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인간만사 새옹지마 人間萬事塞翁之馬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라는 말을 자주 한다. 인생에 있어 좋은 일이 있으면 반대로 나쁜 일도 생긴다는 뜻이다. 항상 좋은 일만 생기면 좋겠지만 인생은 그렇게 흘로가지 않는다는 옛 선인들이 전달해주는 교훈으로 유래는 회남자에서 찾을 수 있다. 인간만사 새옹지마 人間萬事塞翁之馬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인간만사 새옹지마 人間萬事塞翁之馬 뜻과 한자 人 사람 인 間 사이 간 萬 일 만 만 事 일 사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갈 지 馬 말 마 인생에 있어 복과 불행은 일정하지 않다는 뜻이다. 인간만사 새옹지마 人間萬事塞翁之馬 유래와 출처 인간만사 새옹지마 출처 회남자 인간훈 淮南子 人間訓 인간만사 새옹지마 유래 오랜 전 옛날 중국 북방에 사는 이민족을 총칭해서 호(胡)라 하고 한(중국 한족..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2. 이심전심(以心傳心) 염화미소(拈華微笑) 뜻과 유래 이심전심(以心傳心)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장성어로 마음으로서 마음에 전달한다는 뜻으로 서로 말을 하지 않아도 잘 통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심전심은 불교 용어로 석가모니와 제자 가섭이 서로 말을 하지 않아도 잘 통한 상황(염화미소)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심전심(以心傳心) 염화미소(拈華微笑) 뜻과 유래 이심전심(以心傳心) 뜻 以 써 이 心 마음 심 傳 전할 전 한자를 그대로 해석하면 마음으로서 마음에 전한다 뜻으로 석가(釋迦)와 가섭(迦葉)이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의미이다. 보통 일상 생활에서는 마음과 마음이 통하고 서로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가 잘 전달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심전심(以心傳心) 출처 출처: 전등록 傳燈錄 이심전심(以心傳心) 유래 이심전심은 「마음으로서 마음에 전한..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1. 삼촌지설강어백만사 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삼촌지설강어백만사(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는 세치 혀는 군사 백만 명보다 강하다는 뜻으로 고사성어 낭중지추 囊中之錐와 모수자천과 관련있는 인물인 모수(毛遂)와 관련있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사기의 평원군전이다. 삼촌지설강어백만사 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삼촌지설강어백만사 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 뜻과 한자 三 : 석 삼 寸 : 마디 촌 之 : 어조사 지 舌 : 혀 설 彊 : 굳셀 강 於 : 어조사 어 百 : 일백 백 萬 : 일만 만 之 : 어조사 지 師 : 군사 사 세 치 혀가 백만 군사보다 강하다는 뜻으로 뛰어난 언변을 가리키는 말이다. 삼촌지설강어백만사 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 평원군전 平原君傳 때는 전국시대(戰國時代)로 서쪽에 위치한 웅국(雄..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1.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은 의심이 생기면 귀신이 생긴다는 뜻이다. 그게 무슨 말일까? 쉽게 생각하면 의심(선입견) 등이 사람의 마음속에 생기면 마치 귀신에 들린것처럼 정확하게 사태를 판단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출처는 열자의 설부편이다.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 뜻과 한자 疑 : 의심할 의 心 : 마음 심 生 : 날 생 暗 : 어두울 암 鬼 : 귀신 귀 의심이 생기면 귀신이 생긴다는 뜻으로 의심으로 인한 판단착오를 의미한다.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열자 列子』 설부편 說符篇 의심은 암귀(暗鬼)를 낳게 한다는 말은 선입견(先入見)은 종종 판단의 정확성을 흐리게한다고 고쳐 말해도 좋을 것이다. 그 한 사례로 열자(列子)는 「설부편(說符篇)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8. 응접불가 應接不暇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응접불가(應接不暇)는 응할(인사할) 틈이 없이 바쁘고 정신이 없다는 뜻으로 송나라 시절 풍아(風雅)한 취미와 글씨체로 유명한 왕자경이 산음(山陰)의 길의 변화무쌍한 산세를 평한 것에서 유래한다. 응접불가 應接不暇 뜻과 한자 應 응할 응 接 이을 접 不 아닐 부 暇 틈 가 인사할 틈도 없는 상황을 뜻하며 좋은 일 나쁜 일이 계속되어 생각할 틈이 없는 바쁜 상황을 의미한다 응접불가 應接不暇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세설신화 世說新話』 응접불가는 남북조의 송대(宋代) 시대에 엮어진 『세설신화(世說新話)』라는 문헌에 나오는 고사성어이다. 산음(山陰)의 길은 지금의 회계(會稽)에 위치한 지역으로 진(晋)나라 사람으로 중서령까지 되고 특히 풍아(風雅)한 취미와 글씨체로 유명한 왕자경(王子敬)이 산음(山陰)의 길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7. 