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원교근공 遠交近攻 뜻과 유래, 범수(范睢) 원교근공 遠交近攻는 위여누란이란 고사성어로도 유명한 범수(范睢,또는 범저)의 외교정책으로 먼 나라와는 가깝게 지내고 가까운 나라를 침력한다는 뜻으로 진 나라가 천하를 통일하는데 지도원리의 역할을 하게된다. 원교근공 遠交近攻 뜻과 유래, 범수(范睢) 원교근공 遠交近攻 뜻과 한자 遠 멀 원 交 사귈 교 近 가까울 근 攻 칠 공 먼 나라와 친하게 지내고 가까운 나라를 침략한다는 뜻으로 전국시대에 범저(范雎)가 주창한 외교정책이다. 원교근공 遠交近攻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전국책 戰國策』 진하 秦下 소양왕 昭襄王 및 『사기 史記』 범수 范睢·채택열전 蔡澤列傳 위(魏)나라의 책사(策士) 범수(范睢,또는 범저)는 타국과 내통하고 있다는 참언(讒言)으로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번 했으나 친구 정안평(鄭安平)의 도움..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0. 위편삼절 韋編三絶 뜻과 유래, 공자 이야기 위편삼절 韋編三絶 뜻은 무두질한(생가죽, 실 따위를 매만져서 부드럽게 만드는 것) 가죽(韋)의 끈(編)이 세 번 닳아서 끊어진다는 것으로 그 유래는 공자가 역경(易經)을 철(綴)한 가죽끈이 세 번씩이나 닳아 끊어질 정도로 읽었다는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위편삼절 韋編三絶 뜻과 유래, 공자 이야기 위편삼절 韋編三絶 뜻과 한자 韋 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가죽으로 엮는 책이 3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열심히 읽었다는 뜻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위편삼절 韋編三絶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 공자세가 孔子世家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된 시기는 후한(後漢) 원흥(元興) 원년으로 채윤(蔡倫)이 종이를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이전에는 책이라고 하면 대(竹) 나무..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9. 위여누란 危如累卵 뜻과 유래, 범수(范睢) 위여누란 危如累卵는 쌓여 있는 알을 상상해 보면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 쌓여 있는 알과 같이 매우 위태한 상태를 뜻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한비자에 나오는 범수(范睢)가 주인공이다. 위여누란 危如累卵 뜻과 유래, 범수(范睢) 위여누란 危如累卵 뜻과 한자 危 위태할 위 如 같을 여 累 묶을 루(누) 卵 알 란(난) 마치 알을 쌓아 놓은 듯 위태한 상태를 뜻하는 고사성어로 매우 위급한 상황을 의미한다. 유사 고사성어: 累卵之勢(누란지세) 焦眉之急(초미지급) 風前燈火(풍전등화) 위여누란 危如累卵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한비자 韓非子』 십과 十過 일예일능(一藝一能)에 뛰어난 모두가 각자의 실력으로 출세하기 위해 필사적 노력을 하던 전국시대의 일이다. 그 시대 종횡가(縱橫家)라고 불리우며 제후들 사이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9. 악비(岳飛) 고사성어,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 뜻과 유래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는 송나라 장군 악비(岳飛)의 말로 모든 것은 자기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는 뜻으로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고사성어이다. 악비(岳飛) 고사성어,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 뜻과 유래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 뜻과 한자 運 : 운전할 운 用 : 쓸 용 之 : 어조사 지 妙 : 묘할 묘 在 : 있을 재 一 : 한 일 心 :마음 심 모든 것을 운용하는 것은 각자의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운용지묘재일심 運用之妙在一心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송사 宋史』 악비전 岳飛傳 한민족(漢民族)은 오래전부터 북방의 여러 민족과 다투고 있었는데 송(宋)나라 때에는 북방에서 큰 물결이 중국 전체를 먹어치울 기세로 휘몰아치고 있었다. 글안(契丹)인 요(遼)에 대해 송화강 근처에서 일어..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9. 악비 岳飛 인물 소개와 진회 秦檜와 갈등 악비 岳飛 (1103년 3월 24일 ~ 1142년 1월 27일)는 남송 초기의 장군으로 학자로서도 뛰어났다고 합니다. 1178년 무목(武穆)의 시호를 받았다가 뒤에 충무 (忠武)로 개정되었으며, 1204년 왕으로 추존되어 왕호는 악왕 (鄂王)이 되었습니다. 악비 岳飛 인물 소개와 진회 (秦檜)와 갈등 악비 岳飛 인물 소개 남송 제일의 최정예 군단으로 꼽힌 악비는 조정 내에서도 북벌론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북진하여 잃어버렸던 모든 영토를 수복하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주화파 (主和派)의 반감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당시 남송 조정에서는 재상인 진회 (秦檜)가 금나라 와 화평론 (和平論)을 주장하였으며 연일 승전보를 알려오는 악비를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주전파 (主戰派)인 군벌들과 이상파 (理想派.. 인물 소개 2023. 9. 9. 북송 황제 휘종 徽宗 중국 북송(北宋) 제8대 황제 조길(趙佶)는 신종(神宗) 황제의 11번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형인 철종이 사망하자, 신종왕후의 지원을 받아 황제로 즉위했습니다. 