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플라톤: 이데아란 무엇인가 플라톤은 저작 티마이오스에 나오는 창조자 데미우르고스를 통해 이 세상의 본질이 무엇인지와 창조원리인 좋음(Goodness)의 실현인 이데아와 현실 세계의 비교를 통해 시인 추방론을 주장하며 예술의 본질에 대해 알려준다. 플라톤: 이데아란 무엇인가 온전함이란 무엇인가? 온전한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좋은데 그렇다면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 우리는 왜 철학 해야만 하는가? 다시 말해 철학은 우리의 온전한 삶에 어떤 호흡을 주는가? 더욱 근본적으로 물어서 온전함이란 과연 무엇인가?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온전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앎이 필요하다. 위 질문에 대한 대답을 플라톤 철학에서 구해 보고자 합니다. 화이트헤드는 서양 철학의 긴 역사, 즉 2천5백년 서양 철학의 역사는 결국 플라톤 철학의 변주에 불과 하.. 철학 2023. 7. 31.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용지용은 무용, 즉 쓸모없는 것의 용(쓰임)이란 뜻이다. 쓸모없는게 쓸모 있다는 것은 무슨의미일까? 장자는 많은 비유를 통해 무용의무인 무용지용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조금이라도 남보더 앞서고 튀고 싶은 지금 세태에 생각해볼 성어다.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인간세편 人間世篇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 無 없을 무 用 쓸 용 之 갈 지 「쓸모없는 것의 쓰임」이라는 뜻으로, 언뜻 보아 별 쓸모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임. 무용지용 無用之用 유래 유용(有用), 즉 소용이 된다는 것은 중요한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천박한 인간의 지혜로 요랑하는 유용(有用)이 진정한 유용일지는 의문이 든다. 또 하나 위의 「도(道)」의 입장에서 보면 범속(凡俗)한 인간들이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1. 고사성어 무양 無恙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양(無恙)하십니까? 라는 표현을 들은적이 있다. 이때 무양은 무양은 무탈(無頉)과 같은 뜻으로 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 유래는 천재적인 시인이자 정열적인 정치가였던 굴원의 만년의 비극을 노래에서 찾을 수 있다. 무양 無恙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흉노열전 匈奴列傳 『초사 楚辭』 무양 無恙 뜻 無 없을 무 恙 병 양 병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무양 無恙 유래 초(楚)나라의 문인(文人)이자 정치가인 송옥(宋玉)은 그 문재와 충의로써 유명한 굴원(屈原)의 수제자였으나 그 문제는 차치해 놓고 만사가 스승과는 달랐다. 용모도 국사(國士) 풍격이 있는 굴원의 엄한 데가 없고 두려움 없이 직간(直諫)하는 위험도 그리 좋아 하지 않았다. 같이 초(楚)에 사신(仕臣)해서 대부(大夫)까지 되었으나 윗사..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1. 고사성어 무산지몽 巫山之夢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산지몽는 남녀간의 밀회(Sex)를 뜻하는데 각 단어만을 가지고는 그 뜻을 유추하기 어렵고 춘추전국시대 초양왕이 무산에 사는 한 선녀가 꿈속에서 사랑을 나누었다는 그 유래를 알아아먄 뜻을 이해할 수 있다. 무산지몽 巫山之夢 뜻과 유래 출전 出典 『文選』 宋玉의 「高唐賦」 무산지몽 巫山之夢 뜻 巫 무당 무 山 메 산 之 갈 지 夢 꿈 몽 무산의 꿈이란 뜻으로 남녀가 성 행위를 하는 것 특히 미녀와 Sex를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무산지몽 巫山之夢 유래 전국시대인 초양왕(楚襄王) 때 양왕이 송옥(宋玉)과 함께 운몽(雲夢)에서 놀고 고당관(高唐館) 에 간 적이 있었다. 관(館) 위를 쳐다보니 이상한 구름이 끼고 그것이 뭉게뭉게 피어 오르는가 했더니 홀연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화한다. 양왕이 송옥(宋玉)에게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1. 목탁 木鐸 뜻과 유래 알아보기 목탁의 뜻과 유래는 공자가 한 나라(노)에 머물게 하지 않고 목탁(木鐸)으로써 나라들을 돌게 하며 사람들을 가르쳐 인도하고 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목탁 木鐸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논어 論語』 八佾篇=天將以夫子爲木鐸 목탁 木鐸 뜻 木 나무 목 鐸 방울 탁 세상 사람을 가르쳐 바로 이끌 만한 사람이나 기관 등을 가리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목탁 木鐸 유래 공자(孔子)가 노나라 관리를 그만 두고 자기의 이상을 실행해 줄 나라를 찾아 유세 길에 올랐을 때의 일이다. 위(衛)나라로 가자 국경(國境)에 있는 의(儀)라는 거리의 검문소 관리가, 높으신 분이 이리로 오시면 저는 언제나 만나뵙습니다만」 하고 공자와 만나기를 원했으므로 수행하던 제자가 서로 만나게 됬다. 한참 동안 공자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던 그..