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존 폰 노이만' 명언과 어록 TOP 10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면 수 많은 천재가 나온다. 존 폰 노이만, 페르미, 파인만, 아인슈타인 등. 그 중 존 폰 노이만을 천재 중의 천재라고 부르는데 그의 유명한 어록과 명언을 살펴보겠습니다. 존 폰 노이만 명언과 어록 TOP 10 당신은 기계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기계가 할 수 없는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말해주면 언제든 그 일을 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You insist that there is something a machine cannot do. If you will tell me precisely what it is that a machine cannot do, then I can always make a machine which will do just tha..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8. 23.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뜻과 유래 이 세상 많은 일은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좀처럼 세상에 안 알려짐)하고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나쁜 일은 천리를 달린다)한다. '호사불출문'하다고 너무 상심하지 말고 '악사주천리'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하자.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뜻과 유래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뜻과 한자 해석 惡 악할 악 事 일 사 走 달릴 주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이) 나쁜 일은 천리를 달린다는 뜻으로 나쁜 일은 빠르게 넑리 알려진다는 의미다.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유래 출전.출처: 중국 속담 20세 전후의 아주 아름다운 식모였던 반금련(潘今蓮)은 돈 많은 집 주인이 유혹을 했으나 이에 응하지 않았기에 모두가 기피하는 추남인 무배랑이란 자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다. 무배랑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그녀는 마침 시중을 들었..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3. 안서(雁書) 안신(雁信) 안찰(雁札) 안백(雁帛) 뜻과 유래 안서(雁書)는 먼 곳에서 기러기가 전해주는 반가운 편지란 뜻으로 안찰(雁札) 안신(雁信) 안백(雁帛)이라고도 한다. 이 단어는 한나라 시절 유명한 소무(蘇武)란 충신의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안서(雁書) 안신(雁信) 뜻과 유래 안서(雁書) 안신(雁信) 뜻과 한자 雁 기러기 안 書 글 서 계절따라 이동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消息)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를 의미한다 안서(雁書) 안신(雁信) 유래 출처.출전: 『한서 漢書』 소무전 蘇武傳·『십팔사략 十八史略』 끝없는 하늘 아래 눈길이 닿는한 끝없이 계속되는 바다와 같은 호수와 그 호수 주위 대밀림(大密林) 어디에도 인기척이라고는 없었다. 그러나 지금 그 어떤 오두막에서 그 호숫가로 나온 사나이가 있었다. 손에는 활과 살, 머리에는 모피를 뒤집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3. 가니쉬(garnish)의 뜻과 어원 그리고 역사 가니쉬란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단순한 장식으로 시작된 가니쉬는 요리의 시각적 매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요리의 풍미와 전반적인 식사 경험에 기여하는 예술적 형태로 발전했는데 오늘은 가니쉬의 뜻과 유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니쉬'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요리의 시각적 매력, 풍미 및 전반적인 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요소로 요리를 장식하거나 장식하는 관행을 지칭하는 요리 문맥에서 사용되었습니다. 가니쉬(garnish)의 뜻과 어원 그리고 역사 가니쉬의 뜻과 어원 "가니쉬 garnish"라는 용어는 "갖추다" 또는 "제공하다"라는 뜻의 고대 프랑스어 "가르니르 garnir"에서 유래했는데 이 garnir는 "제공하다, 비치하다, 준비하다"와 유사한 뜻을 가진 라틴어 "가르니르 ga.. 상식 2023. 8. 22. 카르텔 뜻과 어원.유래 그리고 세계적 악명 높은 카르텔들 요즈음 자주 뉴스에서 접하는 단어가 '카르텔'입니다. 정부에 의해 많은 단체들이 카르텔로 낙인 찍히고 있는데 오늘은 카르텔 뜻과 카르텔의 어원.유래가 무엇인지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악명을 떨진 카르텔 사례들을 알아 보겠습니다. 카르텔 뜻과 어원.유래 그리고 세계적 악명 높은 카르텔 사례들 카르텔 뜻과 어원.유래 '카르텔'이라는 단어는 플래카드나 포스터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카르텔로 cartello'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단어는 원래 서면 계약이나 계약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단어는 경제 및 비즈니스의 맥락에서 현재의 의미를 포괄하도록 진화했습니다. 