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고사성어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과 유래 배우기 고(膏)는 심장 밑 엷은 뼈, 황(肓)은 바로 그 밑 횡격막으로 이 사이로 병이 들어간다는 것은 병이 손을 쓸 수 없는 곳으로 들어간다는 것으로 병이 깊고 무거워져 회복할 가망성 없는 상태나 또는 나쁜 버릇.습관 등이 손 쓸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 病 병 병 入 들 입 膏 기름 고 肓 명치끝 황 병이 고황의 끝가지 도망갔다는 뜻으로 병을 치료 할 수 없는 위중한 상태를 의미한다. 나쁜 버릇 습관 등이 손을 쓸 수 없을 정도가 된 상태 병입고황 病入膏肓 유래 이야기는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춘추시대의 다섯 강국(오패)중에서도 당시 진(晋)은 첫째 가는 강국이었다. 그 진(晋)나라의 경공(景公)이 어느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과 유래 배우기 병사지야는 죽음을 각오하고 전쟁에 임해야 한다는 뜻으로 조 나라 명장인 조사(趙奢)가 그 아들 조괄(趙括)의 병법에 대한 이론만을 자랑하는 점을 꾸짓기 위해 한 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염상.인상여전 廉頰·藺相如傳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 兵 병사 병 死 죽을 사 地 땅 지 也 잇기 야 병사는 땅에서 죽는다는 뜻으로 전쟁을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한다는 속 뜻를 가지고 있다. 병사지야 兵死地也 유래 「병(兵)은 사지(死地)다」라는 말은 「싸움이란 목숨을 걸고 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이것은 「문경지교(刎頸之交)」로 유명한 염파(廉頗)·인상여(藺相如)와 나란히 조(趙)에서 명장(名將)으로 이름 높았던 조사(趙奢)가 한 말로서 남아있다. 조사(趙奢)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법삼장 法三章 뜻과 유래 배우기 진시황의 진나라는 가혹한 법가사항을 기반으로 나라를 운영했습니다. 진나라를 멸망시킨 유방인 가혹한 법가 사상을 없애며 법률을 딱 3개만 남겨 민심을 얻었는데 그 3개의 법률을 법삼장이라고 부릅니다. 법삼장 法三章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고조본기 유후세가 高祖本記·留侯世家 법삼장 法三章 뜻 法 법 법 三 석 삼 章 글 장 중국 한 나라 고조인 유방이 진(秦)나라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 만을 정한 법을 뜻함 법삼장 法三章 유래 한(漢)의 원년(B.C 206) 10월 유방(劉邦)은 진군(秦軍)을 격파하고 패상(覇上)에 도달했다. 진왕(秦王) 자영(子學)은 스스로 나와 항복했으며 진(秦)의 마침내 멸망했고 유방은 함양(咸陽)으로 입성해 마침내 숙원(宿願)을 달성한 것이다. 유방은 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백안시 白眼視 뜻과 유래 배우기 백안시는 흰자위 눈으로 옮겨 본다는 뜻으로 바꿔 말해서 남을 차갑게 취급하고 냉대한다는 숨은 뜻을 가지고 있다. 백안시는 완적이라는 사람의 이야기 속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백안시 白眼視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진진 晋秦』 완적 阮籍傳 백안시 白眼視 뜻 白 흰 백 眼 눈 안 視 볼 시 흰 눈으로 본다는 뜻으로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을 의미한다 백안시 白眼視 유래 완적(阮籍)이란 사나이가 있었다. 가만이 있어도 보옥(寶玉)은 눈에 띈는 법, 완적 역시 사람들 틈에 섞여 있으면 눈에 띄는 얼굴이다. 완적은 자기 혼자 높은 산에 올라가 만족하고 있는 것 같은 점이 있었고 제 생각대로 행동해서 남의 눈치를 살피는 일이 없었다. 그러면서도 기쁜지 슬픈지 언제나 안색은 변하지 않는다. 책을 읽기 시작..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백아절현 伯牙絶絃 뜻과 유래 배우기 백아절현 伯牙絶絃의 백아는 춘추시대 거문고 명인의 이름이다. 그래서 백아절현은 백아가 거문고를 끊어버린다는 뜻이 되는데 그 숨은 의미는 자기를 알아주는 유일한 친구 종가기의 죽음을 슬퍼함을 뜻한다. 백아절현 伯牙絶絃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백아 伯牙와 종자기 鍾子期의 이야기에서 백아절현 伯牙絶絃 뜻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絕 끊을 절 絃 줄 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 즉 지기지우(知己之友)의 죽음을 슬퍼함을 의미함 知 알 지 音 소리 음 거문고 소리를 안다는 뜻으로 자기의 속마음까지 알아주는 친구를 의미함 백아절현 伯牙絶絃 유래 춘추시대 백아(伯牙)라는 거문고의 명수가 있었고 그 친구인 종자기(種子期)는 듣는 명수였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서 높은 산들의 모습을 표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백미 白眉 뜻과 유래 배우기 백미 白眉는 한자의 글자 뜻만 가지고는 숨은 의미를 알기 어렵고 그 유래를 알아야만 이해가 되는 단어이다. 백미는 중국 삼국시대 마량 5형제 중 흰 눈썹이 있는 마량이 가장 훌륭하다고 말했던 점에 유래하여 현재는 가장 우수한 물건이나 사람을 말한다. 