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45 플라톤, '동굴의 비유'란 무엇인가? 이전 강의에서 우리는 이데아 세계와 현실 세계를 나누어 탐구 했습니다. 현실 세계는 바로 이데아 세계 즉 우리가 가지고 있는 관념의 세계 그리고 그 관념 안에 있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을 현실로 외화 시켜 놓은 것 입니다. 아래 1편을 읽은 후 이번 글을 읽으세요 2023.07.31 - [철학] - 플라톤: 이데아란 무엇인가 플라톤, '동굴의 비유'란 무엇인가? 모든 것이 존재하는 그 유래(근원)는 바로 인간의 관념 즉 이데아의 세계입니다. 이 세계의 모든 것은 이데아로부터 유출된 것이거나 이데아를 외화시켜 놓은 것입니다. 이데아 세계 >> 현실 세계 >> 예술 세계 플라톤은 1)이데아의 세계와 2)이데아를 실현해 놓은 현실 세계 그리고 3)그 현실을 또 다시 모방해서 만들어낸 예술의 세계라는 모습을 통해.. 철학 2023. 8. 2. 티스토리 네이버 유입이 다음 유입을 앞서다 오늘은 블로그 운영에 대해 잠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어제부터 네이버를 통한 티스토리 블로그 유입 고객이 다음을 통한 티스토리 블로그 유입보다 많아졌습니다. 블로그 운영한지 6개월 만에 처음인듯 합니다. 티스토리 네이버 유입이 다음 유입을 앞서다 네이버를 통한 티스토리 유입은 특히 대부분 검색을 통해 증가하기 시작했는데 특별히 SEO에 맞추어 작성한 것 같지는 않은데 네이버 이용자가 월등히 많아서 그런지 어제부터는 계속 네이버 검색 유입이 다음 검색 유입보다 많아졌습니다. 위 사진 중 기타로 잡힌 부분을 모두 카운트하면 네이버 유입이 다음 유입보다 많습니다. 참고로 SEO는 최소한의 것만 지켰습니다. H1 태그 정확하게 달기 이미지 사용 시 Alt 태그 정확하게 달기 티스토리 블로그 꾸준함의 중요성 블로.. 블로그 운영 2023. 8. 2. 미망인 未亡人 뜻과 유래: 무시무시한 미망인이란 호칭 미망인에 그렇게 무시무시한 뜻이 있는지 몰랐다. 너무나 나주 듣먼 미망인 한자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아직 죽지 않은 여인'이란 뜻으로 남편이 죽으면 원래 같이 죽어야 하는데 아직 죽지 않은 여인을 일컫는 말로 그 유래는 좌전에서 찾을 수 있다. 미망인 未亡人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성공편 成公篇 미망인 未亡人 뜻 未 아닐 미 亡 망할 망 人 사람 인 (남편이 죽었으나) 아직 망하지(죽지) 않은 여인이란 뜻으로 남편을 여윈 부인을 의미한다. 미망인 未亡人 유래 춘추(春秋) 때 노(魯)나라에서는 성공(成公)이 즉위하고 있었는데, 그 9년 노(魯)의 백희(伯姬)가 송공(宋公)에게 시집가게 되어 계문자(季文子)라는 자가 희(姬)를 송(宋)으로 호위해 갔다. 계문자는 무사히 그 소임을 다하고 노(..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미봉 彌縫 뜻과 유래 알아보기 미봉책의 미봉은 재대로 된 처방이 아닌 잘못된 점을 급하게 땡방식으로 수정(꿰매는 것)하는 것을 뜻하며 그 유래는 좌전에 나오는 춘추전국 시대 주 환공과 정나라 장왕간의 전쟁 이야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봉 彌縫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미봉 彌縫 뜻 彌 미륵 미 縫 꿰맬 봉 빈 구석이나 잘못된 곳을 꿰맨다는 뜻으로 임시로 급하게 처리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미봉 彌縫 유래 주(周) 환왕(桓王) 13년(B·C 707) 춘추시대 초기인 어느 가을날의 일이었다. 주환왕(周桓王)은 쇠약해진 주(周)의 세력을 다시 한번 복구해 보려고 생각했다. 마침 그 무렵 정(鄭)의 장공(莊公)은 한창 기세를 올리고 있을 때라 주왕(周王) 같은 것은 문제시 하지도 않을 듯이 보였다. 그래서 환왕은 장공을 토벌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문정지경중 問鼎之輕重 뜻과 유래 알아보기 고사성어 문정지경중은 글자 그대로 정(솥)의 경중을 물어본다는 뜻으로 제위를 노리는 속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그 의미에서 발전하여 상대방의 실력과 상황을 알아본 후 빈틈을 공략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그 유래는 춘추좌씨전에서 찾을 수 있다. 문정지경중 問鼎之輕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문정지경중 問鼎之輕重 뜻 問 물을 문, 鼎 솥 정, 之 ~의, 輕 가벼울 경 重 무거울 중 정(솥)의 가벼고 무거운 정도를 물어본다는 뜻 왕권을 노리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 상대방의 실력이나 상황을 알아보고 빈틈을 공략한다는 의미로도 사용 문정지경중 問鼎之輕重 유래 정(鼎)이란 세개의 발과 두개의 귀가 달린 금속으로 만든 솥을 말하며 고대 중국에서는 요리는 물론 표창품이나 자살(煮殺 삶을 자.. 카테고리 없음 2023. 8. 2. 고사성어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알아보기 회사에서 한창 잘 나가던 사람이 뒤로 밀려나면 더 이상 그 사람을 찾는 이들은 줄어든다. 이런 때 사용할 수 있는 성어가 문전작라이다. 