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고서성어 망국지음 亡國之音 뜻과 유래 알아보기 망국지음 亡國之音은 망한 나라(은 나라)의 음악이란 뜻으로 은 나라의 폭군이 주왕 시절 사연이란 음악가가 왕을 위해 사람의 정신을 뺏을 만한 음악을 밤낮으로 연주했고 이로 인해 결국 나라가 망했다는 내용에서 유래한다. 망국지음 亡國之音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비자 韓非子』10과편 十過篇 망국지음 亡國之音 뜻 亡 망할 망 國 나라 국 之 갈 지 音 소리 음 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으로 저속하고 난잡한 음악을 말한다 망국지음 亡國之音 유래 주왕실(周王室)의 위광(威光)이 쇠퇴하여 제후간에 분쟁이 끊임 없던 춘추시대의 이야기다. 위령공(衛靈公)이 진(晉)나라로 가는 도중 복수(濮水) 근처에 이르렀을 때 이제까지 들어본적이 없는 새롭고 절묘한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것을 들었다. 그 음색이나 가락이 이 세상의 것..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0. 묘고야산 藐姑射山 뜻과 유래 알아보기 고야산에 사는 신인(神人)은 살결이 얼음이나 눈처럼 희고, 아름답고 부드러워 예쁜 처녀와 같으며, 다양한 곡물을 입에 대지 않고 바람과 이슬만으로 먹는다는 이야기가 장자의 소요유편에 기록되어 있는데 묘고야산은 신이 사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묘고야산 藐姑射山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소요유편 逍遙遊篇 묘고야산 藐姑射山 뜻 藐 멀 묘, 姑 시어머니 고 또는 잠시 고, 射 쏠 사 또는 벼슬이름 야, 山 뫼 산 신선이 사는 산을 뜻한다. 묘고야산 藐姑射山 유래 정확하게는「묘고사산(藐姑射山)」또는「먼 고야의 산」이라고 읽으며「선동(仙洞)」과 같이 상황(上皇), 법황(法皇)의 어소(御所)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묘고야의 산」이나 「선동」이나 본래의 뜻은 범속한 세속과 멀리 떨어진 신선이 사는 장소를..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만사휴의 萬事休矣 뜻과 유래 알아보기 만사휴의 뜻은 만 가지 일도 끝장이란 의미로 어떤 방책도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로 당나라 말 혼란시대 형남이란 소국의 고계흥 자손인 보훈이 사람이 화를 내는 것을 보면 웃음으로 얼버무려 그 사람의 기분을 맞춘것에서 유래했다. 만사휴의 萬事休矣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송사 宋史』 형남고씨세가 荊南高氏世家 만사휴의 萬事休矣 뜻 萬 일 만 만 事 일 사 休 쉴 휴 矣 어조사 의 만사휴의(萬事休矣)란 어떠한 방책(方策)도 강구할 수가 없는 것으로 어떤 사태에 직면해서 그것에 대한 방책이 서지 않을 경우나 뜻하지 않은 실패를 해서 되돌릴 수가 없는 경우에 잘 쓰인다. 비슷한 말에 만책(萬策)이 다하다 라는 것이 있으나 이것은 한번 이것 저것 수단을 써 본다음, 어떻게 할 수 없어서 손을 떼는 것인 반면 「만사..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만가 挽歌 뜻과 유래 알아보기 만가(挽歌)의 뜻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란 의미이나 그 유래는 한고조 유방과 제왕 전횡 시절까지 올라간다. 한고조 유방을 섬기는 것을 수치스럽게 생각하고 스스로 목을 잘라 죽은 전횡의 절개를 기린 상가를 한 무제 때 이연년이 만가로 만들었다. 만가 挽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만가 挽歌 뜻 挽 당길 만 歌 노래 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란 뜻을 가지고 있다 만가 挽歌 유래 만가(挽歌)는 수레를 끄는 노래다. 그 수레도 보통 수레가 아니고, 영구차(상여)다. 만(挽: 수레끌만·상여꾼 노래만, 輓(끌 만)이 원자이다)은 본디 수레를 앞으로 잡아당긴다는 뜻으로 장례식 때 영구차의 불(紼―관을 끄는 줄)을 잡는 자가 서로 소리를 먹여가며 부르는 노래가 만가(挽歌)다. 만가의 유래는 피비린내..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알아보기 이백의 마이동풍 馬耳東風은 사람들이 의견이나 비평, 충고를 전혀 듣지 않는다는 뜻이 있으며 투계(鬪鷄)의 기술에만 능한 사람들이 출세하고 있었던 당시 세태를 비판하면서 한탄스러운 마음을 전달하고 있는 왕거일이란 친구의 시에 대한 회신입니다. 마이동풍의 뜻과 유래를 통해 우리 스스로는 다른 의견도 듣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이백 李白「답왕거 答王去」 한야독작유회 一寒夜獨酌有懷」 馬耳東風 (마이동풍) 뜻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남의 의견이나 비평을 전혀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牛耳讀經(우이독경) 뜻 牛 소 우 耳 귀 이 讀 읽을 독 經 지날 경 소귀에 경 읽기 또는 쇠귀에 경 읽기라고 흔히 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마루摩壘" 뜻과 유래 알아보기 진(晋)과 초(楚)의 필(邲)의 싸움 과정 중 유래한 표현이 마루(摩壘)로 적의 성루를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용맹하게 공격해 가는 것을 의미했으나 의미가 호각(互角)의 역량(力量)으로 육박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마루 摩壘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선공20년 宣公十二 마루 摩壘 뜻 摩 문지를 마 壘 보루 루 적의 성루를 만질(rub) 정도로 가까이 쳐들어간다는 의미로 이후 기량이 상대방과 거의 동등하게 됨을 의미 마루 摩壘 유래 진(晋)과 초(楚)의 대립은 춘추의 천하를 뿌리채 흔드는 것 같은 전쟁을 몇 차례나 일으켰으니 필(邲)의 싸움도 그 하나였다. 