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철학을 공부할 때 플라톤을 먼저 공부해야 하는 이유 방대한 철학의 영역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은 짜릿할 수 있지만 철학적 사고의 역사는 수많은 영향력 있는 사상가들이 인류 지성사의 흐름을 형성했기에 누구부터 공부할지 혼동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수 많은 철학자 중 플라톤이 중추적 인물로 그의 작품으로 철학적 탐구를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철학 리뷰에서는 플라톤 철학의 핵심을 살펴보고, 플라톤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왜 유익한지, 그리고 그의 사상이 이후 철학 사상에 미친 지속적인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철학을 공부할 때 플라톤을 먼저 공부해야 하는 이유 왜 철학은 플라톤을 먼저 공부해야 할까요? 철학 공부 시 플라톤을 가장 먼저 공부해야하는 이유는 많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아래 4가지 정도가 플라톤 철학을 먼저 공유하면 좋은 .. 철학 2023. 10. 13. 자포자기 自暴自棄에는 스스로를 학대한다는 뜻이 있다. 유래는? 자포자기의 뜻과 유래가 궁금해서 오셨나요? 자포자기의 뜻은 단순히 될대로 되라는 뜻 보다 깊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중에 실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성어인 자포자기란 단어를 들으면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지적허영을 한번 뽑내보세요. 자포자기에 대한 자세한 뜻과 유래는 아래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포자기 自暴自棄에는 스스로를 학대한다는 뜻이 있다. 유래는? 자포자기 自暴自棄 뜻과 한자 自 스스로 자 暴 사나울 폭 棄 버릴 기 자포: 스스로를 학대하다, 자기: 스스로를 버리다 자포자기: 스스로를 사납게 학대하고 스스로를 버리다라는 뜻 자포자기 自暴自棄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맹자 이루상편 『孟子离婁上篇』 오늘날 일상 생활에서 「자포자기」라고 하면 될대로 되라는 뜻으로 사용되나 원래는 『孟子』의 이루..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10. 칠보지재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유래: 머스크가 트윗한 한시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는 일론머스크가 21년 SNS에 올려 화재가 된 한시로 콩을 삶고자 콩까지를 태운다는 뜻으로 조조의 아들 중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던 조식이 그의 형 조비의 말도 안되는 왕명(칠보지재)을 받고 만든 시이다. 칠보지재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유래: 머스크가 트윗한 한시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뜻과 한자 煮 삶을 자 豆 콩 두 燃 탈 연 其 그 기 콩을 삶기위해 콩까지를 태운다는 뜻 자두연두기 煮豆燃豆其 유래와 출처 출전.출처: 『世說新語』 曹子建 「칠보시 七步詩」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영웅 중 한 명인 조조(曹操)는 문학을 즐겼고 선비(士)를 초빙하여 소위 건안문학(建安文學)의 융성을 가져왔으며 그의 아들 조식(曹植)은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능이 백년에 한번 나올정도로 뛰어났으며 무기(武..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유래: 적인걸(狄仁傑)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의 뜻은 자기 집 약장(약롱) 속의 물건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언제든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한 말로 당나라 측천무후 시대 적인걸(狄仁傑)이란 명재상(名宰相)의 말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유래: 적인걸(狄仁傑)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뜻과 한자 自 스스로 자 家 집 가 藥 약 약 籠 대바구니 롱(농) 中 가운데 중 物 물건 물 자기 집에 있는 약농(약 바구니)에 들어 있는 물건이란 뜻으로 언제든지 마음먹으면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자가약롱중물 自家藥籠中物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出典合十八史略』 당(唐)의 제3대 고종(高宗)의 황후를 무후(武后)라고 한다. 14세때 뽑혀 태종(太宗)의 후궁으로 들어 갔으나 26세때 태종이 죽자 여승..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입석시 立石矢 뜻과 유래: 이광(李廣)의 활쏘기 입석시 立石矢는 한나자 명장인 이광(李廣)과 관련된 성어로 활쏘기의 명수인 이광이 화살을 쏘았는데 돌에 박혀버렸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사기 이장군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입석시 立石矢 뜻과 유래: 이광(李廣)의 무용담 입석시 立石矢 뜻과 한자 立 설 립, 石 돌 석, 矢 화살 시 화살이 서 있는 돌을 꿰뚫다는 뜻이다. 