현대 비즈니스 맥락에서 카르텔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생산 수준, 시장 점유율을 통제하고 조작하기 위해 협력하는 조직 또.. 상식 2023. 8. 22. 탕후루 만드는 방법, 칼로리 계산 방법, 즐기는 방법 탕후루 또는 빙탕후루(冰糖葫蘆 Bingtanghulu)는 중국의 중국 전통 간식으로 주로 산사나무 열매와 같은 과일을 꼬치에 꽂아 설탕 시럽에 담가 굳힌 간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탕후루 만드는 방법, 칼로리 계산 방법, 즐기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탕후루 만드는 방법, 칼로리 계산 방법, 즐기는 방법 탕후루 만드는 방법 탕후루는 산사나무 열매를 꼬치에 꽂아 달콤하고 바삭한 설탕 글레이즈로 코팅하여 만드는 중국식 대표 간식입니다. 집에서 빙탕후루를 만드는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는데 단계별 탕후루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탕후루 재료준비 신선한 산사나무 열매(또는 딸기나 포도와 같은 다른 과일) 흰 설탕 물 꼬치(대나무 꼬치가 잘 맞습니다) 탕후루 만드는 방법 STEP1: 꼬치를 준비합니다 대나.. 상식 2023. 8. 22. 식지동 食指動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둘째손가락을 표현하는 단어로는 검지, 집게, 식지(食指)가 있다. 이중 식지(食指)는 밥 먹을때만 필요해서 식지라고 불리는데 식지동 食指動은 무엇이 먹고 싶을 때마다 집게손가락이 저절로 움직인다는 의미로 식욕/성욕/욕심등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식지동 食指動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식지동 食指動 뜻과 한자 食 밥 식 指 가리킬 지 動 움직일 동 식지는 둘째(집게, 검지) 손가각을 의미한다: 밥먹을 때만 필요해서 식지라고 함 그래서 식지동은 집게손가락이 움직인다는 뜻으로 식욕/성욕/욕심이 생기는 것을 뜻한다 식지동 食指動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좌전 左傳』 관련 인물: 자가(子家, 이름은 歸生), 자공(子公), 정영공(鄭靈公) 주(周)의 정왕(定王) 2년(B.C 605) 즉 노선공(魯宣公) 4년이고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ft 공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술이부작 述而不作은 단지 이미 있던 것을 (찾아) 서술해서 전달할 뿐 없던것을 창작하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겸손이 들어간 표현입니다.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술이부작 述而不作 출처 출처.출저 『논어 論語』 술이편 述而篇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한자 述 펼 술 而 말 이을 이 不 아닐 부 作 지을 작 성인(聖人)의 말을 단지 술(述)할뿐(전할뿐) 자기의 설(說)을 (새롭게) 지어내지 않는다는 뜻 술이부작 述而不作 유래 『성서(聖書)』의 「요한 복음서에는 -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있었다」라는 것이 있는데 씨족제 봉건 사회의 사람이었던 공자도 태초에 길이 있고 길은 하늘과 함께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자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3개의 고사성어는 모두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다. 입과 입술 또는 수레바퀴와 나무처럼 서로 긴밀한 관계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뜻한다.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뜻과 유래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뜻과 한자 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이다 脣 입술 순 齒 이 치 輔 도울 보 車 수레 차 입술과 이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따로 떨어져 협력하지 않으면 일이 달성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輔 도울 보 車 수레 차 相 서로 상 依 의지할 의 수레의 덧방나무(輔)와 바퀴(車)는 서로 의지한다는 뜻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수청무대어 수지청즉무어 뜻과 유래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수 없다는 말을 알고 있을 것이다.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모두 바로 그 뜻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서역을 평정한 반초에게서 찾을 수 있으며 원칙주의자나 융통성이 없는 경우 사용된다.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뜻과 유래 수청무대어 출처와 관련 인물 출처: 『후한서 後漢書』 반초전 班超傳 관련 인물: 반초(班超)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뜻과 한자 水 물 수 淸 맑을 청 無 없을 무 大 클 대 魚 물고기 어 물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살수 없다는 뜻이다.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유래 후한초(後漢初)의 일이다. 반초(班超)의 아버지인 반표(班彪)는 사가(史家)로서 유명했고 그 형인 반고(班固)는「한서(漢書)」의 저술로 유명했으며 또 그의 누이동생인 반소(..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1.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