일의 시초는 정(鄭)나라였다. 당시 중원의 약국(弱國)이었던 정(鄭)은 남북으로 동시에 위협을 받아 어느 때는 진(晉)에 붙고 어느 때는 초(..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과 '점액(點額)': 뜻과 유래 알아보기 '용문'은 물의 흐름이 강하여 대어도 타고 넘기 어려운 협곡으로, 그러나 한 번 이 급류를 타고 넘으면 곧 용으로 변한다는 전승이 있습니다. 따라서 등용문은 용으로 변할 수 있는 관문에 오른다는 의미로, 출세의 기회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높은 장벽을 넘어서 출세하는 과정은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한 번 출세의 등용문을 통과하면 뜻밖의 성공과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등용문 登龍門 점액 點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후한서 後漢書』 이응전 李膺傳 登龍門(등용문) (點額) 점액 뜻 登 오를 등 龍 용 룡(용) 門 문 문 용으로 변하는 관문에 오른다는 의미로 크게 출세한 것을 의미하며 등룡문은 등용문의 잘못된 표현이다. 點 점 점 額 이마 액 등용문의 반대어로 등용문에 오르다 실패해 이마에 상처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득어망전(得魚忘筌): 뜻과 유래 알아보기 "득어망전, 교토사주구, 과하절교 모두 목적을 달성하고 쓰임이 다하면 버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득어망전은 물고기를 잡은 후에 사용하던 통발을 잊는다는 의미로 장자의 저서인 '외물편(外物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러한 고사성어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전달합니다. 성취와 목표 달성은 인생의 일부이지만, 달성 후에도 겸손하고 간소하게 남아있는 덕목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오래 지속되는 것은 쓸모가 없어지고 버려질 수 있음을 상기시켜주는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입니다. 득어망전 得魚忘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외물편 外物篇 득어망전 得魚忘筌 뜻 得 얻을 득 魚 물고기 어 忘 잊을 망 筌 통발 전 고기가 잡히면 그 때문에 쓰던 통발(縮)을 잊어 버린다는 것이 이 말의 뜻이다. 목적..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광무제의 마음을 담은 '득롱망촉(得隴望蜀)': 뜻과 유래 알아보기 광무제가 농 나라(지역)을 얻은 후 촉 나라(지역)을 얻어야겠다며 인생에는 만족함이 없다고 말한 것처럼, '득롱망촉(得隴望蜀)'은 우리 인간의 무한한 욕심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득롱망촉은 광무제가 추구하는 것과 같이 인간은 한 가지를 얻고 나서도 계속해서 더욱 더욱 높은 욕심을 가지게 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러한 욕심은 만족함이 없는 인간의 본성을 보여주며, 욕심을 이기지 못하면 끝없는 욕망에 사로잡히게 된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 인간 모두가 가끔씩 이러한 득롱망촉의 감정을 느끼는 법이지만, 현명하게 욕심을 조절하고 만족할 줄 아는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행복하고 균형잡힌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득롱망촉 得隴望蜀 뜻과 유래 출전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이극용의 다른 호칭 '독안룡(獨眼龍)': 뜻과 유래 알아보기 당나라 맹장인 이극용은 청년 시절부터 놀라운 용기와 뛰어난 전투력으로 군중들 사이에서 이아아(李鵶兒)로 불렸습니다. 특히, 그의 한눈은 마치 애꾸였으므로 그가 귀하게 되자 사람들은 그를 독안룡이라 호칭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독안룡의 뜻과 유래를 이번 기회에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독안룡 獨眼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오대사 五代史』 당기 唐記 독안룡 獨眼龍 뜻 獨 홀로 독 眼 눈 안 龍 용 룡(용) 애꾸눈의 용이란 뜻으로 당나라 맹장 이극용이 한쪽 눈의 애꾸였기 때문에 독안룡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독안룡 獨眼龍 유래 중국 당(唐)나라 17대 황제 의종(懿宗) 말년(873년) 산동(山東)·하남 지방은 대홍수를 만났으나 이듬해인 18대 황제 희종(僖宗)의 건부원년(乾符元年)에는 같은 이 지방이 전년과는 딴..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