북송 황제 휘종 徽宗 인물 소개 북송 황제 휘종 徽宗는 처음에는 신·구양법의 균형을 유지한 정치를 펼쳤으나 섭정인 상태후(尙太后)가 사망한 후 신법을 다시 부활시키고, 채경(菜京), 동관(童貫) 등을 정치에 참여시켜 실정이 많아지게 됩니다. 포로가 되어 만주국에서 사망 휘종 徽宗 선화 7년(1125)에는 금나라 군이 남쪽으로 침공하여 황태자(흠종)에게 황제 자리를 양보하였지만, 금군의 재침입으로 황태자와 함께 포로가 되었으며 북만주 오국성에서 사망하게 되었습니다. 문예의 보호와 육성에 열성적이었던 휘종 徽宗 그러나 조길 황제는 문예와 미술을 지.. 인물 소개 2023. 9. 9. 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 논리학 제2 분석론 후서 요약과 개념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 논리학 제2 분석론 후서"는 인식론 영역의 기초 작업으로 과학 철학과 지식이 어떻게 획득되는지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실증적 지식의 본질, 과학적 탐구의 구조, 특정 결론에 도달하는 데 있어 연역적 추론의 역할에 대해 탐구합니다. 오늘 철학리뷰에서는 오르가논 논리학 제2 분석론 후서의 내용 요약과 핵심 개념) 그리고 주목할 만한 인용문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 논리학 제2 분석론 후서 요약과 개념 아리스토텔레스 '제2 분석론 후서' 내용 요약 '제2 분석론 후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단순한 의견이나 신념과 구별하는 실증적 지식의 본질에 대한 탐구입니다. 이 작품은 우리가 특정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과 과학적 탐구 과정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철학/아리스토텔레스 2023. 9. 9. 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 논리학 제1 분석론 전서, 논리적 탐구의 기초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 분석론 전서'는 형식 논리와 연역적 추론의 초석을 형성하는 중요한 저작으로 이 논문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논증 논리학의 원칙을 제시하며 유명한 삼단논법과 유효한 논증과 추론의 구조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계속 형성하고 있습니다. 오늘 철학리뷰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 분석론 전서'의 내용 요약과 핵심 개념, 주목할 만한 인용문 그리고 기본 주제와 상징적 요소 등 '제1 분석론 전서'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내용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 논리학 제1 분석론 전서, 논리적 탐구의 기초 아리스토텔레스 '제1 분석론 전서' 요약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 분석론 전서'는 연역적 추론의 구조와 타당한 논증의 본질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탐구입니다. 이 책은 주로 두 개의 .. 철학/아리스토텔레스 2023. 9. 9.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증상과 치료법 예방법 인간과 동물을 모두 감염시킬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는 눈꼽감기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질병의 중증도는 특정 혈청형과 개인의 면역 체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막염 증상 등을 보이는 아데노바이러스 치료법과 예방법을 알아보세요. 아데노바이러스 증상과 치료법 예방법 아데노바이러스 특징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는 제4급 법정감염병으로 급성호흡기 질환의 5-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열병의 원인 중 약 5-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7개의 혈청형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DNA 상동성에 따라 7종(A-G)의 아속(subgenera)으로 분류되는 아데노바이러스는 감염 초기에는 점막 표면을 침범하나 이후 발열을 동반하는 바이러스혈증이 발생하여 다른 장기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상식 2023. 9. 8. 아리스토텔레스 해석론, 언어와 실재의 해독 페리 헤르메네이아스 Peri Hermeneias"라고도 알려진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학 On Interpretation"은 언어와 논리 철학 영역의 기초적인 저작으로 이 영향력 있는 논문은 언어의 본질, 단어와 실재 사이의 관계, 해석의 복잡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오늘 철학리뷰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해석론'의 요약과 개념, 주목할 만한 인용문, 주제와 상징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해석론, 언어와 실재의 해독 아리스토텔레스 '해석론' 요약 "해석론"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언어, 특히 진술의 본질과 현실과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 책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단순 진술과 복합 진술을 구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단순 진술은 하나의 생각을 표현하는 반면, 복합 진술은 여러 생각을 연결합니다. 아리스토.. 철학/아리스토텔레스 2023. 9. 8.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