문전작라는 문앞에 설치란 새그물이란 뜻으로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정당시전찬 鄭當時傳賛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 門 : 문 문, 前 : 앞 전, 雀 : 참새 작 羅 : (일을)벌일 라 문 밖에 새그물을 칠 만큼 찾아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힘과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말한다. 그 반대말은 문전성시(門前成市) 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유래 『사기(史記)』의 「급·정열전(汲·鄭列傳)」에는 다 함께 한무제(漢武帝) 시절 벼슬하여 구경(九卿)의 지위까지 오른 일..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문전성시는 집앞에 시장처럼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한서의 정숭전에서 찾을 수 있다. 후한 애제의 충신 정숭이 애제에게 신의 문전에는 아첨하러 오는 객이 저자같이 모여들어도 신의 마음은 물과 같이 청렴하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孫寶傳·鄭崇傳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 門 문 문 前 앞 전 成 이룰 성 市 저자 시 문앞이 시(시장)을 이룬다는 뜻으로 권력자의 집 앞에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것을 뜻한다. 문전성시 門前成市 유래 후한(後漢)의 성제成帝)는 유명한 중국 고대의 언어학자 양웅(楊雄)에게 연구비를 주어 『방언(方言)』을 완성시킨 황제이나 그가 죽고 다음 황제인 애제(哀帝)가 즉위하자 조정의 실권은 왕씨 일족에게서 부씨(傅氏…애제(哀帝)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문경지교는 목을 벨 수 있는 친구라는 뜻으로 생사(生死)를 같이 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소중한 친구를 의미한다. 문경지교에 대한 유래는 사기 인상여열전에 나오는 조나라 상경인 인상여와 조나라 명장 염파의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인상여열전 藺相如列傳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매우 소중한 친구(friend)란 뜻 문경지교 刎頸之交 유래 인상여(蘭相如)는 조혜문왕(趙惠文王)의 총신(寵臣) 무현(繆賢)의 식객에 지나지 않았으나 화씨의 벽(和氏之璧)을 잘 보존하고 귀국한 공에 의해 상대부(上大夫)가 되었다. 다시 그 후 3년째(B.C 28)되는 해 진왕(秦王)과 조(趙王)이 면지(澠池)에서 회합했을 때 조왕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묵수 墨守 또는 묵적지수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묵수(墨守)는 송나라 출신 제자백가 중 한명인 묵자가 끝까지 성을 지킨다는 뜻으로 자신의 소신이나 전통등을 끝가지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고사성어 묵수 또는 묵적지수는 묵자가 초왕과 나눈 이야기를 통해 초나라의 침략을 막은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묵수 墨守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묵자 墨子』 공수편 公轍篇 묵수 墨守 뜻 墨 먹 묵 守 지킬 수 묵수 墨守 유래 묵자(墨子)는 『사기(史記)』에 의하면 이름은 적(翟)이라 하고 송(宋)의 대부(大夫)로 방전술(防戰術)에 능하며 경제 절약을 말했으나 공자와 같은 시대의 사람인지 그 후의 사람인지 불명하다고 씌어 있다. 오늘날 남아 있는『묵자(墨子)』라는 책은 그의 생각을 기술한 것으로 『겸애설(兼愛說)』을 주창(主唱)하여 자타의 구별을 세우지 않고 자기를 사랑하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위이화 無爲而化는 억지로 무엇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잘 된다는 뜻으로 특히 정치가나 상사들이 억지로 무엇을 하는 것이 백성이나 직원들을 힘들게 한다는 것을 비유하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노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 無 없을 무 爲 할 위 而 말 이을 이 化 될 화 애써 힘들게 하지 않아도 잘된다는 뜻이다. 무위이화 無爲而化 유래 『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이 말은 「성인의 덕(德)은 성대하므로 특별히 도덕교육 같은 것을 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맡겨 두어도 백성이 감화 된다」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말은 위정자(爲政者)의 성덕이 높은 점이나 그 성대(聖代)를 예찬 할 때 쓰는 말 같다. 그러나 노자(老子)는 말한다. 천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