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와우각상지쟁 蝸牛角上之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또는 와각지쟁(蝸角之爭),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는 모두 달팽이 더듬이 위에서 싸움이란 뜻으로 하찮은 일에 싸우는 것을 비유적으로 말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장자의 측양편이다. 위 고사성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와우가 쿠팡와우가 아닌 달팽이를 뜻하는 한자라는 것을 기억하자! 와우각상지쟁 蝸牛角上之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와우각상지쟁 蝸牛角上之爭 뜻과 한자 蝸 : 달팽이 와 牛 : 소 우 角 : 뿔 각 上 : 위 상 之 : 어조사 지 爭 : 다툴 쟁 달팽이 더듬이 위에서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말로 거창한 싸움 같지만 하찮은 일에 불과하다는 의미 와각지쟁(蝸角之爭) 뜻과 한자 달팽이 와, 뿔 각, 갈 지,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이란 뜻. 중요하지 않은 일로..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5. 나이 듬에 따라 근육 유지를 위한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 노화는 근육 감소증으로 알려진 근육량의 점진적인 감소를 포함하여 신체에 변화를 가져오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나이가 들면 연약해지고 쇠약해지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운동을 통해 근육 손실을 막고 힘과 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한 좋은 운동 방법과 나쁜 운동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량 유지를 위한 좋은 운동 방법 웨이트를 이용한 근력 운동 저항 운동 또는 근력 운동은 근육 손실에 대응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역기를 들거나 저항 밴드를 사용하거나 스쿼트나 팔굽혀펴기와 같은 체중 운동을 하면 근육량을 늘리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신에게 도전적이면서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무게 또는 저항 수준으.. 상식 2023. 9. 4. 당신은 개구리화 현상인가요? 뱀화 현상인가요? 개구리화 현상과 뱀화 현상은 최근 일본 청년 세대에서 유대하는 신조어 입니다. 두 단어만 들었을 때는 쉽게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데 개구리화 현상을 마음에 들던 사람이 호감을 표시하면 갑자기 싫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당신은 개구리화 현상인가요? 뱀화 현상인가요? 개구리화 현상과 뱀화 현상 '개구리화 현상'은 일본 청년 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용어로, 동화 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 용어는 짝사랑하던 사람이 자기에게 호감을 표시하면 갑자기 개구리처럼 싫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완벽한 줄 알았던 상대방이 소위 '깨는 행동'을 했을 때도 곧바로 개구리처럼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이 용어는 2004년 일본의 심리학자 후지사화 신스케 교수가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와 대조적인 의미의 ‘뱀화 현상’이란 신조어도 .. 상식 2023. 9. 4. 해트트릭뜻 (도대체 Hat 모자와 무슨 상관이야?)과 월드컵 해트트릭 해트트릭(“Hat-trick”)은 처음으로 19세기 크리켓에서 사용된 용어로, 한 선수가 연속해서 3번의 특별한 성취를 이루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이 용어의 기원은 1858년에 영국의 크리켓 선수가 3구 연속으로 상대방 타자를 아웃시켜서 모자를 받은 사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해트트릭뜻 (도대체 Hat 모자와 무슨 상관?)과 월드컵 해트트릭 해트트릭뜻 알아보기 크리켓에서 한 볼러가 세 번의 투구로 연속해서 세 번의 아웃을 달성하면 이를 기념하기 위해 모자가 수여되며, 이 관습으로 인해 "Hat-trick"이라는 용어가 생겼습니다. 해트트릭이란 용어는 이후 다른 스포츠 및 분야로 확산되었으며, 득점이 어려운 종목에서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3득점을 하는 경우를 뜻 하기도 합니다. 또한, 특정 대회 타이틀을 .. 상식 2023. 9. 4. 축구, 야구에서 해트트릭의 어원과 유래 그리고 뜻(ft. 영어로) 축구와 야구를 포함한 여러 스포츠의 경계를 넘나드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해트트릭"입니다. 하지만 이 해트트릭의 유래와 어원 그리고 진정한 뜻이 무엇인지 궁금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해트트릭의 유래(어원)와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축구, 야구에서 해트트릭의 어원과 유래 그리고 뜻(ft. 