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고사성어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과 유래 배우기 서경에서 처음 보인 도탄(塗炭)은 진흙탕과 숮불을 뜻합니다. 도탄지고(塗炭之苦)는 이 글자 그대로, 진흙탕과 숮불에 빠진 듯한 비참한 고통을 의미합니다. 정치적 이유로 백성들이 겪는 이 고통은 마치 온 몸을 진흙과 불에 침범당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역사 속에서는 많은 왕조의 억압으로 인해 백성들이 도탄지고를 경험했으며 현대에서도 정치적인 갈등으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이 여전히 존재하기에 그 결과 백성들은 무지와 빈곤 속에서 도탄지고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서경 書經』 중괴지조 仲瑰之造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 塗 진흙탕 도 炭 숯불 탄 之 갈 지 苦 쓸 고 진흙탕이나 숯불에 떨어진 것과 같은 고통이라는 의미로 가혹한 정치로 말미암아 백성이 심한 고통을 겪는 것.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시조 감상: 추강에 밤이 드니 By 월산대군(月山大君) 시조 "추강에 밤이 드니"를 남긴 월산대군은 덕종(의경세자)의 맏아들로서 세조 사후 덕종이 세상을 떠나고 둘째 아들인 예종도 1년만에 죽으면서 왕위에 올라야 했으나 한명회 등 권신들의 간섭으로 동생인 성종이 왕으로 즉위하게 되는 불우한 왕족입니다. 추강에 밤이 드니 By 월산대군(月山大君) 추강(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낙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無心)한 달빗만 짓고 뷘 배 저어 오노라 시조 "추강에 밤이 드니" 해설 왕위에서 밀려난 월산대군은 권세에 대한 집착과 질투를 버리고 양화도 망원정에서 풍류를 즐기며 살다가 세상을 떠났는데 그가 남긴 작품에서는 삶에 대한 우울하면서도 자유로운 태도가 고스란히 느껴집니다. 그의 작품 중 하나를 풀어보면 '가을 강은 밤이 되면 더욱 차갑게 느껴..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7. 27. 시조 감상: 회고가(懷古歌) By 원천석(元天錫) 원천석(1330~?)은 고려 시대의 학자로서, 호는 운곡(耘谷)이라 불렸습니다. 그는 고려가 망해가는 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보며 안타까워하여 고향인 원주로 내려가 농사를 짓고 살았으며 시집 《운곡시사(耘谷詩史)》에 작품 1000여 수를 남겼습니다. 회고가(懷古歌) By 원천석(元天錫) 흥망이 유수(有)하니 만월(滿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태종 이방원이 왕으로 즉위한 후 예전의 스승인 운곡을 찾아왔지만, 충절을 지키려는 그는 만남을 꺼려 치악산으로 몸을 피했습니다. 태종은 빨래하는 노인에게 스승의 거처를 물었고, 노인은 운곡이 부탁한대로 반대편을 가르쳐줬으나 왕에게 거짓을 하여 죄책감에 웅덩이에 몸을 던져 목..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7. 27. 시조 감상: 묏버들 가려 꺾어 By 홍랑(洪娘) 홍랑과 최경창의 사랑 이야기 - 조선 선조 때의 함경남도 홍원 출신의 관기였던 홍랑은 고죽 최경창과 만나 일생을 그에게 바친 순애보의 주인공입니다. 이들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알아보세요. 묏버들 가려 꺾어 By 홍랑(洪娘)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의 손에 자시는 창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 곧 나거든 나인가도 여기소서 시조 "묏버들 가려 꺾어" 해석 "예나 지금이나, 진실한 사랑보다 더 아름다운 이야기는 없어요. 조선 선조 시절, 경성관아 관기인 홍랑과 선비 최경창은 1573년에 함경도 경성에 있는 북도평사로 함께 부임하게 되면서 운명적인 만남을 하게 됐어요. 두 사람은 서로의 눈길에 마음이 빠져들고, 사랑에 빠져 흐뭇한 시절을 함께 했답니다. 그러나 세상은 항상 공평하지 않죠. 홍랑과 ..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7. 27. 시조 감상: 청산은 내 뜻이오 By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1506 ~ 1567)는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작가, 서예가, 음악가, 무희로로 16세기 초, 중순경 활동했던 기생 이다. 그녀의 다른 이름은 진랑 (眞娘)이며 기생 이름인 명월 (明月)로도 유명하다. 그녀는 시와 글씨, 그림, 서예에 두루 능하였다. 청산은 내 뜻이오 By 황진이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는 임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 예어 가는고 청산은 내 뜻이오 해석 황진이, 송도삼절(松都三絶)의 절세미인(絶世美人), 조선 중종 때 명기(名妓)로 빛나는 그녀의 이름. 시문, 서예, 가창, 춤, 그 어떤 것도 어려워하지 않았고, 경서, 사기, 성리학 등 고전도 능숙하게 소화. 그러나 역사는 불공평했다. 천한 출신으로 인해 평가는 낮았고, 그.. 명언과좋은글귀들 2023. 7. 27. 현학적 삶을 경계하는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과 유래 배우기 인간은 누구나 어느정도 현학적, 즉 아느척을 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인듯 하다. 