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5 '사인선사마 射人先射馬'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인선사마 射人先射馬는 그 사람을 쏘아 떨어뜨리자면 먼저 그가 타고 있는 말(馬)을 쏘라는 뜻이다. 그러면 말(馬)은 놀라서 뛰어올라 주인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말이 움직이지 못하거나 해서 간단히 그 사람을 잡을 수가 있다라는 뜻이다. 사인선사마 射人先射馬 뜻과 유래 사인선사마 출처 두보(杜甫)의 시 『전출세기육 前出塞其六』 사인선사마 射人先射馬 뜻과 한자 射 쏠 사 人 사람 인 先 먼저 선 馬 말 마 사람을 쓰러뜨리려면 먼저 말을 공격하라는 뜻으로 그 사람이 의지하고 있는 것을 먼저 공격하라는 의미다. 사인선사마 射人先射馬 유래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면 그것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을 우선 손에 넣으라. 그러면 길은 열린다라는 것을 말한 성어(成語)다. 두보(杜甫)의 시에 이런 것이 있다. 활을 쏠려면 강한..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이비자는 겉은 닮았지만(似 닮을 사) 실제로는 가짜라는 뜻으로 우리가 실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사이비와 같은 뜻이다. 그 유래는 공자와 맹자에서 찾을 수 있다.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이비자 似而非者 출처 『맹자 孟子』 진심편 盡心篇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한자 似 닮을 사 而 말 이을 이 非 아닐 비 者 놈 자 사이비자는 겉으로는 닯은듯 보이나 실제로는 아닌 가짜란 뜻이다. 사이비자 似而非者 유래 맹자의 제자 만장(萬章)이 스승에게 물었다. 「공자가 진(陳)으로 가셨을 때 『어찌 돌아가지 않는가, 우리 당(黨)의 사(士)는 광간(狂簡)으로써 진취(進取) 그 처음을 잊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는데 어째서 노(魯)의 광사(狂士) 같은 것을 생각하셨을까요?」 「공자는 『중도(中道)』..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면초가는 동서남북 사방이 적으로 둘려싸여 고립된 상태를 뜻한다. 그러나 그 단어에는 어디에도 적을 의미하는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 사면초가가 왜 적에게 포위된 도움받을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지를 알기위해서는 그 유래를 알아야한다.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면초가 출처 『사기 史記』 항우본기 項羽本紀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한자 四 넉 사 面 낯 면 楚 초나라 초 歌 노래 가 사면초가는 사면에서 들리는 초나라 노래란 뜻으로 사방이 적에게 포위된 고립된 상태를 의미한다 사면초가 四面楚歌 유래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는 한왕(漢王) 유방(劉邦)과 5년 동안에 걸쳐 천하의 패를 다투었으나「힘(力)」과「기(氣)」만을 믿은 나머지 범증(范增)과 같은 모장(謀將)에게까지 버림을 받고 점차..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은 얼음과 물은 성질이 달라 서로 같이 화합할 수 없다는 뜻으로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빙탄불상용이다처럼 심심찮게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고사성어이다.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예시 빙탄불상용 출처 사기 『史記』 골계전 滑稽傳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한자 氷 얼음 빙 炭 숯 탄 不 아닐 부 相 서로 상 容 얼굴 용 빙탄불상용은 얼음과 불은 성질이 달라서 같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소인과 군자 등 서로 성질이 다른 것은 같이 화합이 불가능 함을 의미하는데 사용됨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유래 한무제(漢武帝)때 유별나게 남다른 명신으로서 동방삭(東方朔)이란 사나이가 있었다. 대단한 박식가(博識家)로 무엇을 물어도 모르는 것이 없어 한무제의 심심치 않은 좋은 말상대였으며 어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네스프레소 커피에 대해 몰랐던 사실들 네스프레소는 세련된 커피 머신과 다양한 커피 캡슐로 전 세계 커피 애호가들에게 친숙한 브랜드가 되었지만 네스프레소에는 브랜드의 역사와 품질에 대한 헌신에 깊이를 더하는 흥미롭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네스프레소 커피에 대해 우리가 몰랐을 수도 있는 흥미로운 사실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네스프레소 커피에 대해 몰랐던 사실들 네스프레소의 기원 이야기 스위스 발명 네스프레소는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일회용 커피 캡슐이라는 개념은 원래 스위스에서 개발된 것이 아닙니다. 밀폐된 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최초의 아이디어는 1970년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고 이 특허를 획득하고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네스프레소를 만든 것은 스위스의 다국적 식품 기업인 네.. 상식 2023. 8. 12.