영어로) 축구의 해트트릭 어원(유래)와 뜻 해트트릭의 기원 해트트릭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크리켓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처음에는 크리켓에서 볼러(bowler)가 연속으로 세 개의 위켓(wickets)을 가져가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해트트릭이라는 개념이 축구에 도입된 것은 1858년 H.H. 스티븐슨(Stephenson)이라는 크리켓 선수가 세 경기 연속으로 세 개의 위켓을 가져가는 놀라운 업.. 상식 2023. 9. 4. 인내 관련 명언 TOP 10: 인생의 도전 극복하기 인생이라는 대극장에서 인내는 우리 개인 이야기의 숨은 영웅으로서 중심 무대를 차지합니다. 인내는 세상이 우리를 음모하는 것처럼 보일 때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며, 역경에 굴복하지 않는 흔들리지 않는 정신이며, 가장 어두운 시기에도 우리의 길을 밝혀주는 희망의 등불입니다. 인내심은 단순한 단어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개인, 공동체, 문명의 운명을 결정해 온 자연의 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힘들때 힘이되어 주는 인내와 관련한 명언을 살펴보겠습니다. 인내 관련 명언 TOP 10 인내란 긴 레이스가 아니라 수많은 짧은 레이스가 연달아 이어지는 것이다. Perseverance is not a long race; it is many short races one after the other. - 월터 ..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9. 3. 와신상담(臥薪嘗膽) 뜻과 유래(ft. 출처, 출저, 한자)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은 복수심을 품고 언제나 그것을 생각하며 신고(辛苦)하는 것을 의미 하는데 바로 이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고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또 오와 월이 서로 극히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을「오월지간(吳越之間)」이라고 한다. 와신상담(臥薪嘗膽) 뜻과 유래(ft. 출처, 출저, 한자) 와신상담 臥薪嘗膽 뜻과 한자 한자: 臥 누울 와 薪 섶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뜻: 장작위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뜻한다. 와신상담 臥薪嘗膽 관련 등장인물 오왕 합려(吳王 闔閭) 월왕 구천(越王 句踐) 오왕 부차(吳王 夫差): 오왕 합려의 아들 범려(范蠡): 월왕 구천의 책사 서기: 중국 4대 미녀(양귀비, 초선, 왕소군, 서비) 중 한 명..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석혼효(玉石混淆)이란 고사성어는 옥(玉) 즉 경옥(硬玉)이나 연옥(軟玉)이 돌과 섞여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 훌륭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사람으로 치면 현우(賢愚)가 한데 섞여 뒤범벅이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유래는 포박자이다.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한자 玉 구슬 옥 石 돌 석 混 섞을 혼 淆 뒤섞일 효 진귀한 옥(玉)과 돌이 함께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선과 악 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함께 섞여 있음을 의미한다. 옥석혼효(玉石混淆)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포박자 抱朴子』 진晋의 갈홍저 葛洪著 내외편 內外篇 진(晋)의 갈홍(葛洪)이 지은 『포박자(抱朴子)』에 대략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데 그 속에 보이는「옥석혼효(玉石混淆)」란..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은 집 위에 또 다른 집을 세우는 것처럼 무 의미한 일을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오래 전 과거에는 집 위에 또 다른 집을 올리는 것이 어려웠겠지만 지금은 집 위에 집을 올리는 고층빌딩이 즐비하니 뜻도 변해야 할까?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한자 屋 집 옥 上 윗 상 架 시렁 가 지붕 위에 다시 집을 세우는 것처럼 무의미한 일을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세설신어 世說新語』 후한(後漢)말의 난세로 소위 삼국시대에 촉(蜀)나라와 오(吳)나라를 멸망시킨 위(魏)나라는 천하를 통일하고자 국호를 진(晋 - 西晋)이라 고친 후..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유래 오합지중(烏合之衆) 또는 오합지졸(烏合之卒)은 마치 까마귀 떼와 같이 규율이나 통일성 없이 엉망진창인 군중이나 단체를 뜻한다. 고사성어 오합지중에 대한 유래는 『문선 文選』에서 한왕유연 등을 「신기(新起)의 구(寇) 오합지중」이라고 부른것에서 찾을 수 있다.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한자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갈 지 卒 마칠 졸 衆 무리 중 까마귀 떼와 같이 엉망진창이고 훈련도 재대로 되지않은 집단을 의미한다.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문선 文選』 진기총론 晋紀總論 전한 말(前漢 末) 시기 외척인 왕망(王莽)은 모든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평제(平帝)을 죽인 후 유자..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