道聽塗說 (도청도설) 은 자기가 스스로 학습해서 알게된 것이 아닌 길거리에서 주워들은 말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아는척할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괜히 어설프게 아는척하다 곤란에 빠지지 않도록 도청도설의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예문지 藝文志 『논어 論語』 양화편 陽貨篇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 道 길 도 聽 들을 청 塗 칠할 도 說 말씀 설 길거리에서 들은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말한다는 의미로 남에게 들은 내용으로 아는체 하거나 깊은 생각없이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청도설 道聽塗說 유래 도(道)에서 듣고 도(塗)에서 설(說)하는 것은 덕(德)을 버리는 것이다(道聽而塗說德之..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7. 범려의 도주의돈지부(陶朱猗頓之富) 뜻과 유래 부우기 현재의 노블리스오블리제를 실천한 인물이 이름을 하도 많이 바꾼 범려(또는 치이자피 또는 도주공)이 아닌가한다? 수많은 부를 쌓고 아낌없이 나눔을 실천한 인물.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는 도주(공)와 또다른 부자 의돈과 같은 큰 부를 의미한다. 부자가 꿈이시라면 도주의돈지부의 뜻과 재미난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의)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화식전 貨殖傳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의) 뜻 陶 질그릇 도 朱 붉을 주 猗 불깐 개 의 頓 조아릴 돈 之 갈 지 富 부유할 부 도주는 사람이름으로 월나라 명신 범려를 말한다 의돈도 사람이름으로 노나라 부자였다 즉 도주와 의돈같이 아주 큰 부를 이룩한 것을 의미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7. 도연명의 도화원기 속 도원경과 무릉도원 뜻과 유래 배우기 도원경은 동진시대 말기 대표 시인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표현으로 복숭아 숲이 넓게 펼쳐진 별천지를 의미하며 무릉도원도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도원경과 무릉도원의 뜻과 유래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도연명 陶淵明 『도화원기 桃花源記』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뜻 桃 복숭아 도 源 근원 원 境 지경 경 武 호반 무 陵 언덕 릉(능) 桃 복숭아 도 源 근원 원 이 세속 세상이 아닌 별천지를 의미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유래 진(晉)나라 태원(太元 = 효무제 孝武帝)때 무릉(武陵)에 한 어부가 살고 있었다. 그 어부는 어느날 여느 때와 같이 작은 배를 저어 고기를 찾아 산협의 강을 따라 올라갔다. 얼마쯤 배가 올라 갔..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배우기: 이광장군에 대한 설명 도리불언 하자성혜는 복숭아와 자두가 스스로 우리는 맛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찾는 것처럼 뛰어난 인재는 스스로 인재라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모인다는 의미로 사기를 쓴 사마천이 이광 장군의 위대함을 묘사하면서 쓴 고사성어입니다. 자세한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桃李不言下自成蹊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이장군열전 李將軍列傳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뜻 桃 복숭아 도 李 오얏 리(이) 不 아닐 부 言 말씀 언 下 아래 하 自 스스로 자 成 이룰 성 蹊 좁은 길 혜 복숭아와 자두는 꽃이 아름답고 열매가 맛있어서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것처럼 덕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덕이 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들이 따르는 것을 비유한 성어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대의멸친大義滅親 뜻과 유래 고사성어 대의멸친은 지금 우리 정치에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한다. 본인이 꿈꾸는 정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가족.혈연의 친함도 버린다는 의미의 대의멸친(大義滅親)은 위나라 대부 석작이 주우(州旴) 처단하기 위해 그의 아들 후(厚)의 희생도 감수한 이야기다. 대의멸친大義滅親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은공 隱公 3.4년 대의멸친大義滅親 뜻 大 클 대 義 옳을 의 滅 꺼질 멸 親 친할 친 큰 의를 위해 사사로운 부모.형제 등 혈육의 친함(정)도 멸(버린다)는 뜻이다. 대의멸친大義滅親 유래 때는 춘추(春秋) 주환왕(周桓王)원년 노은공(魯隱公) 4년(B.C 719년)의 일이다. 위국(衛國)에서는 공자 주우(州旴)가 주군 환공을 죽이고 위에 올랐다. 선군인 장공(莊公)시대부터 그는 환공에 대해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