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배중사영 杯中蛇影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배중사영은 술잔 속에 비친 뱀 그림자란 뜻으로 걱정이 너무 많고 의심이 너무 많은 상황을 의미한다. 진나라의 악광이라는 사람이 친구와 술을 마시다 벌어진 에피소드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배중사영 杯中蛇影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진서 晋書』 악광전 樂廣傳 배중사영 杯中蛇影 뜻 杯 잔 배 中 가운데 중 蛇 긴 뱀 사 影 그림자 영 술잔 속의 뱀 그림자란 뜻으로 쓸데 없는 일에 의심을 품는 것을 의미한다. 배중사영 杯中蛇影 유래 진(晋)에 악광(樂廣)이란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에게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아는데 8살 때 길에서 놀고 있다가 위(魏)의 장군 하후현(夏侯玄)과 만났다. 하후현은 이 아이의 생김새가 깨끗하고 영리함을 사랑해서 학문을 권했다고 한다. 악은 집안이 가난해서 혼자서 글을 읽..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배수지진 背水之陣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배부지진은 글자 그대로 더이상 물러나 곳이 없는 물을 등지고 진을 친다는 뜻으로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하는 상황을 말한다. 그 유래는 한나라 시절 명장인 한신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배수지진 背水之陣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회음후열전 淮陰侯列傳 배수지진 背水之陣 뜻 背 등 배 水 물 수 之 갈 지 陣 진 칠 진 물을 등지고 진을 친다는 뜻으로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배수지진 背水之陣 유래 한고조(漢高祖)가 제위(帝位)에 오르기 2년 전(B.C 24)의 일이다. 한군의 일지대(1支隊)를 이끌고 있던 한신(韓信)은 위(魏)를 격파한 여세를 몰고 조(趙)로 진격했다. 한신(韓信)의 내습을 안 조왕헐(趙王歇)과 성안군 진여(陳余)는 급거 20만의 군사를 정경(井脛)의 협로 입구에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헤르만 헤세 철학과 로봇 청소기: 자동화를 통한 내면의 변화 수용하기 자아 발견과 진정성 추구에 중점을 둔 헤세의 철학은 로봇 청소기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로봇 청소기는 자아실현의 여정에서 편리함과 우리의 개성을 위협하는 잠재적 위험을 모두 상징 할 수 있습니다. 헤세 철학으로 바라본 로봇청소기 독일-스위스의 저명한 작가이자 철학자인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는 인간 정신에 대한 탐구, 자아 발견, 영적 성장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품은 주로 정체성에 대한 탐구와 급변하는 세상에서 의미를 찾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로봇 청소기가 현대 생활의 필수 품목이 된 이 시대에 우리는 헤세의 철학과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혁신적 잠재력 사이에 유사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헤세 철학 관점에서 로봇 청소기의 출현.. 철학 2023. 8. 5. 배반낭자 杯盤狼藉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배반낭자의 배반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신의를 저버린다는 그 배반이 아니고 술잔과 접시를 뜻한다. 배반낭자는 술잔과 접시가 흐트러진 상태로 술을 많이 마시고 노는 것을 의미하며 그 유래는 사기의 골계열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배반낭자 杯盤狼藉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골계열전 滑稽列傳 배반낭자 杯盤狼藉 뜻 杯 잔 배 盤 소반 반 狼 이리 랑(낭) 藉 깔 자 술잔과 접시가 마치 이리에게 깔렸던 풀처럼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으로 술을 진탕 마시고 노는 모양 배반낭자 杯盤狼藉 유래 전국시대 초기 제위왕(齊威王) 때였다. 순우곤(淳于髠)이란 아주 작은 사나이로 익살을 잘부리는 수다장이가 있었다. 때마침 제(齊)가 초(楚)의 공격을 받게 되자 손우곤이 제의 사신으로 조나라에 가서 보기좋게 10만 정..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방약무인 傍若無人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방약무인(傍若無人)의 본래 뜻은 주위 사람을 신경쓰지 않는 당당함을 뜻 했으나 지금은 주로 부정적인 안하무인 뜻으로 뉴스속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방약무인의 유래는 진시황제의 암살과 관련된 자객전에서 찾을 수 있다. 방약무인 傍若無人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자객전 刺客傳 방약무인 傍若無人 뜻 傍 곁 방 若 같을 약 無 없을 무 人 사람 인 주위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 방약무인 傍若無人 유래 전국시대(戰國時代)도 거의 진(秦)의 통일로 돌아가 시황제의 권위가 군성(群星)을 눌렀을 때의 일이다. 위(衛)나라 사람으로 형가(荊柯)라는 자가 있었다. 그의 조상은 제(齊)나라 사람이었으나 그는 위(衛)로 옮겨..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5. 