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취임 연설 명언 전문과 정치 경제 배경 이해하기 기억할만한 대표 명언 중 하나인 '국가가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여러분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의 1933년 취임 연설 중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취임 연설이 있었던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배경과 연설 전문(영어.번역)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랭클린 D. 루즈벨트 1933년 취임 배경 1933년 프랭클린 D. 루즈벨트의 취임 연설이 이루어질 당시 미국의 심각한 경제 및 정치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다음은 당시의 경제 및 정치 상황에 대한 간략한 개요입니다 경제 상황 및 배경 대공황 미국은 1929년 주식 시장 폭락으로 시작된 대공황의 한가운데 있었으며 대공황으로 높은 .. 영어 2023. 8. 12. '비입화하충 飛入火夏蟲' 뜻, 유래, 한자 그리고 출처 비입화하충은 한여름 날아서 불에 뛰어드는 벌래라는 뜻으로 스스로 멸망을 초래하는 것을 비유한다. 그 유래는 양서의 도개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입화하충 飛入火夏蟲 뜻과 유래 비입화하충 출처 出處 양서 梁書 도개전 到漑傳 비입화하충 뜻과 한자 飛 : 날 비 入 : 들 입 火 : 불 화 夏 : 여름 하 蟲 : 벌레 충 비입화하충은 스스로 멸망의 길을 초래하는 것으로 재앙속으로 몸을 던져 가는 것을 뜻한다. 비입화하충 유래 양(梁)의 도개(到漑)는 자(字)를 무관(茂灌)이라하며 근직하고 총명한데다가 학문에 뛰어나 고조(高祖)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에게 경(鏡)이란 아들이 있었으나 일찍 죽어 손자인 신(藎)이 뒤를 이었는데 역시 총명해서 고조의 사랑을 받았다. 어느날 신(藎)이 고조를 수행 중 경구(京口)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 한자, 유래 그리고 활용 예문 비육지탄 脾肉之嘆은 허벅지에 붙은 살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삼국지에서 유비가 한나라 부흥으라는 뜻을 펼치고 싶었으나 그렇지 못한 방황의 시절 어느날 자신의 허벅지 살을 보고 탄식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 한자, 유래 그리고 활용 예문 비육지탄 출처 出處 『삼국지 三國志』의 촉지 蜀志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과 한자 髀 : 넓적다리 비, 肉 : 고기 육, 之 : 의 지, 嘆 : 탄식할 탄 허벅지 살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허송세월로 자신의 허벅지에 살찜에 대한 자기 반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 비육지탄 脾肉之嘆 유래 건안(建安) 원년(196) 조조(曹操)는 천도(遷都)한 허창(許昌)으로 헌제(獻帝)를 맞이하여 스스로 대장군이라 칭하고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그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 유래, 출처, 한자 그리고 예문 활용 비방지목의 비방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남을 비방하지 말라처럼 흔히 듣는 말로 남을 비방 또는 헐띁는 말을 적는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이 있을 시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에 쓰도록 한 이야기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 유래, 출처, 한자 그리고 예문 활용 비방지목 출처 出處 『요. 순 시대 전설 傳說』 또는 회남자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과 한자 誹 헐뜯을 비 謗 헐뜯을 방 之 갈 지 木 나무 목 헐뜯는 나무라는 뜻으로 백성들이 불만이나 불편사항이 있는 경우 나무에 자기의 불만을 적는것을 의미 비방지목 誹謗之木 유래 요(堯)·순(舜) 두 임금은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사념(思念) 속에서 태어난 이상적인 성천자(聖天子)다. 물론 그것은 유사(有史) 이래 아주..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붕정만리의 붕은 상상속 엄청나게 큰 새(Bird)로 이런 새가 만리나 날아갈 정의의 길이란 뜻이다. 즉 앞일이 매우 요원하거가나 또는 원대한 꿈을 비유적으로 말할때 사용된다. 그 유래는 장자의 소요유편에서 찾을 수 있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소요유편 逍遙遊篇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 鵬 붕새 붕 程 한도 정 萬 일 만 만 里 마을 리(이) 상상속 커다란 새인 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나 된다는 뜻으로 앞 일이 매우 여원하다는 의미 또는 원대한 꿈과 비전을 갖고 이를 실현해 나간다는 뜻이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유래 붕(鵬)이란 사전을 보면 상상상(想像上)의 엄청나게 큰 새 이름이라고 씌어 있다. 즉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공상 속 소산이다. 그 붕(鵬)에 관해 기록된 가장 대표적..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0.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