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와신상담(臥薪嘗膽) 뜻과 유래(ft. 출처, 출저, 한자)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은 복수심을 품고 언제나 그것을 생각하며 신고(辛苦)하는 것을 의미 하는데 바로 이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고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또 오와 월이 서로 극히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을「오월지간(吳越之間)」이라고 한다. 와신상담(臥薪嘗膽) 뜻과 유래(ft. 출처, 출저, 한자) 와신상담 臥薪嘗膽 뜻과 한자 한자: 臥 누울 와 薪 섶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뜻: 장작위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뜻한다. 와신상담 臥薪嘗膽 관련 등장인물 오왕 합려(吳王 闔閭) 월왕 구천(越王 句踐) 오왕 부차(吳王 夫差): 오왕 합려의 아들 범려(范蠡): 월왕 구천의 책사 서기: 중국 4대 미녀(양귀비, 초선, 왕소군, 서비) 중 한 명..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석혼효(玉石混淆)이란 고사성어는 옥(玉) 즉 경옥(硬玉)이나 연옥(軟玉)이 돌과 섞여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 훌륭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사람으로 치면 현우(賢愚)가 한데 섞여 뒤범벅이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유래는 포박자이다.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석혼효(玉石混淆) 뜻과 한자 玉 구슬 옥 石 돌 석 混 섞을 혼 淆 뒤섞일 효 진귀한 옥(玉)과 돌이 함께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선과 악 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함께 섞여 있음을 의미한다. 옥석혼효(玉石混淆)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포박자 抱朴子』 진晋의 갈홍저 葛洪著 내외편 內外篇 진(晋)의 갈홍(葛洪)이 지은 『포박자(抱朴子)』에 대략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데 그 속에 보이는「옥석혼효(玉石混淆)」란..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은 집 위에 또 다른 집을 세우는 것처럼 무 의미한 일을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오래 전 과거에는 집 위에 또 다른 집을 올리는 것이 어려웠겠지만 지금은 집 위에 집을 올리는 고층빌딩이 즐비하니 뜻도 변해야 할까?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뜻과 한자 屋 집 옥 上 윗 상 架 시렁 가 지붕 위에 다시 집을 세우는 것처럼 무의미한 일을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옥상가옥(屋上架屋) 옥하가옥(屋下架屋)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세설신어 世說新語』 후한(後漢)말의 난세로 소위 삼국시대에 촉(蜀)나라와 오(吳)나라를 멸망시킨 위(魏)나라는 천하를 통일하고자 국호를 진(晋 - 西晋)이라 고친 후..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유래 오합지중(烏合之衆) 또는 오합지졸(烏合之卒)은 마치 까마귀 떼와 같이 규율이나 통일성 없이 엉망진창인 군중이나 단체를 뜻한다. 고사성어 오합지중에 대한 유래는 『문선 文選』에서 한왕유연 등을 「신기(新起)의 구(寇) 오합지중」이라고 부른것에서 찾을 수 있다.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뜻과 한자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갈 지 卒 마칠 졸 衆 무리 중 까마귀 떼와 같이 엉망진창이고 훈련도 재대로 되지않은 집단을 의미한다.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졸(烏合之卒)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문선 文選』 진기총론 晋紀總論 전한 말(前漢 末) 시기 외척인 왕망(王莽)은 모든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평제(平帝)을 죽인 후 유자..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오하아몽(吳下阿蒙)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의 뜻은 오하아몽(오나라 때 여몽)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오랫동안 만나 보지 못한 동안에 놀랄만큼 큰 발전을 한 사람을 의미하여 반대로 「오하아몽」은 옛 그대로 조금도 발전이 없는 인물을 의미한다. 두 성어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몽(여몽)이 삼국시대 오나라 장군 이름이라는 유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오하아몽(吳下阿蒙)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뜻과 한자 吳 성씨 오 下 아래 하 阿 언덕 아 蒙 어두울 몽 여기서 아몽의 아는 여몽이란 오 라나 장군의 애칭이다.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삼국지 三國誌』 강표전 江表傳 위(魏)·오(吳)·촉한(蜀漢)이 정립(鼎立)해서 싸우고 있던 삼국시대..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3. 烏(오)자가 들어가는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 뜻과 유래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의 공통점은 까마귀 오(烏)자가 들어가는 고사성어로 각자 뜻과 유래가 모두 다르다. 