은감불원 殷鑑不遠 뜻과 유래(ft. 한자와 출처) 은감불원 殷鑑不遠의 은(殷)은 중국 고대 국가인 하.은.주의 은 왕조를 말하는 것으로 은나라가 본받을(거울 감) 만한 것은 그리 멀리 있지 않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시경에서 찾을 수 있다. 은감불원 殷鑑不遠 뜻과 한자 殷 성할 은 鑑 거울 감 不 아닐 부 遠 멀 원 은(殷)나라 왕(王)이 거울삼을 만한 것은 먼 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본받을 만한 좋은 사례는 멀리 있지 않다는 의미 은감불원 殷鑑不遠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시경 詩經』 대아·탕 大雅·蕩 은왕조(殷王朝)를 반성할 자료로 삼을 거울(鑑)은 그리 멀리 있지는 않다. 바로 앞 시대(하 나라)에 있으니 그것을 생각하고 조심하라는 뜻이다. 올림픽의 기원이 된 올림피아 경기가 그리이스에서 열린(BC 776) 시대는 중국에서는 주왕조(周王朝)가 견융..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7. 노자 유무상생 有無相生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유무상생(有無相生)은 하나의 존재는 그것과 대립하는 존재를 인정함으로써 존재한다는 뜻으로 대표적인 노자의 인신론 표현 중 하나이다. 즉 . 유(有)는 무(無)가 있어 존재하고 어려움(難)은 쉬움(易)에 의해, 장(長)은 단(短)에 의해 존재한다는 것이 된다. 노자 유무상생 有無相生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노자 유무상생 有無相生 뜻과 한자 有 있을 유 無 없을 무 相 서로 상 生 날 생 유와 무는 단록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서로 교호하여 생긴다는 뜻이다. 노자 유무상생 有無相生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노자 제2장 「유무상생(有無相生)」은 노자(老子) 제2장에 있는 고사성어이며 「유(有)는 무(無)에서 생긴다」라는 같은 의미의 말이 제40장에도 보인다. 천하가 모두 미(美)의 미(美)다움을 알면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7. 도불습유 道不拾遺 뜻과 유래: 강력한 법치 도불습유 道不拾遺는 길 위에 떨어진 돈이나 물건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법이 매우 엄격하게 적용되어 법을 어기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 유래는 진(秦)의 법가 사상을 완성한 공손앙의 이야기가 나오는 공자세가에서 찾을 수 있다. 도불습유 道不拾遺 뜻과 유래: 강력한 법치 도불습유 道不拾遺 뜻과 한자 道 길 도 不 아닐 부 拾 주울 습 遺 남길 유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엄격하여 법을 어기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도불습유 道不拾遺 유래와 출처 출처: 『사기 史記』 공자세가 孔子世家 전국시대 때 진(秦)나에서는 효공(孝公)이 위(位)나라에 있었다. 공손앙(公孫鞅 - 제(齊)나라의 공족(公族)으로 이후 상앙으로 불리며 위(魏)나라에서는 쓰이지 못했다)은 위(位)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6.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유래 : 중매쟁이 월하노인 月下老人 또는 줄여 월하로(月下老), 월하빙인 月下氷人 또는 줄여 빙인(氷人) 모두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로 그 유래는 '진서차고전' 또는 중국 당(唐)나라 때, 이복언(李復言)이 편찬한 전기 소설 '속유괴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유래 : 중매쟁이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뜻과 한자 月 달 월 下 아래 하 老 늙을 로(노) 人 사람 인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을 뜻한다. 월하노인 月下老人 월하빙인 月下氷人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진서 차고전 晋書藝術傳 또는 속유괴록 당(唐)나라 때 위고(韋固)라는 청년이 있었는데 아직 싱글이라 몸도 가볍게 이곳 저곳으로 여행을 하다가 송성(宋城)이란 곳에 왔을 때의 일이다. 푸르게 흐르는 듯한 월광..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4. 월단 月旦 뜻과 유래, 조조를 평한 허소(許劭) 월단 月旦은 매달 초 하룻날이란 뜻으로 월단평(月旦評)의 줄임이다. 허소(許劭)란 인물이 자기 동내 사람들에 대해 인물을 골라서는 비평하면서 유명해졌고 조조도 허소로부터 난세에 알맞는 간웅(姦雄)이 될 인물이라는 평을 듣게 된다. 월단 月旦 뜻과 유래, 조조를 평한 허소(許劭) 월단 月旦 뜻과 한자 月 달 월 旦 아침 단 評 평할 평 매달 첫날의 평(評)」이라는 뜻으로 인물에 대한 비평(批評)을 이르는 말로 보통 월단으로 줄여서 말하기도 한다. 월단 月旦 출처와 유래 출처.출전: 십팔사략 十八史略 후한(後漢, 35~220)시대도 전한(前漢) 시대와 마친가지로 황후의 일족(외척)과 환관(宦官)세력에 골치를 앓고 있었다. 제10대인 환제(桓帝)때 그 환관들이 결속하여 기개와 절조가 있는 선비 백여명을 죽인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0. 이전 1 2 3 4 5 6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