니체의 철학과 로보락 S8 Pro Ultra의 부상 니체의 철학이 요즘 남편보다 낫다는 소리를 듣는 로봇 청소기 S8 Pro Ultra의 부상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로봇청소기 부상과 인간과 로봇청소기 사이의 역학 관계에서 우리는 철학적 실존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니체 철학과 로보락 S8 Pro Ultra 혁명 영향력 있는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그의 작품에서 인간의 본성, 사회, 권력 추구에 대한 심오한 사상을 탐구했습니다. 그의 '권력 의지' 개념은 모든 생명체가 주변 환경에 대한 지배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내재적 욕구를 강조합니다. 로보락 S8 Pro Ultra가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 후 집 청소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지금 오늘 글에서는 니체의 렌즈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철학적 함의를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봅니다. .. 철학 2023. 8. 4. 고사성어 반식재상 伴食宰相 뜻과 유래 배우기 반식재상 伴食宰相은 뜻은 무위도식하면서 아무일도 하지 않고 먹기는 하는 무능한 재상(정치가)를 뜻하며 그 유래는 당 현종 시절 유능한 재상인 요숭과 그의 후임 노회신의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반식재상 伴食宰相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당현종 唐玄宗의 현상 賢臣인 요숭 姚崇과 노회신 盧懷愼의 관계를 말한데서 기인 반식재상 伴食宰相 뜻 伴 짝 반 食 밥 식 宰 재상 재 相 서로 상 아무일도 하지 않고 밥만 축내는 무능한 정치가나 사람을 뜻한다 반식재상 伴食宰相 유래 당(唐)의 현종황제(玄宗皇帝)는 즉위한 이듬해(713) 연호를 개원(開元)이라 고치고 태평공주일파의 음모를 제거하자 다음 개원 2년에는 백관의 주옥금수(珠玉錦繡)를 궁전 앞마당에 쌓아 놓고 불을 질렀으며 백관에서 궁녀에 이르기까지 각각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4. 고사성어 반근착절 盤根錯節 뜻과 유래 배우기 반근착절(盤根錯節)은 구부러진 나무 뿌리와 울퉁불퉁한 나무의 마디란 뜻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곤란한 사건이나 난관이 많음을 의미하고도 하고 흔들리지 않는 신념을 뜻하기로 한다. 그 유래는 후한서 우후전에서 찾을 수 있다. 반근착절 盤根錯節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후당서 後漢書』 우후전 虞詡傳 반근착절 盤根錯節 뜻 盤 소반 반 根 뿌리 근 錯 어긋날 착 節 마디 절 반근착절 盤根錯節 유래 후한(後漢)의 제실(帝室)에는 특히 눈을 끄는 대목이 있다. 14명의 황제 중 12명이 20세도 못되어 즉위했다. 이 사실은 어머니인 태후가 정치를 하여 측근의 폐(弊)가 강해지는 것을 뜻한다. 이것도 그 무렵의 이야기다. 출생 후 백여일만에 즉위한 상제(殤帝)가 재위 8개월만에 죽자 13세인 안제..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4. 고사성어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과 유래 배우기 백주지조는 중국 주 나라 시절 공강(共姜)이란 여인이 남편을 사별한 후 자신의 절개를 보여주기 위해 백주라는 시를 지어 절개를 지킨다는 뜻으로 그 유래를 시경에서 찾을 수 있다.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시경 詩經』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 백주라는 시를 지어 절개를 지킨다는 뜻으로, 남편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를 지키는 것을 의미 백주지조 柏舟之操 유래 서주(西周) 말기에는 이미 음풍(深風)이 퍼지고 있었고 정풍(正風)은 점차 사라져 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의와 의(義)를 지키는 전통은 거의 사라진 시기였지만 그런 상황 속에서도 홀로 정절을 지킨 용감한 여성이 있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공강(共姜)이었습니다. 주(周) 여왕(厲王…BC 878~828) 시대, 위국(위국)의 희후(僖侯)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 고사성어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과 유래 알아보기 미생이란 사람의 이름을 활용한 미생지신은 미생의 믿음이란 뜻이다. 미생이라는 사람은 매우 신의가 두터웠던 사람으로 약속을 매우 잘 지키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나 너무 지나쳐 융통성 없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는데 장자편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도척편 盜跖篇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갈 지 信 믿을 신 미생의 믿음이란 뜻으로 약속을 잘 지키고나 또는 융통성 없음을 뜻하기도 한다. 미생지신 尾生之信 유래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름은 高)이라는 아주 정직한 사람이 있었다. 남과 약속을 하면 무슨일이 있어도 그 약속을 지키지 인물이다. 그런데 그 사나이가 어느 날 여자친구와 데이트 약속을 했다. 「내일 밤 개울 다리 밑에서 만나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