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는 참새가 봉황의 뜻을 어찌 알겠는냐는 뜻으로 원어에서는 참새와 제비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와 같은 큰 새의 뜻을 알겠느냐는 고사성어로 진(秦)에 봉기한 진승(陳勝)이 한 말로 전해진다.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 뜻과 한자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安 편안 안 知 알 지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곡 之 갈 지 志 뜻 지 제비나 참새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뜻을 알겠느냐는 뜻으로 일반 사람들은 영웅의 큰 뜻을 알지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 진섭세가 陳涉世家 진승(陳勝)의 자(字)는 섭(涉)이며 하남성 양무현에 살던의 밑바닥 노동자였다. 그는 어느날 문득 동료들과 함께 밭을 갈던 중 괭이를 집..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0. 고사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연목구어(緣木求魚)는 실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고사성어로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방식으로 목적을 달성하려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 유래는 맹자와 선왕(宣王)의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고사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연목구어 緣木求魚 뜻과 한자 해석 緣 인연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물고기 어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목적이나 수단이 맞지않아 불가능 하다는 의미이다 연목구어 緣木求魚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맹자 孟子』 양혜왕편상 梁惠王篇上 주(周)나라 신정왕(愼愼王) 3년에 맹자가 양(梁)을 떠나 제(齊)나라로 갔을 때 그의 나이는 이미 50세가 지난 때였다. 동쪽의 제(齊)나라는 서쪽의 진(秦)나라·남쪽의 초(楚)나라..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9. 고사성어 연리지 連理枝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연리지 連理枝는 두개의 (나무) 가지를 연결한다는 뜻으로 현종황제와 양귀비, 강왕(康王)의 포학(暴虐)에 굴하지 않았던 한빙(韓憑)과 그의 아내 하씨처럼 부부나 남녀의 애뜻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말한다. 고사성어 연리지 連理枝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연리지 連理枝 뜻과 한자 해석 連 잇닿을 련(연) 理 다스릴 리(이) 枝 가지 지 두개의 나무가지가 서로 붙어 부부나 남녀의 애뜻한 사랑을 뜻한다 연리지 連理枝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채옹전 蔡邕傳 후한말의 문인 채옹(蔡邕)은 경전의 문자 통일을 피하고 비(碑)에 써서 태학문(太學門)밖에 세운 것으로 알려졌지만 효자(孝子)로서도 유명한 사람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병든 몸으로 만년에는 줄곧 병상에 누워 있었는데 채옹(蔡邕)은 병..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8. 고사성어 역린 逆鱗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역린(逆鱗)은 한비자에서 용의 턱밑에 거꾸로 붙은 비늘이 있는데 이를 역린이라고 부른다는 내용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이다. 용은 이 역린을 건드리면 몹시 싫어하는데 역린은 임금이나 대통령 등 상위자의 노여움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1. 고사성어 역린 逆鱗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1.1 역린 逆鱗 뜻과 한자 해석 逆 거스를 역 鱗 비늘 린(인) 역린은 거꾸로 난 비늘이란 뜻으로 임금이나 대통령 등 상위자의 노여움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1.2 역린 逆鱗 유래와 출처 1.2.1 역린 逆鱗 출처 『한비자 韓非子』 세난편 說難篇 1.2.2 역린 逆鱗 유래 용(龍)은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상상(想像) 속 동물로 봉(鳳)·인(麟)·귀(龜)와 함께 사령(四靈)으로 비늘이 있..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여도지죄, 여도죄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해석, 사용 예시) 여도지죄 余桃之罪(餘桃之罪)는 먹다 남은 복숭아가 죄가 된다는 뜻으로 이 고사성어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비자에 나오는 미자하(彌子瑕)와 관련된 유래를 알아야만 이해가 가능하다. 1. 고사성어 여도지죄 余桃之罪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해석, 사용 예시) 1.1 여도지죄 余桃之罪 뜻과 한자 해석 한자: 餘 남을 여 桃 복숭아 도 之 갈 지 罪 허물 죄 뜻과 해석: 먹다가 남은 복숭아를 먹인 죄라는 뜻으로 과거에 총애를 받던 행동이 도리어 미움(죄)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는 의미이다. 참고: 여죄는 말 그대로 남은 죄라는 뜻으로 여도지죄와 상관이 없다 1.2 여도지죄 余桃之罪 유래와 출처 1.2.1 여도지죄 余桃之罪 출처 출처.