烏(오)자가 들어가는 오유(烏有) 오유선생(烏有先生)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훼(烏喙)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오조지사정(烏鳥之私情) 오두백(烏頭白) 오토(烏兔) 뜻과 유래 오유 烏有 뜻과 한자 烏 까마귀 오 有 있을 유 어찌 있으랴. 사물(事物)이 아무 것도 없이 됨. 오유 烏有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사마상여 司馬相如 속 문장 까마귀 오(烏)자는 새 조(鳥)자에서 머리 쪽 한 획이 없는 글자로 까마귀는 조금 떨어져 보면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오(烏)」자가 붙는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월동주(吳越同舟)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적이지만 서로 협력한다는 뜻이지만 지금은 전투에 한하지 않고 사이가 좋지 않은 동지끼리 서로 도울 때 또는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그저 동석(同席)하고 있을 때도 쓰이며 그 유래는 손자병법이다.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한자 吳 성씨 오 越 넘을 월 同 한가지 동 舟 배 주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한 배를 타고 있다는 뜻으로 적이지만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오월동주 吳越同舟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손자병법 孫子兵法』 제10편 9지 「손자(孫子)」란 책이 있다. 중국의 유명한 병법서로 춘추 때 오국(吳國)에 있던 손무(孫武)가 쓴 것으로 되어있다. 손무는 오왕 합려(闔廬)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뜻과 유래(ft. 한자 해석, 출처)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는 오십도를 도망가는 것이나 백보를 도망가는 것이나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맹자와 양혜왕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지식도 아예 모르는 것과 대충 아는것은 오십보백보이니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뜻과 유래를 익혀보자.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뜻과 한자 五 다섯 오 十 열 십 步 걸음 보 百 일백 백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유래와 출처 출처.출저: 『맹자 孟子』 양혜왕편 梁惠王篇 맹자(孟子)는 기원전 371년에 출생했다는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기원 전 5~3세기 동안 계속된 전국시대의 극성기인 4세기 중엽에 살았던 인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난맥(亂脈)한 세상에서 인도주의적인 공자의 가르침을 펴고 인의의 도(仁義之道)를 말하며 다니던 맹자가 당시 사람들 ..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2.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리무중(五里霧中)에서 무(霧)가 안개를 뜻하는 사항을 이해하면 말 그대로 5리에 걸친 안개 속이란 뜻으로 일이나 상황을 알 수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유래는 후한서이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유래(ft. 한자, 출처) 오리무중 五里霧中 뜻과 한자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이)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안개가 5리에 걸쳐 있다는 뜻으로 일의 방향을 잡기 어려울 때 사용한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유래와 출처 출처.출저: 『후한서 後漢書』 장해전 張覇傳 환관(宦官)과 외척이 정치를 손아귀에 넣고 있던 후한(後漢) 화제(和帝) 때 장패(張覇)라는 성도 출신의 학자가 있었다. 화제(和帝)가 병으로 죽은 후 이어서 즉위한 100일도 안된 황제 상제.. 중국고전배우기 2023. 9. 1.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유래(ft. 한자해석, 출처)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는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자는 뜻으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용꼬리보다 뱀 대가리가 되자는 말과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그 유래는 사기에 나오는 소진(蘇秦)편에서 볼 수 있다.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유래(ft. 한자해석, 출처)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뜻과 한자 寧 편안할 녕(영) 爲 할 위 鷄 닭 계 口 입 구 勿 말 물 牛 소 우 後 뒤 후 영위계구물위우후 寧爲鷄口勿爲牛後 유래와 출처 출처: 『사기 史記』 소진전 蘇秦傳 주연왕(周燕王) 35년(B.C 334년)에 소진(蘇秦)이 연문후(燕文侯)를 설득 후 다음해에는 초위왕(楚威王)을 설득해서 소위 말하는 합종(合從)에 성공했다. 1년이란 기간동안 독특한 변설로 사자분신(獅子奮迅..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1.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