작곡했다. 기원전 70년에 태어난 버질은 수십 년 동안 로마의 격동적인 내전을 목격 하였는데 거의 한 세기에 걸친 격렬한 내전은 정치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로마 시민들에게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하였다. 로마 공화정의 기반은 이미 기원전 49년에 절대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 문학 2023. 4. 3.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10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