백미 白眉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삼국지 三國誌 (촉지 마량전 蜀志·馬良傳) . 백미 白眉 뜻 白 흰 백 眉 눈썹 미 흰 눈썹이란 뜻으로 마량의 5형제 중 흰눈썹을 갖고 태어난 마량의 재주가 가장 뛰어난 점에서 유래하여 가장 훌륭한 물건이나 사람을 뜻하게 됨 백미 白眉 유래 위(魏)·오(吳)·촉(蜀)의 삼국이 정립해서 패를 다투고 있던 소위 삼국시대에 촉나라에 마량(馬良) 자(字)를 계상(季常)이라고 하는 명참모가 있었다. 마량은 호북성 출신으로 유비가 촉한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네스프레소 커피의 브랜드: 혁신에서 글로벌 커피 문화로 프리미엄 커피와 정교한 커피 머신의 대명사인 네스프레소는 전 세계 가정과 사무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1986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네스프레소는 사람들이 커피를 즐기는 방식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며 특별한 커피 경험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네스프레소의 기원과 성장, 그리고 전 세계 커피 문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며 브랜드의 역사를 살펴보는 여정을 떠나보세요. 네스프레소 컨셉의 탄생(1986-1991) 네스프레소는 네슬레 그룹 내에서 고품질 에스프레소를 일관되게 제공할 수 있는 일회용 커피 시스템을 만들자는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습니다. 네슬레의 엔지니어였던 에릭 파브르는 수년간의 실험과 개선 끝에 네스프레소 시스템을 발명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컨셉은 특수 설계된 커피 캡슐과 정.. 상식 2023. 8. 5. 다이슨 에어랩의 철학적 함의: 아름다움과 기술의 본질에 대한 해명 다이슨 에어랩은 단순한 헤어 스타일링 도구가 아니라 아름다움과 기술의 심오한 관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합니다. 이 혁신의 철학적 함의를 통해 우리는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를 표면적인 외관을 넘어 내면의 자질을 표현하는 것으로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이슨 에어랩의 철학적 함의 다이슨 에어랩은 뷰티계를 강타한 혁신적인 헤어스타일링 도구입니다. 최첨단 기술로 구동되는 이 제품은 열로 인한 머리 손상 없이 멋진 컬, 웨이브, 매끄러운 마무리를 선사합니다. 그래서인지 가격은 고가이지만 한번 경험한 사람들은 모두 돈이 아깝지 않다는 피드백이 가장 많은 제품 중 하나입니다. 에어랩은 기능적 우수성 외에도 현대 기술의 맥락에서 철학과 아름다움의 교차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 철학 2023. 8. 5.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뜻과 유래 배우기 백문불여일견 (百聞而不如一見)는 너무나 유명한 고사성어라 뜻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나 그 유래는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백문불여일견는 한서 조충국전에 나오면 표현으로 조충국이라는 늙은 명장이 한선제에게 말을 했다고 한다.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조충국전 趙充國傳 백문불여일견 뜻과 의미 百 일백 백 聞 들을 문 不 아닐 부 如 같을 여 一 한 일 見 볼 견 (간적접으로) 백번 듣는 것보다 (직접) 한번 보는 것이 좋다는 뜻이다. 백문불여일견 유래 한선제(漢宣帝)의 신작(神爵) 원년(A.D 61) 서북에 사는 티벳계의 유목민인 강(羌)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보다 앞서 강(羌)의 선령(先零)이란 일 종족이 황수(湟水) 북쪽에서 유목할 것을 허락받고 있었다. 그들은..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고사성어 백년하청 百年河淸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백년하청에는 어려운 한자가 없습니다. 중국 황화강은 강 이름이 말하는데로 탁하죠. 그런 황하의 강은 100년이 지나도 맑게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말할 때 비유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 유래는 좌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백년하청 百年河淸 뜻과 유래 출전 出典』『좌전 左傳』 양공8년조 襄公八年條 백년하청 百年河淸 뜻 百 일백 백 年 해 년(연) 河 물 하 淸 맑을 청 백년을 기다려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가망 없는 일이나 상황을 의미한다 백년하청 百年河淸 유래 BC 560년경 정(鄭)나라는 북으로부터는 진(晋)에게 남에서는 초(楚)에게 교대로 공격을 당해 오른 쪽 뺨을 맞아 왼쪽 뺨을 돌리면 또 왼쪽 뺨을 맞는다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빈민에게는 빈민대로의 살아가는 방법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