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고사성어 역린 逆鱗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역린(逆鱗)은 한비자에서 용의 턱밑에 거꾸로 붙은 비늘이 있는데 이를 역린이라고 부른다는 내용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이다. 용은 이 역린을 건드리면 몹시 싫어하는데 역린은 임금이나 대통령 등 상위자의 노여움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1. 고사성어 역린 逆鱗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1.1 역린 逆鱗 뜻과 한자 해석 逆 거스를 역 鱗 비늘 린(인) 역린은 거꾸로 난 비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대통령 등 상위자의 노여움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1.2 역린 逆鱗 유래와 출처 1.2.1 역린 逆鱗 출처 『한비자 韓非子』 세난편 說難篇 1.2.2 역린 逆鱗 유래 용(龍)은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상상(想像) 속 동물로 봉(鳳)·인(麟)·귀(龜)와 함께 사령(四靈)으로 비늘이 있..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여도지죄, 여도죄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해석, 사용 예시) 여도지죄 余桃之罪(餘桃之罪)는 먹다 남은 복숭아가 죄가 된다는 뜻으로 이 고사성어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비자에 나오는 미자하(彌子瑕)와 관련된 유래를 알아야만 이해가 가능하다. 1. 고사성어 여도지죄 余桃之罪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해석, 사용 예시) 1.1 여도지죄 余桃之罪 뜻과 한자 해석 한자: 餘 남을 여 桃 복숭아 도 之 갈 지 罪 허물 죄 뜻과 해석: 먹다가 남은 복숭아를 먹인 죄라는 뜻으로 과거에 총애를 받던 행동이 도리어 미움(죄)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는 의미이다. 참고: 여죄는 말 그대로 남은 죄라는 뜻으로 여도지죄와 상관이 없다 1.2 여도지죄 余桃之罪 유래와 출처 1.2.1 여도지죄 余桃之罪 출처 출처.출전: 한비자세난편 韓非子說難篇 1.2.2 여도지죄 余桃之罪 유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해석, 예시) 고사성어 양약고구(良藥苦口)는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진심이런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공자가어와 한비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책사 장량이 한고조 유방에게 정신을 차리도록 한 말로 유명하다. 1. 고사성어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해석, 예시) 1.1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한자 해석 良 어질 량(양) 藥 약 약 苦 쓸 고 口 입 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이다. 1.2 양약고구 良藥苦口 유래 1.2.1 양약고구 良藥苦口 출처 공자가어(孔子家語)와 한비자 韓非子 1.2.2 양약고구 良藥苦口 유래 무관(武關)을 돌파하여 진(秦)의 근거지인 중원(中原)에 제일 먼저 들어간 유방(劉邦)은 패상(覇上)에서 진(秦)의 자영(子嬰)이 바친 제왕..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는 유능한 장사꾼은 좋은 상품을 깊숙히 감춘다는 뜻으로 춘추시대 학자나 수양에 마음을 쓰는 사람의 처신을 말하는 말로 '현자(賢者)는 그 재능을 숨기고 나타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1. 고사성어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1.1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한자 해석 良 어질 양, 賈 장사 고, 深 깊을 심, 藏 감출 장, 若 같을 약, 虛 빌 허 장사를 잘하는 사람은 물품을 깊숙이 감춘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이 자신의 학식과 덕을 감추는 것을 의미한다. 1.2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유래와 출처 1.2.1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노자 老子』·『한비자열전 韓非子列傳』 1.2.2 양고심..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사용 예시) 어부지리(漁夫之利)는 한자 그대로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둘이 다투는 틈에 다른 사람이 이익을 얻는 상황에 사용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전국책에 나오는 조나라 연나라 제나라 3국의 치열한 전쟁 속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1. 고사성어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사용 예시) 1.1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한자 해석 漁 고기 잡을 어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利 이로울 리(이)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보통 둘이 싸울 때 제3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의미한다 1.2 어부지리 漁夫之利 유래와 출처 1.2.1 어부지리 漁夫之利 출처.출전 전국책 『戰國策』 1.2.2 어부지리 漁夫之利 유래 전국시대의 연(燕)은 중국의 북동부에 위치하여 서(西)쪽으로는 조(趙)에 남(南)쪽으로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6. 