출전: 한비자세난편 韓非子說難篇 1.2.2 여도지죄 余桃之罪 유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해석, 예시) 고사성어 양약고구(良藥苦口)는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진심이런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공자가어와 한비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책사 장량이 한고조 유방에게 정신을 차리도록 한 말로 유명하다. 1. 고사성어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유래(ft. 출처, 한자 해석, 예시) 1.1 양약고구 良藥苦口 뜻과 한자 해석 良 어질 량(양) 藥 약 약 苦 쓸 고 口 입 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이다. 1.2 양약고구 良藥苦口 유래 1.2.1 양약고구 良藥苦口 출처 공자가어(孔子家語)와 한비자 韓非子 1.2.2 양약고구 良藥苦口 유래 무관(武關)을 돌파하여 진(秦)의 근거지인 중원(中原)에 제일 먼저 들어간 유방(劉邦)은 패상(覇上)에서 진(秦)의 자영(子嬰)이 바친 제왕..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는 유능한 장사꾼은 좋은 상품을 깊숙히 감춘다는 뜻으로 춘추시대 학자나 수양에 마음을 쓰는 사람의 처신을 말하는 말로 '현자(賢者)는 그 재능을 숨기고 나타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1. 고사성어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1.1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뜻과 한자 해석 良 어질 양, 賈 장사 고, 深 깊을 심, 藏 감출 장, 若 같을 약, 虛 빌 허 장사를 잘하는 사람은 물품을 깊숙이 감춘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이 자신의 학식과 덕을 감추는 것을 의미한다. 1.2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유래와 출처 1.2.1 양고심장약허 良賈深藏若虛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노자 老子』·『한비자열전 韓非子列傳』 1.2.2 양고심..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7. 고사성어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사용 예시) 어부지리(漁夫之利)는 한자 그대로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둘이 다투는 틈에 다른 사람이 이익을 얻는 상황에 사용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전국책에 나오는 조나라 연나라 제나라 3국의 치열한 전쟁 속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1. 고사성어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사용 예시) 1.1 어부지리 漁夫之利 뜻과 한자 해석 漁 고기 잡을 어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利 이로울 리(이)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보통 둘이 싸울 때 제3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의미한다 1.2 어부지리 漁夫之利 유래와 출처 1.2.1 어부지리 漁夫之利 출처.출전 전국책 『戰國策』 1.2.2 어부지리 漁夫之利 유래 전국시대의 연(燕)은 중국의 북동부에 위치하여 서(西)쪽으로는 조(趙)에 남(南)쪽으로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6. 사자성어 양상군자(梁上君子) 뜻과 유래(ft. 출처, 예시, 한자 해석) 양상군자(梁上君子)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이나 진식(陳寔)과 도둑과 관련된 유래에서 자기 집안 내 도둑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그 의미로 변형되었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뜻(한자해석)과 유래 그리고 예시 양상군자(梁上君子) 뜻과 한자 해석 梁 들보 량(양) 上 윗 상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대들보 위의 군자란 뜻으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을 미화해서 부른 고사성어다. 양상군자(梁上君子) 유래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진식전 陳寔傳 후한말(後漢末) 진식(陳寔)이란 사람이 태구현(太丘縣)의 장(長)이 되어 있었는데 그는 거만하지도 않고 남의 괴로움을 잘 알아주고 일을 하는데 공정했으므로 지역이 잘 다스려지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해 농사가 흉작이 되어 백성들이 괴로움을 겪고 있을 때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6.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그리고 한자 해석 앙급지어 殃及池魚는 재앙은 뜻하지 않은 곳에 미친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보주(寶珠)를 찾으려고 연못 속 물을 모두 퍼내 그 연못 속 물로기가 모두 죽었다는 여씨춘추 속 사마환(司馬桓)의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그리고 한자 해석 앙급지어 殃及池魚 뜻과 한자 해석 殃 재앙 앙 及 미칠 급 池 못 지 魚 물고기 어 재앙은 연못 속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이다. 앙급지어 殃及池魚 유래 출처.출전: 『여씨춘추 呂氏春秋』 필기편 必己篇 춘추시대 송나라에 사마환(司馬桓)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주 훌륭한 보주(寶珠)를 가지고 있었는데 때마침 죄(罪)를 지어 걸리게 되자 재빨리 그 보주를 가지고 도망쳐 버렸다. 그런데 이 보주를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들은 왕은 어떻게든 보주(寶珠)..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5.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