입석시 立石矢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기 이장군전 『史記 李將軍傳 』 많은 명장(名將) 중에도 정말로 뛰어난 명장이 있으니 바로 한(漢) 나라의 이광(李廣)과 그의 손자 이능(李陵)같은 사람이 그와 같은 명장 중에 명장에 속한다. 이광(李廣)의 집안은 선조 대대로 무인의 혈통을 자랑하고 천하에 용맹을 떨친 장군을 계속 배출한 집안으로 호지(胡地)에 가까운 농서(隴西) 출신으로 바로 북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일호천 一壺天 뜻과 유래 배우기 일호천 一壺天의 뜻은 하나의 호리병 속의 하늘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작은 세상(소천지)을 의미하는 말로 호중천(壺中天)이라고도 한다. 또한 좁은 장소에 틀어박혀 혼자서 남모르게 즐기고 있는 사람을 가리켜 「호중 천지를 즐긴다」 또는 「호중거(壺中居)라네」하고 말한다. 일호천 一壺天 뜻과 유래 배우기 일호천 一壺天 뜻과 한자 一 한 일 壺 병 호 天 하늘 천 한 개의 호리병 속 하늘이란 뜻이다. 일호천 一壺天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방술전 方術傳 여남(汝南)이 지역에 비장방(費長房)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시장(市場)의 감독이었다. 비장방이 관리하던 시장에는 약을 파는 노인이 있었는데 그 노인의 가게 앞에는 늘 항아리 하나가 걸려져 있었다. 장사가 끝나면 노인은 언제나 그 항아리 ..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9.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유래(ft 고사성어)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은 한 명의 장수가 공(업적)을 이루면 만 명의 일반 백성의 뼈가 마른다는 의미로 일상 속 직장생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 명의 임원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그 밑의 많은 직원들을 독려하여 성공을 만들어야만 가능하니 말이다.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유래(ft 고사성어)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뜻과 한자 一 한 일 將 장수 장 功 공 공 成 이룰 성 萬 일 만 만 骨 뼈 골 枯 마를 고 한 장수의 공명(업적)은 수많은 병졸(부하직원)의 희생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일장공성만골고 一將功成萬骨枯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조송(曹松)의 시(詩)에서 대당(大唐)이라고 하여 그 찬란한 문화를 한창 피고있는 모란에 비유했던 당의 시대(唐代)도 마침내 하락의 길..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8. 고사성어 배우기: 肝膽相照 (간담상조) - 한유 간이고 쓸개고 다 빼준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간담상조 肝膽相照의 뜻은 간과 쓸개를 서로 보여준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속을 털어 놓고 격의없이 지낸다는 의미로 그 유래는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인 한유(韓愈)의 말에서 찾을 수 있다. 고사성어 간담상조 肝膽相照 뜻과 유래 간담상조 肝膽相照 뜻과 한자 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칠 조 간과 쓸개를 서로 보여줄 정도로 서로 친밀한 상태라는 뜻이다. 간담상조 肝膽相照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한유(韓愈)의 말 중당(中唐)의 문인 한유(韓愈)는 그 엄한 리얼리스트의 눈을 우정(友情)의 세계로도 돌렸던 것 같다. 맹교(孟郊)나 가도(賈島)와 같은 좋은 친구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그는 경박한 교제를 미워했기에 거짓 우정의 본질을 깊이 꿰뚫어보고 그 믿지 못.. 중국고전배우기 2023. 10. 8. 범증 范增 인물 소개 범증 范增 인물 소개 범증 范增 중국 항우(項羽)의 모신으로 진(秦)나라 사람이다. 기계 (奇計)를 잘 썼고 항우를 도와 제후의 패자가 되게 하였다. 항우에게 패공 (沛公; 高祖 유방)을 죽일것을 권하였으나 듣지 않고 오히려 범증을 의심하여 그 직권을 빼앗으므로 범증은 항우를 버리고 팽성 (彭城)으로 가서 죽었다. 이에 한(漢)의 고조는 항우가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에게 패한 것이라고 하였다. 인물 소개 2023. 10. 8. 항우項羽 B. C.232~202 항우項羽 B. C.232~202 항우項羽 B. C.232~202 중국 초(楚)나라 때의 무장. 이름은 적 (籍), 우는 자(字)이다. B. C.209 년 군사를 일으켜, 진(秦)나라를 쳐서 이기고, 진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하였다. 의제 (義帝)를 추대하여 왕으로 세우고, 서초패왕 (西楚覇王)이라고 자칭하였다. B. C. 206.202년 한(漢)나라와 싸워 처음에 우세하였는데, 도량과 재략이적고 인재가 부족하여 해하(核下)에서 유방(劉邦)에게 패하여, 오강(烏江)에서 자살하였다.. 인물 소개 2023. 10. 8.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