사자성어 양상군자(梁上君子) 뜻과 유래(ft. 출처, 예시, 한자 해석) 양상군자(梁上君子)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이나 진식(陳寔)과 도둑과 관련된 유래에서 자기 집안 내 도둑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그 의미로 변형되었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뜻(한자해석)과 유래 그리고 예시 양상군자(梁上君子) 뜻과 한자 해석 梁 들보 량(양) 上 윗 상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으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을 미화해서 부른 고사성어다. 양상군자(梁上君子) 유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진식전 陳寔傳 후한말(後漢末) 진식(陳寔)이란 사람이 태구현(太丘縣)의 장(長)이 되어 있었는데 그는 거만하지도 않고 남의 괴로움을 잘 알아주고 일을 하는데 공정했으므로 지역이 잘 다스려지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해 농사가 흉작이 되어 백성들이 괴로움을 겪고 있을 때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6.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그리고 한자 해석 앙급지어 殃及池魚는 재앙은 뜻하지 않은 곳에 미친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보주(寶珠)를 찾으려고 연못 속 물을 모두 퍼내 그 연못 속 물로기가 모두 죽었다는 여씨춘추 속 사마환(司馬桓)의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그리고 한자 해석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殃 재앙 앙 及 미칠 급 池 못 지 魚 물고기 어 재앙은 연못 속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이다. 앙급지어 殃及池魚 유래 출처.출전: 『여씨춘추 呂氏春秋』 필기편 必己篇 춘추시대 송나라에 사마환(司馬桓)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주 훌륭한 보주(寶珠)를 가지고 있었는데 때마침 죄(罪)를 지어 걸리게 되자 재빨리 그 보주를 가지고 도망쳐 버렸다. 그런데 이 보주를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들은 왕은 어떻게든 보주(寶珠)..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5. 압권 壓卷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압권(壓卷)이란 서책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한 권 중에서 여기다 하고 감탄하는 시문(詩文)을 말한다. 이것이 전용(轉用)되어 수많이 있는 것 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뛰어난 것이 압권(壓卷)의 뜻이다. 압권 壓卷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압권 壓卷 뜻과 한자 壓 누를 압 卷 책 권 위의 책이 아래에 놓인 책을 누른다는 뜻으로 수 많은 것 중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압권 壓卷 유래 출전.출처: 미상未詳 옛날 과거(科擧) 성적을 채점해서 이름을 발표할 때 최우등으로 급제한 사람의 답안(卷)은 최후로 끄집어 내어 다른 답안 위에 올려 놓는 습관이 있었다. 즉 이 가장 우수한 답안(卷)이 다른 모든 답안(卷)을 누르는 압(壓)하는 모양이 된다. 이것이 압권(壓卷)이란 말이 생겨난 유래다. 우리가 매일 매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5. 조지 오웰 1984, 전체주의 가면 벗기기(ft 내용 요약, 명언, 주제, 상징) 조지 오웰의 '1984'는 감시와 통제, 진실의 본질에 대한 깊은 고찰을 주는 문학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긴 디스토피아적 걸작으로 전체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개인주의는 억압되고 역사가 빅 브라더에 의해 새로 쓰여지고 빅 브라더가 모든 것을 감시하는 세상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이번 문학 리뷰에서는 '1984' 소설의 요약, 등장인물, 주목할 만한 인용구, 주제와 상징적 요소 등 '1984'의 핵심 요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지 오웰 1984, 전체주의 가면 벗기기(ft 내용 요약, 명언, 주제, 상징) 조지 오웰의 1984 내용 요약 조지 오웰의 '1984' 요약 초강대국 오세아니아의 한 지방인 에어스트립 원(Airstrip One, 구 영국)을 배경으로 하는 '1984'는 유통되는 모든 정보와.. 문학 2023. 8. 25. 암중모색 暗中摸索 뜻, 유래, 출처 그리고 사용 예시 암중모색(暗中摸索)은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물건을 찾는다는 뜻으로 찾는데 아주 고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암중모색은 어둠 속에서 더듬어 어림으로 찾아 낼 수가 있다는 반대 의미로 쓰이며 수당가화 속 이야기가 그 유래이다. 암중모색(暗中摸索)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암중모색(暗中摸索) 뜻과 한자 해석 暗 어두울 암 中 가운데 중 摸 본뜰(찾다) 모 索 찾을 색 어둠 속에서 손을 더듬어 찾는다는 뜻 대충(어림짐작)으로 사물이나 무언가를 알아내는 것 지금은 당장 해결책은 없지만 막연한 상태에서 돌파구를 찾는 것 암중모색(暗中摸索) 유래와 출처 암중모색(暗中摸索)의 출처는 『수당가화 隋唐佳話』라는 책에 나와 있는 이야기다. 당(唐)나라의 허경종(許敬宗)이란 학자는 성질이 경홀(輕忽)하여 즉 경망해서 남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4.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