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1. 전기면도기 역사와 장단점 및 필립스 Series 5000 후기 전기 면도기의 역사는 20세기 초 기존 면도기의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다음은 전기 면도기의 역사와 피부 보호와 관련된 장단점에 대한 개요와 제가 선택한 전기면도기인 필립스 Series 5000에 대한 후기 입니다. 결론: 내가 선택한 전기면도기 필립스 Series 5000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날 면도기를 사용하다 귀찮음(특히 주말에) 때문에 전기면도기 사용을 적극 검토해보다 최종적으로 필립스 Series 5000 전기면도기를 선택 후 사용해 왔는데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필립스 Series 5000 전기면도기의 가장 큰 장점은 아래 장점에도 나오는 항목인 습식 및 건식 면도가 모두 가능해서 원하는 상황에 맞게 면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는 편리한 점.. 상식 2023. 7. 30. 고사성어 "모순 矛盾" 뜻과 유래 알아보고 창과 방패란 각 글자가 합쳐진 모순은 말이나 행동이 서로 맞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창은 방패를 뚫어야 좋은 창이고 방패는 창을 막아야 좋은 방패가 되는 상황을 묘사한 것으로 그 유래는 한비(韓非)가 쓴 『한비자라는 책에 있다. 모순 矛盾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비자 韓非子 모순 矛盾 뜻 矛 창 모 盾 방패 순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서로 맞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모순 矛盾 유래 때는 전국시대로 주왕실(周王室)의 위령(威令)이 아주 바닥에 떨어져 군웅이 천하에 난립하여 서로 패를 다투면서 이곳 저곳에서 싸움이 펼처져 땅이나 성을 빼앗거나 빼앗기거나 하며 피비린내 나는 바람이 중국 전토를 뒤덮고 있었다. 그런 시대이므로 병기의 소모도 심하여 좋은 무기는 날개가 돋친듯 팔렸다. 그 무렵 어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0. 고사성어 명철보신 明哲保身 뜻과 유래 배우기 명철보신은 사리에 통달하여 몸을 온전히 지킨다는 뜻으로 시경에 중산보의 덕을 찬양한 기명차철(旣明且哲) 이보기신(以保其身)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 말이 서경의 「명철(明哲)」이란 용어의 유래라고 할 수 있다. 명철보신 明哲保身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서경 書經 열명편 說命篇 명철보신 明哲保身 뜻 明 밝을 명 哲 밝을 철 保 지킬 보 身 몸 신 총명하여 도리를 좇아 사물을 처리하고, 몸을 온전히 보전한다는 뜻(출처: 네이버 한자사전) 명철보신 明哲保身 유래 고래(古來)로 널리 사리(事理)에 통하고 깊이 사물에 통달한 영지(英智)의 사람을 찬양하고 또 그 덕이 높은 영지에 의해 출소진퇴(出所進退)를 그릇치지 않고 처신한 현인(賢人)을 칭송해서 명철보신(明哲保身)이란 말이 자주 쓰여져왔다. 예를들어 멀리『서경..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0. 고사성어 명경지수 明鏡止水 뜻과 유래 배우기 고사성어 명경지수는 글자 그대로 밝은 거울과 정지한 물로 그와같이 마음의 상태가 깨끗하고 흔들리지 않는 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관련 유래는 장자 덕충부편 및 응제왕편 등에 소개되고 있다. 명경지수 明鏡止水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덕충부편 德充符篇 명경지수 明鏡止水 뜻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과 같이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가리키는 말. 명경지수 明鏡止水 유래 맑게 때 하나 끼지 않은 거울과 조용히 멈춰 움직이지 않는 물을 맑고 동요 없는 심경에 비유하는데 쓰는 말로 선가(禪家)의 상투어이기도하나 중국 고전에서는 『장자(莊子)』에서 그 뜻을 시사(示唆)하는 듯한 이야기가 두 셋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것을 소개하겠다. 하나는「덕충부편(..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0. 고사성어 맥수지탄 麥秀之嘆 뜻과 유래 알아보기 맥수지탄은 보리가 무성히 자라는 모습을 보고 한탄을 한다는 뜻으로 나라의 망함을 한탄한다는 의미로 은 나라 멸망 이후 기자가 옛 성터(황궁)을 지나면서 넘쳐 흐르는 눈물을 감추고 감상의 정을 일편의 시로 표현한 것에서 유래한다. 맥수지탄 麥秀之嘆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采微子世家 맥수지탄 麥秀之嘆 뜻 麥 보리 맥 秀 빼어날 수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망한 도읍자리에 보리만 무성히 자란것을 보고 한탄함을 뜻한다 맥수지탄 麥秀之嘆 유래 중국 고대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것이 『요순의정치(堯舜政治)』라면 그 반대인 쇠망기(衰亡期)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은『걸주의 폭정(桀紂之暴政)』이다. 그 걸주(桀紂) 즉 하왕조(夏王朝) 최후의 폭군 걸왕(桀王)과 은왕조(殷王朝) 최후의 난주(亂主) 주왕(紂..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0.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